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진세근 교수.jpg

진세근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산다는 건 누구에게나 녹록지 않다. 우리 특유의 ()문화는 그래서 우리 가슴을 친다. ()은 질병, 고난, 빈곤 같은 불행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살아가는 모든 것이 안타깝고, 안쓰럽고, 서글프고그래서 한()인 것이다.

 

산다는 게 힘에 부친다는 걸 극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 자살이다. 자살을 보도할 때는 극단적 선택이란 표현을 사용한다. 그만큼 조심스런 주제다. 하지만 과연 모든 마감이 선택일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내몰린 선택은 진정한 선택일 수 없기 때문이다.

 

9일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생명존중 자살예방 세미나가 열렸다. 사회적 차원에서 자살을 막고, 생명 가치를 지키는 방안을 고민하는 자리다. ‘생명존중정책 민·관협의회와 한국을 대표하는 신문·방송·통신사의 최고 보도책임자 모임인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가 함께 했다.

 

우리 자살률이 OECD 국가 가운데 줄곧 1위라는 건 웬만한 분들은 다 안다. 그러나 이유를 들여다본 분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국민소득 1백 달러 시대보다 3만 달러 시대의 자살이 더 늘어난 이유는 1인 가구가 41%에 이를 정도로 학연·혈연·지연 네트워크가 붕괴된 탓이 크다. 생활 격차가 견디기 힘든 수준으로 벌어진 것도 한몫했다. 경제 수준이 낮은 스리랑카, 미얀마 등은 자살률이 현저하게 낮은 반면, 경제 도약 중인 베트남의 자살률은 심각한 것도 이 때문이다.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따로 있다. 자살을 개인적인 문제로 보는 시각이다. 우리에겐 자살은 개인 책임이며 따라서 해결도 개인과 가족의 몫이라는 입장이 강하다. 반면 자살은 내몰린 죽음(일본), 자살은 국가정책의 우선 과제(미국), 자살 시도자 국가 등록 및 지원(대만), 경찰 보호 후 전문의 판단 거쳐 72시간 동안 입원(미국·유럽) 등 다른 선진국들은 국가·사회의 책임과 체계적 관리를 강조한다.

 

기구와 예산도 빈약하다. 교통안전의 경우 국무총리실 사회통합정책실, 행안부 재난안전실 등 층위별로 촘촘하게 관리한다. 예산은 3천억 원이 넘는다. 그 덕분에 한 해 13천 명 정도를 구조한다. 자살예방은 총리실 자살예방정책협의회,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 정도다. 나머지는 민간 기구다. 연간 예산도 3백억 원에 불과하다.

 

OECD 국가 가운데 자살 시도자를 집으로 돌려보내는 나라는 아마도 한국뿐일 것이다. 자살의 원인을 제공했을지도 모를 곳으로 자살 시도자를 되돌려 보내는 셈이다. 그 가정에는 의지할 가족이 없거나 치료 등을 위한 경제적 능력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런데도 무작정 돌려보낸다. 경찰 보호 후 법원 판단을 거쳐 치료와 지원이 진행되는 미국의 경우와 대조된다.

 

자살뿐이겠는가? 국민 피부에 와 닿는 부분을, 정치권은 대개 외면한다. 생색이 나지도, 표에 도움이 되지도 않기 때문이다.

 

차기 대선의 선택 기준이 국민 사랑이 돼야 하는 이유다. 국민 사랑이 전제되지 않은 정책은 수정하거나 폐기해야 한다고 믿는다.

 

이념도 좋고, 개인적 인연도, 지연도 중요하다. 그러나 최우선 기준은 국민 사랑이어야 한다. 정책 밑그림을 세밀하게 그리는 후보, 목소리보다는 내용으로 승부하는 후보, ‘깐부들아닌 브레인들로 팀을 꾸리는 후보, 국민에게 거짓을 얘기하지 않는 후보를 선택하자. 이런 후보를 고르려면 유권자 스스로가 수고해야 한다. 그래야 사탕발림과 요언(妖言)에 속지 않는다. 우리 모두 ()이 되자.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7444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203

서경대학교, ‘2021 Lean Canvas 창업캠프’ 개최 file

11월 25일(목), 26일(금) 이틀간 비대면 실시간으로 성황리에 진행 Lean Cavnas 9 Block Matrix를 활용, 초기 스타트업에 필수적인 핵심요소 통해 비즈니스모델 수립하는 기회 가져 서경대학교 교육혁신처 창업지원센터(센터장...

