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GKS사업단 영월 탐방기③


지난 19~20일 양일간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운영위원장 방미영 교수)과 서경대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이하 GKS(Global Korea Scholarship):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 주관 사업), 서경대 GKS사업단(단장 박정아 교수)이 강원도 영월군을 찾았다. 


영월은 조선 제6대 임금 단종의 묘인 장릉, 계유정난 이후 단종이 유배된 청령포 등과 더불어 사육신과 생육신, 그리고 충신들을 모시고 학업을 다졌던 창절서원과 오늘날의 국립대학격인 영월향교 등 다양한 역사의 흔적이 남아있는 곳이다. 


또한 국내 최초의 공립 사진 박물관으로 국내외 유명 사진작가들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는 동강사진박물관과 자연과 예술 작품, 그리고 관람객이 하나가 되어 '인생샷'을 남기며 미술의 재미에 푹 빠질 수 있는 영월 젊은달 와이파크를 비롯해 김삿갓문학관, 라디오스타박물관 등 문화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곳들이 많다. 조용하지만 역사와 문화, 그리고 옥수수와 어수리나물의 향긋하고 달콤한 맛까지 즐길 수 있는, 그야말로 '있을 것은 다 있는' 곳이 강원도 영월이다.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은 문화현장 탐방, 사회공헌 프로젝트 기획 및 실행 등 다양한 활동을 청년이 주도적으로 실행하면서 청년들이 스스로 자신을 발전시키고 미래를 주도할 수 있는 디딤돌을 놓은 역할을 13년 동안 진행하고 있다. 이번 문화탐방은 청년들, 그리고 한국을 배우고 있는 유학생들이 한국의 전통 교육기관인 향교와 서원의 역할과 중요성, 단종 임금의 흔적이 남아있는 장릉과 귀촌 마을로 새롭게 도약하고 있는 '삼돌이마을'의 성공사례를 직접 보고 듣고 체험하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내외방송은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GKS사업단과 함께 이번 문화탐방에 참여해 영월의 역사와 변화를 함께 체험했다. 본지는 그 체험의 현장을 4회에 걸쳐 독자들에게 전하려 한다. 


이번 탐방은 영월향교가 주최했으며 문화체육관광부와 성균관유교문화활성화사업단이 후원했고 동부건설(주)이 협찬을 했다.


[특별기획] 단종의 외로움, 엄홍도의 충절, 그리고 삼돌이마을의 추억.jpg

영월 삼돌이마을.


차 한 잔의 여유와 예(禮), 문화의 즐거움을 누리고 나니 이제 쉼을 찾아야할 때가 왔다. 날씨 역시 오전과 달리 조금씩 개인 하늘이 보이기 시작한다. 하루를 정리하고 쉼을 얻기 위해 찾아간 곳은 바로 영월의 공동체 마을인 '삼돌이마을'이다. 

영월 삼돌이마을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농촌체험휴양마을이자 귀농, 귀촌을 원하는 이들이 터를 잡으며 삶의 여유와 마을 사람들과의 유대감을 얻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마을 이름인 '삼돌이'는 박힌 돌(현지 주민), 굴러온 돌(귀촌 주민), 굴러올 돌(귀농 귀촌 예정 주민)을 일컫는 말로 현지에 사는 원주민과 귀촌 주민, 그리고 이 곳에서 귀농과 귀촌을 체험할 이들이 함께 공동체를 만들어 살자는 뜻을 담고 있다.

[특별기획] 단종의 외로움, 엄홍도의 충절, 그리고 삼돌이마을의 추억 (2).jpg
삼돌이마을을 알리는 조형물.

[특별기획] 단종의 외로움, 엄홍도의 충절, 그리고 삼돌이마을의 추억 (3).jpg
'삼돌이'를 의미하는 조형물.

이 곳에 있는 '행복꿈터'는 폐교를 이용해 만든 곳이다. 시골 학교의 분위기가 느껴지는 작은 건물과 양 옆에 세워진 신사임당과 이승복의 동상, 그리고 마을 사람들을 불러모으는 역할을 하는 학교 종이 어린 시절 추억을 떠올리고, 농구장과 족구장, 그리고 각각의 상징물이 아름다움을 더한다.

이 중 <기다림>이라는 제목의 작품이 있다. 폐교에 있던 벤치와 의자를 재활용해 새로운 모양의 의자와 벤치를 만들었는데 이는 곧 이 곳에 앉아 휴식을 취할 사람들을 기다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몸이 힘들 때, 마음이 힘들 때 언제든 와서 앉고 쉬고 기대라는, 마을 사람들의 따뜻함이 작품에 표현된 느낌이다.

