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제조업의 미래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0000223167_001_20181218140239130[1].jpg

논설위원 전창배

‘4차 산업혁명’이란 용어는 2016년 다보스 세계경제포럼(WEF)에서 클라우스 슈밥 회장이 최초로 언급한 용어로 현재는 전 세계에서 보통명사처럼 쓰이는 단어가 되었다.

사실 4차 산업혁명은 현재 명확히 정립된 개념은 없지만 기존의 1차, 2차, 3차 산업혁명과 비교해본다면, 다음과 같이 대략 구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18세기 후반 증기기관을 이용한 공장 생산 체계의 탄생을 1차 산업혁명, 19세기 후반 전력을 기반으로 분업화,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 2차 산업혁명, 그리고 20세기 후반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화, 자동화 혁명이 일어난 3차 산업혁명, 마지막으로 현재 인공지능(AI)과 ICT 융합을 필두로 초연결, 초지능의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4차 산업혁명까지의 과정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분야를 제조업으로만 한정해서 본다면, 이에 해당하는 차세대 핵심 기술이 바로 “스마트 팩토리” (Smart Factory Technology) 기술이다.

스마트 팩토리란 공장 내 설비와 기계에 사물인터넷 센서(IoT Sensor; Internet of Things Sensor)를 설치하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하여 공장 내 모든 상황을 한눈에 알 수 있게 한 후, 이를 분석하여 목적된 바에 따라 스스로 제어하는 ICT 기반의 지능형 공장을 의미한다. 현재 스마트 팩토리로 앞서 나가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독일의 주방가구기업 노빌리아(nobilia)와 스포츠용품 글로벌 기업인 아디다스(Adidas)를 들 수 있다.

노빌리아는 공장 2곳에서 2,500명의 직원이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통해 매일 2,600세트, 연간 580,000세트의 고객 맞춤형 부엌가구를 전 세계 70여개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아디다스는 2013년부터 스피드 팩토리 (Speed Factory)라는 스마트 공장을 구축하여, 현재 독일의 안스바흐 공장에서 연간 50만 켤레의 운동화를 단 10명이 생산하는 획기적인 시스템을 가동 중에 있다.

그 결과 두 기업 모두 제조 생산성과 비용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불량률은 크게 감소하는 등 전체적인 매출과 영업이익률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얻었다.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스마트 팩토리 기술의 도입 및 연구개발, 관련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독일, 미국, 일본, 중국 등 다른 제조 경쟁국들에 비해 크게 뒤쳐져 있는 상황이다.

다행히 작년 12월 13일 정부가 중소벤처기업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9개 부처와 공동으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를 발표한 자리에서,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와 스마트 산업단지 10개를 조성하고, 스마트공장 전문 인력 10만명을 양성한다는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한 것은 시의적절한 일이다. 작금을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들어섰다고는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제조업이 전체 GDP의 29.3%를 차지할 정도로 제조업이 국가 산업에 끼치는 영향력이 대단히 크다.

따라서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제조 핵심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나아가 선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제조업 분야의 혁신이 반드시 필요하며, 스마트 팩토리는 제조업 혁신의 가장 필수적인 전략이 될 것이다.

고무적인 점은 우리나라가 제조업 분야에서 세계를 리딩하는 대기업들이 존재하며, 로봇 보급률 세계 1위, 스마트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ICT 인프라의 강국이기에, 국가적 잠재력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관련 기술을 선도하는 미래 글로벌 제조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려 있다는 점이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때라는 말처럼, 정부와 학계, 기업이 적극 협력하여 2019년도가 스마트 제조업(Smart Manufacturing)으로 도약하는 원년이 되기를 기원해 본다.

<원문출처> 

KNS뉴스통신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513423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369

2024년 서경대학교 인문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연합체육대회 ‘인싸체전’ 성황리에 마쳐 file

종합우승 군사학과, 준우승 경영학부 6개 학과 참여, 5월 28일(화)부터 30일(목)까지 3일간 스콘 스퀘어 등서 8개 종목 열전 펼쳐 서경대학교 제34대 ‘새늘’ 인문과학대학생회와 제26대 ‘우연’ 사회과학대학생회가 주최하는 인...

서경대 MFS연구회, 국내 15개 은행 앱(App)평가보고서발표 “금융상품의 다양성통한 국내은행 뱅킹앱 분석” file

5일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MFS(Mobile Financial Service)연구회(지도교수 서기수)는 다양성 파트에선 얼마나 다양한 상품 가입이 가능한지 15개의 국내은행의 슈퍼앱을 비교 분석한 평가보고서를 발표, 주목을 끌고 있다...

환경공단·환경산업기술원 “기계는 국산화하고, 디지털로 고도화하고” file

'엔벡스 2024' 출품된 환경기술 살펴보니 엔벡스 2024에서 환경공단은 긱종 환경기술과 환경사업을 전시해 관람객의 시선을 끌었다. 서울 코엑스에서 3일부터 사흘 일정으로 열리고 있는 ‘제45회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칼럼:[오늘의시선] 北 오물풍선은 고강도테러의 전주곡 file

南에 공포감 조성 겨냥한 다목적 노림수 인명 살상 등 물리적 도발 가능성 배제 못해  비대칭 전력은 전쟁에서 무력 격차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전술적 수단을 말한다. 이 개념은 앤드루 맥이 베트남전을 모델로 1975년 ‘...

한강에서 부활한 대학가요제… “국민 축제로 키워나갈 터” file

2024한강대학가요제,지난달 25일… 서울시-동아일보 공동 주최로 열려 84개 대학, 264개 팀 열띤 경연 서경대 밴드 ‘펜타클’ 영예의 대상 吳시장 “시민도 함께 즐길 수 있게”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 물빛무대에서 지난달 2...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2024 제2회 SB 스타트업 네트워킹 페스티벌’ 개최 file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은 성북 창업 클러스트 연합체인 성북구청, 고려대, 국민대, 동덕여대, 한성대 캠퍼스타운 사업단과 함께 6월 7일(금) 오전 10시 동덕여자대학교 백주년기념관 1층 대공연장 및 로비에서 ‘2024...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중어전공 이민석(24학번) 학우, 한어교(汉语桥) 세계 중국어 말하기 대회 ‘금상’ 수상 file

서경대학교는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중어전공 이민석 학우(24학번)가 5월 25일 서강대학교 정하상관에서 열린 서울공자아카데미·한어교서울센터 공동 주최 ‘2024년 중국교육부상 한어교 세계 대학생·중고등학생·초등학생 중국어대회(한...

[서경대 MFS] 국내은행 뱅킹앱 분석 ① 다양성 file

국내은행들의 모바일 앱 상품 경쟁 심화.. 전통적인 시중은행뿐 아니라 지방은행, 인터넷전문은행에서도 다양한 금융상품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어떤 은행이 가장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을까? 서경대 MFS...

한국보육진흥원, '삼성 다양성 존중 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 개최 file

삼성복지재단 후원으로 전국 어린이집 100개소 대상  한국보육진흥원(원장 나성웅)은 지난 31일 서울 용산구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강당에서 ‘삼성 다양성 존중 프로그램’ 원장 및 교사 교육 오리엔테이션을 성공적으로 개최했...

전규열 서경대경영학부교수 : 뉴시안, 전규열 공동대표이사·편집인 선임 file

전규열 뉴시안 공동대표이사  뉴시안은 공동대표이사 겸 편집인으로 전규열 전 공감신문 대표를 25일 선임했다고 밝혔다. 전규열 공동대표는 청와대와 국회, 한국은행과 은행연합회 등 출입기자와 시사저널 객원논설위원으로 활동...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