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일상 속에서 수많은 디지털 흔적을 남긴다. 출근길 음악 스트리밍, 메신저, 온라인 쇼핑과 투자. 이 과정에서 나의 취향과 소비에 대한 수많은 데이터가 생성된다.


과거엔 통상적으로 서비스 이용 중 발생한 이같은 데이터가 해당 기업의 자산이라 여겨졌지만 시대가 변했다. 지금은 데이터를 생성한 서비스 소비자, 개인도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과 활용권을 주장할 수 있다.


이런 사회 변화를 타고 등장한 게 마이데이터제도다. 마이데이터는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직접 통제하고 활용하도록 한다는 내용을 핵심으로 한 정책으로, 기업에 종속됐던 데이터 주권을 개인에게 되돌려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마이데이터 5, ‘초개인화 서비스대신 제품 권유만 남았다


마이데이터 제도는 2020년 데이터 3법 개정을 통해 법제도에 안착했다. 핵심은 개인신용정보 전송 요구권으로, 서비스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 중 발생한 자신의 데이터를 타 서비스 등 제3자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다.


당초 이를 통해 자산관리(PB, WM), 보험,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가 나올 거란 예측이 많았다. 운동 데이터로 보험료를 할인받거나 의료 기록으로 맞춤형 보험을 설계하는 등이다. ‘초개인화서비스가 나타날 거란 기대감까지 고조됐다.


그러나 현실은 기대와 달랐다. 마이데이터 제도가 생기고 벌써 5년차에 접어들었지만, 관련 서비스는 자산 현황 조회 정도다. 맞춤형 금융 상품 추천은 명목상 존재하지만, 개인 맞춤형 제무설계 기능이라기보다는 기존의 펀드나 카드 영업과 크게 다르지 않다. 소비자가 활용 가능한 데이터 활용 범위도 제한적이다. 비판과 불만이 쏟아지는 이유다.


지난 20237월 하나금융연구소가 발표한 디지털 자산관리에 관한 소비자 분석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불만족 사유로 개인정보 유출 우려(44.8%) 과도한 정보 안내(39.7%) 맞춤 서비스 부족(19.6%) 등을 꼽았다.


이 가운데 개인정보 유출 우려는 서비스에 대한 신뢰를 저해하는 가장 근본적인 요인으로, 마이데이터 서비스 전반에 대한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실사용 단계에서 데이터 활용을 가능케 하는 정밀성이 부족하단 점도 큰 단점으로 꼽힌다. 소비 카테고리가 실제 구매 내역에 따라 자동 분류되지 않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으면 차이가 발생한다는 점이 대표적이다. 가령, 맥도날드에 가서 커피만 마셔도 소비 내역이 패스트푸드로 분류되는 식이다.

이런 문제는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낮은 만족도가 증명한다.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이용률(51.7%)과 인지율(33.6%)은 모두 디지털 자산관리 서비스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용률 2위를 기록한 소수점투자(16.6%)의 두 배 이상 높다. 그런데도 이용자 만족도를 살펴보면 수치가 역전된다. 소수점투자 이용자의 만족도는 71.3%인데, 마이데이터 이용자의 만족도는 그보다 10% 가까이 낮은 63.9%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낮은 만족도의 이유론 개인정보 보호 유출 우려와 서비스 완성도에 대한 불만 등이 꼽힌다.


관련 서비스 질 개선하고 개인정보 보안 강화해야


이 문제를 해결하고 마이데이터가 진정한 금융 혁신으로 자리 잡도록 하기 위해선 단순한 데이터 통합을 넘어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고도화된 분석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및 피해 발생 시 대책 마련과 투명한 데이터 활용 체계 구축도 필요하다. 이는 서비스 확장의 필수 조건이기 때문이다. 관련 기술과 서비스가 고도화되고, 사용을 꺼리게 만드는 불안 요소를 제거할 때 마이데이터는 비로소 디지털 자산관리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원문출처>

The Tibs https://thetibs.co.kr/?p=3408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the Tibs x FCL] 마이데이터 5년, 초개인화 서비스 대신 제품 영업만 남은 이유

우리는 일상 속에서 수많은 디지털 흔적을 남긴다. 출근길 음악 스트리밍, 메신저, 온라인 쇼핑과 투자…. 이 과정에서 나의 취향과 소비에 대한 수많은 데이터가 생성된다. 과거엔 통상적으로 서비스 이용 중 발생한 이같은 ...

