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스윙플레인(Swing Plane)은 골프 클럽이 골퍼의 몸 주변을 이동하는 각도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이것은 타겟의 반대 방향에서 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스윙플레인은 크게 원플레인과 투플레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면을 의미하는 플레인(Plane)이 골프스윙 중 몇 개로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원플레인과 투플레인이 결정되는데, 이 두 가지 플레인에 대한 논쟁은 골퍼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원플레인 스윙과 투플레인 스윙의 가장 큰 차이는 백스윙에서 만들어지는 어깨와 팔의 위치이다(그림 1의 노란선과 파란선).

 

원플레인 스윙에서는 <그림 1>과 같이 어께와 팔을 같은 면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플렛한 스윙이 만들어지는 반면, 투플레인 스윙에서는 와 같이 어께와 팔이 다른 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업라이트한 스윙이 만들어진다.

 

또한 원플레인 스윙에서는 하체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투플레인 스윙보다 스텐스를 조금 더 넓게 하고 상체를 더 굽힌다. 원플레인스윙은 스윙이 한 개의 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타이밍의 문제가 적어지는 반면 비거리를 위해서는 근력과 유연성이 필요하다.

 

투플레인 스윙에서는 팔의 위치가 업라이트하기 때문에 원플레인 스윙보다는 더 많은 위치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지만 두 개의 플레인으로 스윙하기 때문에 타이밍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림 1.png    

상완과 전완의 비율, 양팔을 폈을 때의 길이와 신장의 비율 등을 따져 각 골퍼들에게 적합한 스윙플레인을 제시하는 방법도 활용되고 있지만, 개인에 따라 발달된 근육과 운동범위가 다르고 골프에서는 그에 따른 보상동작이 작용하기 때문에 단순히 신체 비율만 가지고 스윙플레인을 결정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자신에게 적합한 스윙플레인을 찾기 위해서는 자신의 신체조건과 운동능력을 고려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 즉 스윙이 이루어지는 동안 만들어지는 에너지를 임팩트 시 볼에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시켜줄 수 있는 스윙플레인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스윙플레인이라고 할 수 있다.

 

골프스윙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또 만들어 내기도 한다. 골프스윙에서 필요한 에너지는 크게 포텐셜에너지(Potential Energy)와 키네틱에너지(Kinetic Energy)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물체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포텐셜에너지가 필요하다. 포텐셜에너지는 우리의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에너지로 롤러코스터가 정상에서 가지고 있는 위치에너지, 다이나마이트가 가지고 있는 화학적에너지, 새총의 고무줄을 당겼을 때 발생되는 탄성에너지 등이다.

골프스윙에서도 롤러코스터처럼 백스윙탑에서 클럽이 가지는 위치에너지, 다이너마이트처럼 꼬임으로 발생되는 화학적에너지, 새총의 고무줄과 같이 임팩트 시 샤프트의 밴딩과 볼의 압축에 의해 탄성에너지가 발생된다.

 

키네틱에너지는 물체가 움직일 때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로 대포에서 포탄이 날아갈 때 발생되는 에너지와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골프스윙에서 에너지는 <그림 2>와 같이 발생된다.


그림 2.png

백스윙을 시작하면 클럽의 움직임으로 인한 키네틱에너지가 발생된다.

 

백스윙 탑에 이르게 되면 클럽의 위치에서 발생되는 위치에너지와 백스윙의 꼬임으로 근육에 저장되는 케미컬에너지와 같은 포텐셜에너지가 발생된다.

 

다운스윙이 시작되면 포텐셜에너지는 키네틱에너지로 전환되며 키네틱에너지는 클럽을 통해 볼에 전달된다.

 

키네틱에너지가 볼에 전달되는 순간 아주 적은 양이지만 일부는 열과 소리로 소모되고 대부분의 키네틱에너지는 볼을 대기 중으로 띄우며 전진시킨다. 키네틱에너지가 볼을 띄우면서 위치에너지에 의한 포텐셜에너지를 발생시키고 포텐셜에너지는 다시 키네틱에너지로 전환됨을 반복하다 지면으로 낙하한다.