[특별기획] 단종의 외로움, 엄홍도의 충절, 그리고 삼돌이마을의 추억 (4).jpg
행복꿈터 전경.

[특별기획] 단종의 외로움, 엄홍도의 충절, 그리고 삼돌이마을의 추억 (5).jpg
의자를 이용해 만든 '기다림'.

인구가 줄어들면서 '지역 소멸 위기 지역'으로 분류되기도 한 영월군이지만 삼돌이마을은 정반대로 인구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10년 전 '외지인은 절대 이장을 하면 안된다'던 마을이 지금은 모두를 환대하는 마을로 바뀌었습니다. 많은 갈등과 어려움이 있었지만 사람이 먼저였기에 함께 이겨낼 수 있었고 그 힘은 바로 '문화'에 있었습니다". 안승배 삼돌이마을 사무국장의 설명이다. 

지역주민들이 즐거워하는 다양한 교육과 함께 비싼 돈을 주고 연예인을 섭외하지 않아도 지역주민들의 실력과 흥으로 재미있는 축제를 만들어내는 것이 삼돌이마을의 자랑이다. 2022년 농림축산식품부 주최 '제9회 행복농촌만들기 콘테스트' 마을만들기에서 문화복지 분야 금상을 수상하며 받은 상금 3,000만원을 삼돌이마을은 전액 지역 장학금과 튀르키예 지진 복구 기금으로 기부했다. '마을의 수익은 마을의 것'이라는 인식에 모두가 함께 했기에 가능했던 것이었다.


[특별기획] 단종의 외로움, 엄홍도의 충절, 그리고 삼돌이마을의 추억 (6).jpg

학교 종을 직접 쳐보는 학생들.



[특별기획] 단종의 외로움, 엄홍도의 충절, 그리고 삼돌이마을의 추억 (7).jpg

삼돌이마을의 추억을 안은 참가자들.



젊은 사람들이 모처럼 왔다며 즐거워하는 마을 사람들이 푸짐한 한 상을 차려주신다. 직접 삼겹살 바베큐를 구우시고 직접 재배한 야채들과 역시 직접 담근 김치, 그리고 강원도의 대표음식인 곤드레밥을 내놓았다. 곤드레밥과 삼겹살, 그리고 마을 사람들의 친절을 가슴에 안으며 참가자들은 여름밤의 추억을 만들어갔다. 각자 찍었던 사진을 서로 평하면서 웃고 그동안 못했던 이야기를 나누며 서로가 가까워지고 있었다.  

다음 날 아침, 마을 사람들이 차려 준 황태해장국으로 배를 채운 참가자들은 조선 제6대 왕 단종이 잠들어있는 장릉으로 향했다. 단종은 태어난 다음 날 어머니를 여의었고 12세에 아버지 문종마저 여의고 왕위에 올랐다. 하지만 김종서 등 대신들과 삼촌인 수양대군의 정치적 갈등 속에서 하루하루를 보내야했고 급기야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정적들을 모두 죽이자 왕위를 수양대군에게 물려주고 상왕이 되었다.   

[특별기획] 단종의 외로움, 엄홍도의 충절, 그리고 삼돌이마을의 추억 (8).jpg
단종이 잠들어 있는 장릉.

[특별기획] 단종의 외로움, 엄홍도의 충절, 그리고 삼돌이마을의 추억 (9).jpg
엄홍도를 기리는 '정려각'.

그리고 금성대군의 단종 복위 시도가 발각되면서 단종은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영월로 유배되었고, 끝내 복위 시도가 계속될 것이라는 신하들의 의견이 우세해지면서 단종은 영월 청령포에서 비참하게 짧은 생을 마감해야 했다. 실록에는 단종이 금부도사가 오기 전 스스로 목을 맸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복득이라는 사람이 뒤에서 단종의 목을 졸라 살해했다는 이야기도 했다. 

이후 후환을 두려워 한 사람들이 단종의 시신을 거두려하지 않자 영월호장 엄홍도가 몰래 시신을 수습해 지금의 장릉 자리에 안장했다고 한다. "옳은 일을 하다가 화를 당해도 나는 달게 받겠다". 엄홍도가 후환을 두려워한 사람들에게 전한 말이었다. 그리고 훗날 숙종 때 단종이 복원되면서 엄홍도는 공조판서에 증직(죽은 후에 품계를 달아주는 것)되었고 그의 충절은 크게 알려졌다.

장릉에는 그의 충절을 기리는 '정려각'과 함께 단종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 신하들의 위패를 모신 '장판옥'이 있다. 그렇게 단종은 충절을 지킨 신하들의 보호를 받으며 왕위에 있을 때는 누리지 못했던 안식을 얻은 것이다.

