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교수 칼럼.jpg


박수 쳐 주신 만큼 복 받아가세요.”

 

넉넉한 미소와 인자한 인상의 선생님은 언제나 강연을 마치며 박수를 보내는 사람들을 향해 공손히 예를 갖춰 말씀하셨다. ‘한옥 전도사신영훈 선생님이 52886세를 일기로 돌아가셨다. 나는 한옥을 보면 늘 선생님의 둥글고 미소 짓는 얼굴이 떠오른다.

 

선생님은 한국 전통건축의 큰 기둥이다. 평생 전국 곳곳을 다니며 옛 건축물의 역사와 전통, 문화적 의미를 찾는 데 헌신했다. 문화재청에서 오래 근무하며 문화재 복원 현장에서 숭례문과 송광사 대웅보전, 경주 토함산 석불사 중수공사 감독관을 지낸 대목장이다. 파리의 고암 이응노 화백 기념관인 고암서방, 멕시코의 한옥정자 등을 지어 건축 한류의 원조이기도 했다. 그 후 한옥문화원을 설립해 한옥 짓기 실습’ ‘아파트를 한옥처럼 가꾸는 일’ ‘한옥의 현대화등 다양한 강좌를 개설해 전통건축과 현대건축의 조화를 끊임없이 추구하기도 했다.


이즈미 지하루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내가 한옥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서울 종로구 팔판동에 살면서부터였다. 팔판동은 삼청동과 경복궁 사이에 위치한 옛 한옥집이 많이 남아 있던 곳으로 동네 지인의 한옥에 놀러 가면서 호기심을 갖게 됐다. 햇수로 17년간 그곳에서 지내며 한옥에 살아보고 싶은 욕심이 생겨 집을 보러 다녔지만, 결국 한옥에 거처를 구하지는 못했다. 그래도 동네 사람들과 함께 한사모(한옥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라는 모임을 만들어 한옥 지킴이로 작은 시민운동에 참여했고 한옥에 대해 공부하며 답사를 다니기도 했다.

 

학생 때 글로 알고 있었던 신영훈 선생님을 이때 직접 만났다. 선생님의 강의를 듣기도 했고, 답사에도 몇 차례 참여할 기회가 있었다. 선생님의 해설은 학교에서 배우지 못한 구체적이며 섬세하고 신기한 내용들이었고, 그 건축물이 사용되던 옛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다. 그중 특히 인상적이었던 것은 창덕궁의 후원을 함께 답사하며 배웠던 경험이다. 그곳에서 왕세자 등에게 축소된 상징물과 자연을 통해서 제왕학을 절로 학습시켰다는 이야기였다. 전통건축물이나 관련 구조물들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선조들의 깊은 뜻과 철학을 담고 있다는 설명에 감탄했다. 선생님의 답사는 차분하게 진행됐고 창덕궁처럼 팀별로 순서에 맞춰 관람하는 일반 관광객의 안내와 마주치는 경우 그분들에게 폐가 되지 않도록 한쪽으로 비키게 하는 등 배려하는 모습에서 답사의 매너까지 배웠다.

 

이달 21일부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 보물전 2017-2019’라는 전시를 시작했다. 국립중앙박물관과 문화재청이 함께 마련한 전시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지정된 국보와 보물 157건 중 83196점을 공개하는 자리다. 국보와 보물 공개 전시로는 국내 사상 최대 규모다. 강원 평창군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전남 구례군 천은사 극락보전, 경북 예천군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 강원 강릉시 경포대, 경북 안동시 체화정, 전북 진안군 수선루 등 6건은 영상으로 소개되어 있다. 영상은 드론으로 촬영한 듯 조감으로 시작해 건축물에 다가가며 또 다른 맛을 느낄 수 있다.

 

최근에는 2018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19한국의 서원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잇달아 지정되며 한국 목조건물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따뜻하고 아름다운 한옥 건축물들은 전국에 자리하고 있어 쉽게 접할 수 있고 보는 이들에게 미소를 떠올리게 하며 마음을 치유해 줄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를 맞아 해외 대신 한옥을 찾아 국내를 돌아보면 어떨까? 한적한 자연 속의 정자에서 잠시 자신을 뒤돌아보는 것도 좋고, 직접 갈 수 없더라도 온라인을 통해 소개되는 다양한 건축물을 만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신영훈 선생님의 맛깔스럽고 구수한 목소리, ‘복 받아가라시던 말씀이 떠오른다. 한옥의 나뭇결 하나하나에 온기를 담아주던 추억들, 선생님의 인품과 한옥이 하나가 되어 이뤄진 여러 기억들. 앞으로도 선생님은 한옥과 함께 나와 선생님을 만난 많은 이들의 기억 속에 영원히 남을 것이다.


