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the Tibs x FCL 투자, 위험을 이해하면 달라집니다..png


현재 주식시장은 불확실성 속에서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측면에서는 관세 갈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아 여전히 시장에 관세 관련 우려가 남아 있으며, 물가 상승 압력은 일부 진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그 정도가 불분명해 섣부른 판단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또한 미국의 금리 정책 방향 역시 뚜렷하게 제시되지 않아 투자자들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은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기대감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다양한 변수들로 인해 상승 여력은 제한적이며, 지배구조 개선과 외국인 자금 유입 흐름 역시 긍정적이지만 여전히 신중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the Tibs x FCL 투자, 위험을 이해하면 달라집니다. (2).png


투자 위험은 투자 대상의 어디로 튈지 모르는 가격 변동성이 불러오는 결과입니다.


the Tibs x FCL 투자, 위험을 이해하면 달라집니다. (3).png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가 가득한 시장에서 이러한 투자 위험에 대해 더 정확히 인식하고 관리해야만 합니다.

 

the Tibs x FCL 투자, 위험을 이해하면 달라집니다. (4).png


투자 위험의 본질은 투자한 자산에서 기대한 수익을 얻지 못하거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합니다.

 

the Tibs x FCL 투자, 위험을 이해하면 달라집니다. (5).png


투자 위험은 피할 수 없는 위험인 체계적 위험과 피할 수 있는 비체계적위험으로 분류됩니다.

 

the Tibs x FCL 투자, 위험을 이해하면 달라집니다. (6).png


모두가 피할 수 없는 위험이 있다는 것은 바로 체계적 위험때문입니다.

체계적 위험은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분산 투자만으로는 완전히 제거할 수 없습니다투자자라면 누구나 일정 부분은 이러한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대표적인 사례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코로나19 팬데믹트럼프의 관세 정책 등이 있습니다.


the Tibs x FCL 투자, 위험을 이해하면 달라집니다. (7).png


비체계적 위험은 CEO 리스크, 실적 부진, 시장 점유율 하락처럼 개별 기업에 영향을 주는 피할 수 있는 위험을 말합니다. 백종원 논란으로 주가가 폭락한 이유가 바로 비체계적 위험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더본코리아는 대표자의 논란 때문에 주가가 고점 대비 60%나 하락했고, 가맹점도 피해를 보는 등 CEO 리스크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the Tibs x FCL 투자, 위험을 이해하면 달라집니다. (8).png


이런 비체계적 위험은 종목 분산을 통해 줄일 수 있습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듯, 한 기업에만 투자하면 투자위험이 극대화됩니다. 그래서 시장 전체에 투자하면 많은 종목에 자연스럽게 분산 투자되어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시장은 몇몇 기업이 흔들려도 쉽게 무너지지 않기 때문에 더 안정적인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위험을 줄이기 위해 종목이 아닌 시장 전체에 투자해야 합니다.


the Tibs x FCL 투자, 위험을 이해하면 달라집니다. (9).png


체계적 위험은 완전히 피할 수는 없어도 줄일 수는 있습니다.

그 방법은 자산배분과 장기투자입니다.


자산배분이란 위험자산인 주식에만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채권 등 안전자산에도 투자하여 자산을 균형 있게 나누는 것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국민연금의 포트폴리오는 주식채권대체투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또한 체계적 위험은 영구적으로 지속되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 결국 사라지므로장기투자를 통해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the Tibs x FCL 투자, 위험을 이해하면 달라집니다. (10).png


투자는 위험을 줄이고 자산을 꾸준히 성장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시장투자를 통해 분산하여 비체계적 위험을 줄이고,

자산을 다양하게 배분하고 장기적으로 투자함으로써 체계적 위험을 줄여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자산을 배분하고 시장 전체에 장기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원문출처>

더팁스 https://thetibs.co.kr/?p=3174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멋쟁이사자처럼, 서경대·경북대에 커피차 선물… 1,000명 응원하며 캠퍼스 활력 더해 file

IT 교육 기업 멋쟁이사자처럼(대표 나성영, 이하 '멋사')이 지난 6월 19일과 20일 양일간 서경대학교와 경북대학교에서 '캠퍼스 커피차 이벤트'를 열고, 기말고사를 준비 중인 대학생들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전했다. 이번 행사는...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칼럼:[임성은의 정책과 혁신] 〈19〉새 정부 인사의 3가지 시험대 file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前 서울기술연구원장 6월의 가장 큰 뉴스는 새 정부의 출범과 대통령에 관한 이야기다. 대통령 취임 후 6개월에서 1년을 흔히 '허니문 기간'이라 한다. 긍정적 여론이 비교적 유지되는 시기라...

서경대학교가 운영하는 서울시립청소년음악센터 ‘2025 제3회 SYMF 서울청소년뮤직페스티벌 보컬&밴드 경연대회’ 개최 file

‘청소년 음악예술’ 가능성에서 전문성으로···청소년 음악인재 성장의 무대 열다 서울시(시장 오세훈)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가 수탁받아 운영하는 청소년 음악 특화시설 시립청소년음악센터(센터장 심...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전공 ‘2025 전국 고등학생 창의적의상조형·창의적의상드로잉 실기대회’ 개최 file

8월 23(토) 오전 9시 교내 수인관 ▲ 2025 전국 고등학생 창의적의상조형·창의적의상드로잉 실기대회 https://th.skuniv.ac.kr/th_notice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전공(주임교수 박은정)은 오는 8월 23일(토) 오전...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 2025학년도 제10회 졸업작품 패션쇼 ‘Metamorphosis[탈피]’ 성공적인 마무리···연출 서윤우(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 24기) 학우 인터뷰 file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 학생들이 지난 6월 6일(금) 오후 4시와 오후 7시, 두 차례에 걸쳐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2025학년도 제10회 졸업작품 패션쇼 ‘Metamorphosis[탈피]’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전공 2025 HUB19 ‘IL NODO’ 제10회 졸업작품전, 6월 20일 유튜브 최초 공개 file

2025년 6월 20(금) 오후 2시 무대패션전공 공식 유튜브 SF studio K-HUB 홈페이지 khub.skuniv.ac.kr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전공(주임교수 박은정)은 통합형 공연예술 창의융합 인재양성 프로그램인 HUB19 ‘...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칼럼: 경주 APEC 안전관리는 성공적 개최의 바로미터 file

채성준 / 서경대학교 군사학과 교수(학과장), 안보전략연구소장 ↑↑ 채성준 / 서경대학교 군사학과 교수(학과장), 안보전략연구소장 오는 10월 말~11월 초 제32차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2005년 부산 회의 이후...

[the Tibs x FCL] 투자, 위험을 이해하면 달라집니다. file

현재 주식시장은 불확실성 속에서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측면에서는 관세 갈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아 여전히 시장에 관세 관련 우려가 남아 있으며, 물가 상승 압력은 일부 진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

[서경대 MFS] 새로운 투자 트렌드를 선도하다, 로빈후드의 AI와 전문가의 만남 file

수수료 없는 모바일 주식거래 앱 - Robinhood  서경대학교 MFS연구회 임대창 연구원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

하남시,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운영…세대 공감 인문교육 본격화

- 신장도서관, 미술·문학·AI 멘토링 프로그램 5개월간 운영 - 문화체육관광부 공모 선정…전액 국비로 중장년층 소통 지원 하남시(시장 이현재)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가 주관하는...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