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에서 온 사람들이 먼저 외우는 한국어는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이다. 그 다음에는 “괜찮아요” “빨리”를 배우는 게 일반적인 차례다. 어떤 나라에서건 그 나라 말을 배우는 데 가장 먼저 필요한 게 인사인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한국에 살다보면 인사보다는 “괜찮아요”와 “빨리”라는 말이 한국을 가장 잘 표현하는 단어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나도 이 두 단어를 인사보다 먼저 배웠을 정도다. 오늘은 이 “빨리”에 대해 생각해보고 싶다.
10년 전 한국에 처음 왔을 때, 다들 연락 수단으로 소위 ‘삐삐’(페이저)를 썼다. 일본에서도 그때는 삐삐를 썼다. 일본에서는 처음 숫자만 나오다가 오늘날 휴대폰의 문자메시지처럼 숫자 버튼으로 일본 글자인 가다카나를 보낼 수 있게 되었는데, 한국은 그때도 숫자만 보냈던 것 같다.
어느 날 친구의 삐삐가 울려서 들여다보니 ‘8282’라는 문자가 찍혀 있었다. 이것을 ‘빨리빨리’라고 읽는다고 친구가 가르쳐줬다. 그리고 나서 걸어가고 있는데 또 3분 후 ‘82’라는 문자가 왔다. 그리고 또 오고, 또 오고…. 당시엔 카페마다 전화기가 있고, 그것을 공짜로 쓸 수 있었다. 그래서인지, 아니면 마음이 다급해서 그랬는지 ‘82’라는 문자가 계속 날아왔다. 그때 처음으로 ‘한국 사람은 이렇게 성질들이 급하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
한국 사람은 대개 줄을 서는 것을 싫어한다. 일본에서는 음식점에 들어가기 위해 줄을 서거나 놀이공원에 가서 1시간 이상 줄 서는 일이 보통인데 한국에서는 그것을 참지 못한다. 그런데 최근 들어 한국에서도 사람들이 줄을 서는 모습을 흔히 보게 된다. 한국 사람들이 예전보다 느긋해진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한다.
한국에 살아보니 ‘한국 사람은 급하다’는 것을 외국인이든 내국인이든 다들 인정한다. “반도 문화의 영향”이라는 분석적 설명까지 들어본 적이 있다. 그런데 어떤 면에서는 정말 “빨리 해주면 좋겠다”고 느끼는데 정작 늦는 경우도 있음을 경험하게 된다. 가령 학교 수업이 끝나고 다같이 밥을 먹으러 나갈 때가 있다. 약속을 해 놓고도 어디론가 뿔뿔이 흩어져 다시 모이고 만나느라고 바로 200m 앞 식당에 가는 데 1시간 이상이 걸린다.
일본에서는 단체이동은 어렸을 때부터 가르침을 받아서인지 그런 일을 좀체 보기 드물다. 또 쉬는 날에 카페에 들어가면 다들 2~3시간씩 앉아 이야기를 한다. 일본 사람들은 1시간, 길어야 1시간 반 정도 같은 커피숍에 있으면 답답해한다. 그래서 걸어가면서 이야기하거나 구경하면서 이야기하게 되는데, 한국 사람들은 그 시간을 아주 즐기는 것 같다.
이렇게 보면 ‘한국 사람은 급하다’고 하는데, 전부 그렇지는 않다는 생각이 든다. 몇몇 급한 부분에 대한 선입견이 강하게 작용해 다들 그렇게 보는 게 아닌가 한다. 그런데 실체는 말만 “빨리”라고 하지, 급하지 않은 한국 사람이 더 많은 것 같다.
2008. 05. 30 경향신문
어느 날 친구의 삐삐가 울려서 들여다보니 ‘8282’라는 문자가 찍혀 있었다. 이것을 ‘빨리빨리’라고 읽는다고 친구가 가르쳐줬다. 그리고 나서 걸어가고 있는데 또 3분 후 ‘82’라는 문자가 왔다. 그리고 또 오고, 또 오고…. 당시엔 카페마다 전화기가 있고, 그것을 공짜로 쓸 수 있었다. 그래서인지, 아니면 마음이 다급해서 그랬는지 ‘82’라는 문자가 계속 날아왔다. 그때 처음으로 ‘한국 사람은 이렇게 성질들이 급하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
한국 사람은 대개 줄을 서는 것을 싫어한다. 일본에서는 음식점에 들어가기 위해 줄을 서거나 놀이공원에 가서 1시간 이상 줄 서는 일이 보통인데 한국에서는 그것을 참지 못한다. 그런데 최근 들어 한국에서도 사람들이 줄을 서는 모습을 흔히 보게 된다. 한국 사람들이 예전보다 느긋해진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한다.
한국에 살아보니 ‘한국 사람은 급하다’는 것을 외국인이든 내국인이든 다들 인정한다. “반도 문화의 영향”이라는 분석적 설명까지 들어본 적이 있다. 그런데 어떤 면에서는 정말 “빨리 해주면 좋겠다”고 느끼는데 정작 늦는 경우도 있음을 경험하게 된다. 가령 학교 수업이 끝나고 다같이 밥을 먹으러 나갈 때가 있다. 약속을 해 놓고도 어디론가 뿔뿔이 흩어져 다시 모이고 만나느라고 바로 200m 앞 식당에 가는 데 1시간 이상이 걸린다.
일본에서는 단체이동은 어렸을 때부터 가르침을 받아서인지 그런 일을 좀체 보기 드물다. 또 쉬는 날에 카페에 들어가면 다들 2~3시간씩 앉아 이야기를 한다. 일본 사람들은 1시간, 길어야 1시간 반 정도 같은 커피숍에 있으면 답답해한다. 그래서 걸어가면서 이야기하거나 구경하면서 이야기하게 되는데, 한국 사람들은 그 시간을 아주 즐기는 것 같다.
이렇게 보면 ‘한국 사람은 급하다’고 하는데, 전부 그렇지는 않다는 생각이 든다. 몇몇 급한 부분에 대한 선입견이 강하게 작용해 다들 그렇게 보는 게 아닌가 한다. 그런데 실체는 말만 “빨리”라고 하지, 급하지 않은 한국 사람이 더 많은 것 같다.
2008. 05. 30 경향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