<원문 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724/102134889/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502

SW챌린지 공모전 시상...최우수상 최상희 서경대 학생 file

최상희 서경대 학생이 반려동물을 위한 펫 AR카메라 애플리케이션으로 '2018 SW챌린지 공모전' 최우수상을 받았다. 한국SW산업협회(회장 조현정, 이하 협회)는 19일 수산아이앤티 대회의실에서 '2018 SW 챌린지 공모전 시상식'을 ...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2018학년도 졸업작품 전시회 개최 file

11월 15일(목) 오전 10시 교내 북악관 5층서 중고거래사이트 ‘We Make Deal' 등 60여 편의 작품 선보여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학과장 박태룡)는 11월 15일(목)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교내 북악관 5층에서 졸업작품 전시회를...

[진세근 교수 기고] 담박<淡泊> file

담박의 ‘담’은 묽다는 뜻이다. 짙거나 빽빽하지 않고 오히려 싱겁거나 묽거나 옅은 것을 말한다. 담박의 ‘박’은 ‘머문다’는 뜻이니 담박은 ‘묽은 상태에 머물다’쯤 되겠다. 욕심·집착·꾸밈 같은 말과 반대편에 선 개념이...

「신입생을 위한 대학생활 백서」 기획시리즈 #1 국가장학금 file

지난해에 이어 2021학년도에도 코로나 19로 인해 정상적인 대학생활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서경대학교에서는 21학번 신입생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다. 처음으로 대학에 들어와 모르는 것이 많은 새내기들과...

‘서경대학교’ 라디오 CM 방송 예고 file

3월 1일(월)부터 대한민국 대표 음악방송인 CBS-음악FM 통해 전 국민에 ‘서경대학교’ 알려 서경대를 노래로 일반 국민들에게 알리는 서경대학교 라디오 CM 방송이 오는 3월 1일(월)부터 대한민국의 대표 음악방송인 CBS-음악F...

서경대학교 박은정, 임성은, 김국희, 조영아 교수, 복식고증 통한 서울시 전통문화행사 재연방안 연구수행 file

우리 고유의 의복으로 뛰어난 아름다움과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한복. 그러나 한복은 활동하기 불편하고 특별한 날에 차려입는 옷이라는 인식 때문에 한복수요가 급감하면서 국내 한복 산업은 점차 쇠퇴일로에 있다. 여기에...

[반성택 서경대 교수 칼럼:디지털인문학] 大入 공정성에 중산층은 없는가 file

반성택 철학과 교수 조국 전 장관을 둘러싼 사회적 논란이 뜨겁더니 이제 그 열기가 대학입시 문제로 옮겨졌다. 학종의 공정성이 논란거리로 등장하였다. 그런데 현행 대입제도에서 학종의 공정성이 문제되는 바탕은 그 제도 자...

65회 매경테스트 대상 김형준씨…동아리 대상은 서울시립대 file

◆ 경제신문은 내친구 ◆ 지난 5월 열린 제65회 국가공인 경제·경영 이해력 인증시험인 매경TEST(매테)에서 영예의 대상은 서울시립대에 재학 중인 김형준 씨(사진)가 차지했다. 김씨는 "취업 준비와 함께 그동안 공부했던 전공 ...

"뭉쳐야 산다" 서울 동북4구 대학 산단장 포럼 개최 file

고려대서 강북구·도봉구·노원구·성북구 소재 대학 참석 '서울시 동북4구 대학 산학협력단장 포럼'이 10일 고려대 안암 자연캠퍼스 산학관에서 열렸다. 고려대 산학협력단이 주최한 포럼은 강북구·도봉구·노원구·성북구 소재 고려대,...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교육부 주최 제11회 방과후학교 대상 지역사회연계·협력부문 장려상 수상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예술교육센터는 지난 12월 18일(수)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열린 '제11회 방과후학교 대상' 시상식에서 지역-대학-학교의 적극적인 연계·협력을 실천하여 방과후학교 활성화 및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동기를...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