 

이처럼 골프스윙 중 에너지는 생성과 변환의 과정을 거치며 볼에 전달되기 때문에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의 효율적 에너지 생성과 전달이 골프스윙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어떤 스윙플레인이 좋다또는 나쁘다를 따지기 이전에 자신이 가장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생성하고 전달할 수 있는 스윙플레인이 무엇인지를 찾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

 

*칼럼니스트 김구선: 이학박사/MBA. 미국 위스콘신주립대에서 국제경영학을 전공했다. 현재는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골프학회 부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원문출처>

골프한국 https://golfhankook.hankooki.com/01_news/NewsView.php?category=13&gsno=10244009&s_ref=nv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채성준 서경대군사학과 교수 칼럼:국가정보원 바로 서 ‘이름 없는 별’들 명예 지켜져야 file

국가정보원 청사에는 순직한 요원들을 기리는 ‘이름 없는 별’ 조형물이 있다. 2018년 7월 문재인 전 대통령의 취임 후 첫 국정원 방문을 계기로 조성됐다. 당시엔 별이 18개였으나 지금은 19개로 늘었다. 조형물 밑에는 “소리...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K팝이 소환한 ‘푸른 산호초’의 62세 여전사 마쓰다[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일러스트레이션 박초희 기자 ‘그대가 좋아, 아∼ 내 사랑은 남풍을 타고 달려가요∼(あなたが好き, あ∼私の恋は 南の風に乗って走るわ∼).’ 일본 가수 마쓰다 세이코(松田聖子)가 1980년 데뷔 후 두 번째로 발표한 ‘푸른 산호초...

[서경대] 미래융합학부·자유전공학부 신설…대학체제 산학협력 친화형으로 전환 file

2025학년도 수시 모집_서경대 서경대가 현재와 미래의 사회적·경제적·기술적 도전에 대응하고자 ‘미래융합학부’를 신설하고, ‘현장 실무 중심 창의융합 교육’으로 실용 중심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서경대] 교과·논술·실기 전형 등 다양… 신설 학부·정원 등도 눈여겨 봐야 file

2025학년도 수시 모집_서경대 서경대가 현재와 미래의 사회적·경제적·기술적 도전에 대응하고자 ‘미래융합학부’를 신설하고, ‘현장 실무 중심 창의융합 교육’으로 실용 중심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서경대는 2025학년도 수...

대학생들을 위한 2024년 하반기 정부 및 민간 부문 학자금 · 주거 지원사업 어떤 게 있나 file

대학생들은 학업에 정진해야 하는 한편으로 면학을 하는데 필요한 경제적인 비용에 대한 부담을 안고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이런 어려운 상황 속에서 정부나 민간 부문이 제공하고 지원하는 학자금 및 주거 등의 지원 사업들은...

미래융합학부 1·2, 자유전공학부 신설…변화와 혁신 통해 ‘학생 성공’ 이끌어 file

서경대학교  논술우수자와 교과우수자①·② 전형 신설 어학특기자·교과우수자·일반학생 전형 폐지 논술전형 논술고사 비중은 70%→ 90%로  서경대학교는 2025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입학정원 1,309명 중 정원내 1,035명(79.06%)을 ...

서경대학교에는 어떤 교양과목들이 있을까? 교양과목 소개 시리즈 <3> 인성과 체육 file

서경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은 학생들이 갖춰야 할 기본 소양과 다양한 지식을 함양하는 동시에, 사회가 필요로 하고 시대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갖춘 CREOS형 글로벌 실용인재로 길러질 있도록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

서경대학교 풀잎봉사단, 길음종합사회복지관과 함께 관내 취약계층 어르신 대상 ‘해신탕으로 건강한 여름나기’ 행사 진행 file

서경대학교 풀잎봉사단은 길음종합사회복지관과 함께 지난 7월 20일(토) 관내에 거주하는 몸이 불편한 취약계층 어르신들을 위한 ‘해신탕으로 건강한 여름나기’ 행사를 진행했다. 무더위가 한창 기승을 부리던 지난 7월 20일...

서경대학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육과정 적합 여부 및 전공학과 인정 심의 승인 file

예술(미술, 음악 등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제시한 자격요건 10개 문화예술분야) 전공 재학생 ‘문화예술교육사’ 취득 가능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주관하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취득을 위한...

채성준 서경대군사학과 교수 칼럼: [기고] ‘수미테리 사건’ 계기로 안보 법규 강화해야 file

한국계 미국인 로버트 김은 미국 주재 한국대사관의 무관 백동일 대령에게 기밀정보를 제공한 혐의로 1996년 9월 FBI에 체포되어 8년 가까이 수감되었다. 그는 2005년 11월 방한 기자회견 자리에서 “나는 스파이가 아니라 조국...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