이집트 국가여성위원회 공무원들, 서경대학교가 위탁운영하는 서울시북부여성발전센터 방문 file

"한국-이집트 여성들, 경험과 지혜 나누고 역량 강화 위해 협력하자" 이집트 국가여성위원회 및 유관 부처 소속 공무원들이 11일 서울시북부여성발전센터를 방문했다. 이집트 국가여성위원회 및 유관 부처 소속 공무원들이 1...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칼럼: [기고] 신냉전 시대 국정원의 책무 file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최근 서방 언론에 ‘중국 스파이’와 관련된 보도가 쏟아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만 벨기에 네덜란드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스위스 호주 필리핀 등 9개국 넘는 곳에서 논란이 불거졌다....

서경대학교, ‘2025 SKTHON 해커톤’ 개최, “아이디어가 현실이 되는 순간” file

서경대학교는 대학혁신추진사업단(단장 이석형 교수) 주관으로 멋쟁이사자처럼과 함께하는 ‘2025 SKTHON 해커톤’을 9월 20일(토), 21일(일) 양일간 개최한다. 이번 해커톤은 단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하...

서경대학교, USGTF-KOREA와 골프 교육 협력을 위한 MOU 체결 file

“K-스포츠 중심 골프 인재 양성 본격화” 서경대학교 김범준 총장(왼쪽)과 USGTF-KOREA 브랜든리 회장이 업무협약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가 글로벌 골프 교육기관인 USGTF-KOREA(회장 브랜든 리)와 ...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2025학년도 1학기 산업체 연계형 캡스톤 디자인 학습자 주도형 창작 프로젝트 세 번째 공연 & 제33회 젊은 연극제 참가작 ‘추락’ 작/연출 오유지 학우 인터뷰 file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2025학년도 1학기 산업체 연계형 캡스톤 디자인 학습자 주도형 창작 프로젝트 세 번째 공연 연극 ‘추락’이 지난 6월 20일(금) 오후 7시, 6월 21일(토) 오후 3시 교내 북악관 북악홀에서 두 차례에...

[서경대 MFS] 캐나다 암호화폐거래소 INX 대하여 file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위...

2025 서경대학교 무대패션전공 졸업작품 전시회 ‘No Answer: The identity of ‘I’‘ 성황리에 개최 file

“HUB19, 옴니채널로 만나는 새로운 예술 경험” 7월 4일(금)부터 6일(일)까지 3일간, 서울시 종로구 윤보선길 ’Gallery71‘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전공(주임교수 박은정) 4학년 학생들이 준비한 졸업작품 전시회 ‘N...

서경대학교, 염광메디텍고등학교와 지역청년 진로취업 활성화 및 지역 거버넌스 구축 위한 업무협약 체결 염광메디텍고등학교 재학생 대상 ‘E-Disc 성격행동유형검사와 자기이해’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도 성공적으로 운영 file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본부장 허성민 교수)는 7월 8일(화) 서울 노원구 소재 염광메디텍고등학교(교장 김경욱)와 지역 청년 진로취업 활성화 및 지역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이날 약 80여 명의 ...

서경대학교, 중국 창저우시 5개 교육기관과 국제교류 협력 위한 양해각서 체결 file

서경대학교는 지난 7월 2일(수)부터 5일(토)까지 4일간, 중국 장쑤성 창저우시 소재 △무진구 뤄양고급중학(武进区洛阳高级中学), △무진구 뤄양직업고등학교(武进区洛阳职业高级中学), △창저우시 공업직업기술학교(常州市工业职业技...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