경기도 귀어귀촌종합지원센터, '청년인구 유입증대를 위한 문화어활' 시행 file

▲ 26일부터 28일까지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에 위치하는 국화도에서 “청년인구 유입증대를 위한 문화어활”을 시행했다. 경기도 귀어귀촌종합지원센터(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장 이승재)는 11월 26일부터 28일까지 경기...

화제 속에 진행되고 있는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의 성북구 알리기 프로젝트 <성북구에서 살아남기> 시리즈 일곱 번째 영상 업로드 돼 큰 관심과 사랑 받아 file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이하 청문단, 운영위원장 방미영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교수)과 성북구청이 함께하는 성북구 알리기 프로젝트 ‘성북구에서 살아남기’의 일곱 번째 영상이 성북구청 공식 유튜브 채널 ‘성북TV’에 업...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과거-현재가 소통하는 ‘사유의 방’[이즈미의 한국 블로그] file

소극장만 한 439m2(약 133평) 공간에 나지막한 타원형 무대가 있고 두 점의 조각상이 올려져 있다. 마치 무대 위에서 조용히 앉아 공연이 시작되길 기다리는 꽃미남 배우 같다. 11월 국립중앙박물관은 국보 금동미륵반가사유상...

서경대학교 군사학과, 이틀에 걸친 자체 체육대회로 선후배 간 의미 있는 시간 만들어 file

서경대학교 군사학과(학과장 채성준 교수)가 ‘위드 코로나’ 시행 지침에 맞춰 지난 11월 22일(월)과 24일(수) 이틀간에 걸쳐 자체 체육대회를 열었다. 22일에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농구와 풋살 경기를 펼쳤고, 24일...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아침광장] 대권(大權)이 아니라 대임(大任)이다 file

중국 역사에서 명군(名君)은 몇 명쯤 될까? 그 숫자를 정확히 알 순 없겠지만 명군의 정의만큼은 분명하다. 중국 역사가들이 꼽은 명군의 조건은 네 가지다. 첫째, 나라를 세우거나 천하를 통일한 군주다. 진(秦)시황제(始皇帝...

서경대학교 액셀러레이터 주식회사 액틴(Actin), ‘K-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 IM Workshop&액틴 Demo Day’ 성공적 개최 file

11월 11일, 12일 양일간 The K Hotel Seoul서, 해외 스타트업 대거 참여, 국내시장 진출 및 정착 위한 지원·투자연계 등 제공 받아 서경대학교 액셀러레이터 주식회사 액틴(Actin)이 지난 11월 11일(목), 12일(금) 양일...

2021년 2학기 기말고사 전, 도전해 볼 만한 공모전, 뭐가 있을까? file

2년째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 19 확산세로 인해 대면과 비대면 수업을 병행한 지도 벌써 네 학기 째다. 학기 중 잠시나마 ‘여유’를 느낄 수 있는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사이 시간, 이를 보다 가치 있게 보내고 싶어 하는 학...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 외국인 학생 대상, ‘대학생활 적응 브릿지 프로그램’ 운영 file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센터장 민미희 교수)에서는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외국인 학생들의 고립감과 불안감, 무기력증 등을 해소하고 보다 적극적이고 생산적으로 대학생활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2021년 연말부터 동계방학까지, 도전해볼 만한 대외활동엔 어떤 게 있나? file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이 시행된 지도 어느새 한 달이라는 시간이 지나가고 있다. 작년부터 1년 가까이 이어졌던 전면 비대면 수업의 기조는 코로나 19 백신 접종률 증가에 따른 일상 회복과 함께 일부 실습수업이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