[특별기획] 단종의 외로움, 엄홍도의 충절, 그리고 삼돌이마을의 추억 (10).jpg
단종을 향해 배를 올리는 학생들.

해설사의 설명을 들은 참가자들은 경건하게 장릉을 향해 배를 올렸다. 왕가에서 태어난 것이 오히려 비극이 됐던 한 소년의 삶이 장릉에, 그리고 영월에 담겨 있다.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 님 여의옵고...' 라며 한숨을 쉬어야했던 금부도사 왕방연의 비통함도 빼놓을 수 없다. 청령포에서 홀로 시련을 견뎌야했던 소년 왕의 눈물을 통해 기억되었던 영월, 하지만 엄홍도의 충절 역시 빛나는 곳이 바로 영월이었다. 

그리고 장릉에는 또 하나의 이야기가 숨겨져 있었다. 슬프고도 재미있는 이야기가.

(④편에 계속)

<원문출처>
NWN 내외방송 http://www.nwt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307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서경대, 유연한 학사제도 - 통합 진로지원체계 인재양성 선도 file

학생중심 학습환경과 교수역량 강화 만나다 서경대(총장 김범준)가 다양한 교수 및 학습지원 프로그램 본격운영, 실용중심의 체계적인 진로 및 취·창업 지원, 전방위적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전개, 지·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본격 ...

서경대 금융소비자연구회 (FCL), ETF, 어디에 어떻게 투자할까? file

본 카드뉴스는 서경대학교 금융소비자연구회(FCL)가 제작한 것으로, 본지의 윤문/표기법 등 편집 방향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문의는 서경대학교 금융소비자연구회로 하시기 바랍니다. ETF(상장지수펀드)는 펀드처럼 여...

[특별기획] 단종의 외로움, 엄홍도의 충절, 그리고 삼돌이마을의 추억 file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GKS사업단 영월 탐방기③ 지난 19~20일 양일간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운영위원장 방미영 교수)과 서경대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이하 GKS(Global Korea Scholarship):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부 제8회 정기공연 ‘오름악’ 성황리에 마쳐···실용음악학부 학생회장 신은태 학우 인터뷰 file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부 학생들의 제8회 정기공연 ‘오름악’이 7월 18일(금) 오후 7시 서경대학교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실용음악학부 제8회 정기공연 ‘오름악’은 2, 3, 4학년 학우들이 참여한 공연으...

한국 대학이 ‘유학생 유치’에 경쟁력 갖추려면[내 생각은/구자억]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국내 소멸 위험 시군구는 전국 228개 중 57%로, 이 지역에 총 65개 대학이 있다. 소멸 위험 지역의 대학이 유학생을 유치해 재정적 어려움을 해결한다면 이는 긍정적인 일이다. 문...

[특별기획] "'인생샷' 남기자" 문화가 영월을 '핫 플레이스'로 만들다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GKS사업단 영월 탐방기 ② 지난 19~20일 양일간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운영위원장 방미영 교수)과 서경대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이하 GKS(Global Korea Scholarship):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

[특별기획] 차(茶)와 예(禮), 여유와 평화, 영월향교에 담겼다 file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GKS사업단 영월 탐방기① 지난 19~20일 양일간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운영위원장 방미영 교수)과 서경대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이하 GKS(Global Korea Scholarship):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전공 졸업작품 전시 2025 HUB 19 ‘No Answer: The identity of ‘I’’ 성료…졸업준비위원장 무대패션전공 김지윤 학우 인터뷰 file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전공 4학년 학생들이 준비한 졸업작품 전시 2025 HUB 19 ‘No Answer: The identity of ‘I’’가 지난 7월 4일(금)부터 6일(일)까지 사흘간, 서울 종로구 윤보선길에 위치한 Gallery71에...

서경대학교, 강동송파교육지원청과 ‘강송 늘봄 드림 캠퍼스’ 운영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지역사회 맞춤형 늘봄학교 운영 통해 초등학교 1~2학년 창의융합역량 강화 선도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는 7월 22일(화) 서울특별시 강동송파교육지원청(교육장 조현석)과 ‘강송 늘봄 드림 캠퍼스’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서경대] '학생 중심 실용교육’ 선도…‘교육-취업-창업’ 아우르는 혁신 모델 구축

2026학년도 수시모집_ 서경대학교 서경대의 취업률은 73.4%로 서울 소재 주요 대학 중 2위를 기록했다.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는 학생 개개인의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실용교육’ 선도대학으로 도약하고 있다. 유연한 학사제...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