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jpg  


이즈미 지하루 교수_동아일보.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새로운 해가 시작됐다. 올해는 기해년(己亥年)으로 십이지의 마지막 동물인 돼지의 해다. 돼지저금통, 돼지꿈, 꽃돼지, 복돼지…. 한국에서 돼지는 ‘다산으로 재산을 불러 모으는 복의 상징’이라고 하여 좋은 이미지다. 하지만 일본에선 비만 등의 부정적인 이미지도 있다.

처음 한국에 왔을 때 여자아이에게 ‘꽃돼지’라고 부르는 남자아이를 보고 깜짝 놀랐다. ‘혹시 실례가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잘 들여다보니 ‘돼지’는 아니지만, ‘꽃돼지’는 복스럽고 귀여운 표현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일본에서 ‘폿차리게이(ぽっちゃり系·귀엽게 통통한 계열의 사람)’와 같은 뜻의 ‘고부타짱(こぶたちゃん·새끼돼지)’ 느낌인 것 같은데, 한국에서는 이보다 더 애정을 담은 긍정적인 이미지로 느껴진다.  

이후 지금까지 한국에 살면서 자기 자식이나 애인을 부를 때 ‘돼지’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모습을 자주 만나곤 한다. 이것들은 살짝 해학적으로 애정을 강조하는 한국다운 표현으로 흥미롭게 느껴진다. 

한국의 ‘돼지 문화’를 자세히 알고 싶어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린 ‘행복한 돼지 특별전’을 다녀왔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매년 새해와 설 전후에 걸쳐 그해 십이지에 해당하는 동물의 특별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돼지 특별전시도 아담하지만 한국의 돼지 문화를 알 수 있어 재미있다. 

이 전시는 오랫동안 사람 곁에서 함께 살아왔던 돼지의 상징성과 지금도 사람들 곁에 공존하는 돼지를 보여준다. ‘해신 비갈라대장’, ‘(저팔계) 잡상’, ‘십이지번(돼지)’ 등을 비롯해 ‘돼지 저금통’까지 70여 점의 유물과 사진, 동영상이 전시됐다. 제주의 ‘똥돼지’를 소개하는 부스에는 돼지우리와 화장실을 만들어 놓았다. 이곳에서 체험을 하며 사진도 찍을 수 있어 방문한 관람객이 폭소를 터뜨리기도 했는데, 특히 어린이들에게 큰 즐거움을 주는 곳이었다. 

일본에서 십이지의 막내는 ‘돼지’가 아니라 ‘멧돼지’다. 멧돼지는 ‘저돌맹진(猪突猛進·목표를 향해서 곧바로 매진하는)’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다. 일본에서는 새해에 현관이나 거실 장식장에 그해 십이지 인형을 놓아둔다. 지나간 인형도 버리지 않고 보관하다가 해당하는 해가 되면 다시 꺼내 장식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하고 풍성한 모습에 화려해 보이기도 한다. 12년 전, 36년 전, 48년 전, 60년 전의 인형을 보며 그때 있었던 일들을 떠올리고 얘기꽃을 피운다. 유치원을 마치고 초등학교에 입학하던 해, 고등학교에 합격하던 해, 대학을 마치고 직장을 다니다 집에 왔던 어느 해 등 가족이 한자리에서 추억을 얘기하는 즐거운 시간을 안겨준다. 나와 남편이 한국의 가족들에게도 이 십이지 인형을 선물하면 무척 좋아하고, 다른 장식장 안에 놓인 지난해의 인형들을 보며 얘길 나누곤 한다. 

일본에는 고양이가 십이지에 들어가지 못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신이 십이지를 결정하는 날을 알릴 때 낮잠을 자던 고양이는 이날을 알지 못했다. 나중에 쥐에게 물었더니 쥐는 거짓말로 다음 날을 알려줬다. 그래서 십이지를 결정하던 날에 가지 못했던 고양이는 아직까지도 쥐와 사이가 나쁘다고 한다.

이렇듯 십이지는 한자 문화권을 중심으로 상당히 많은 나라에 채택되어 있으며, 나라마다 조금씩 동물들이 다르다. 일본처럼 돼지가 아니라 멧돼지인 나라는 러시아, 몽골, 불가리아, 인도 등이다. 놀라운 것은 고양이 띠도 있다는 것이다. 태국, 티베트, 베트남에서는 토끼 대신 고양이가 들어간다. 또한 몽골에서는 호랑이 대신 고양이가 들어간다고 한다. 고양이를 좋아하는 나나 우리 고양이에게는 적잖이 부러운 일이다.

외에도 아라비아에서는 ‘용’ 대신 ‘악어’, 인도에서는 ‘닭’ 대신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신조(神鳥) ‘가루다’가 들어간다. 결국 십이지는 나라마다 친근감 있는 동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여러 나라의 조금씩 다른 십이지 차이처럼 세상 사람들이 다 똑같지는 않아도 이상하다 생각하지 말고 서로를 이해하며 너그러이 바라봐 주면 어떨까.

올해를 황금돼지의 해라고 말하기도 한다. 한국의 풍요로운 돼지의 이미지와 일본의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멧돼지처럼 모두가 풍성한 복을 누리고 소원 성취하는 빛나는 한 해가 되었으면 좋겠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원문 출처>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90101/93508836/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565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사업단, ‘창업입주경진대회’ 개최 및 ‘정릉스쿨’ 공모 통해 15개 창업팀과 9개 운영팀 선발 file

연말까지 창업역량 강화 및 사업모델 구체화, 지역사회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사업단(총괄 한정섭 교수)은 서울시 캠파스타운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4월 2021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창업...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X성북TV’의 성북구 알리기 프로젝트 ‘성북구에서 살아남기’ 시리즈 세 번째 영상 ‘성북구 돈암동편’ 성북구청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 돼 ‘큰 인기’ file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유튜브 영상 ‘성북구 동선동편’ 스틸컷 (1)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이하 ‘청문단’, 운영위원장 방미영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교수)와 성북구청이 협업하여 제작한 <성북구에서 살아남기 동...

서경대학교,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KAI)와 항공우주 방위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KAI, 대표 안현호)와 5월 17일(월) 오전 11시 30분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항공우주 방위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국내 최대의 방산업체인 KAI와...

[김구선의 서경대학교 경영문화 대학원 교수 칼럼] 골프 비거리에 중요한 '엑스팩터'는 뭘까? file

골프 스윙에서 힙과 관련된 몸통(어깨)의 회전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엑스팩터(X-Factor)라는 용어는 <그림 1>의 ③과 같이 몸통(어깨)의 회전각과 힙의 회전각의 차이이다. 엑스팩터의 활용은 스트레치 단축 사이클(Stretch...

국제애널리스트 자격시험에 전문가·대학생 나란히 합격 file

신금투 소속 금융전문가, 서경대 학생 합격  41회 국제 공인투자애널리스트 자격시험에 합격한 서경대 학생 이동하(왼쪽)씨와 신한금융투자 소속 윤태주(오른쪽)씨. 올초 시행된 국제 공인투자애널리스트(CIIA) 자격시험에 국...

‘아동 이상행동’빅데이터화 추진 file

영남대의료원, 총 43억원 투입 아동 행동분석 플랫폼 개발 예정 영남대의료원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지식서비스 산업 핵심기술 개발 연구 일환으로 에듀테크 기술을 활용한 아동 행동분석 기반 서비스 플랫폼 개발 사...

동백꽃·메밀꽃 필 무렵·돌다리 프랑스 국민에게 읽힌다 file

김유정문학촌·서경대 연구소 협약 내년 중 프랑스어로 번역해 출간 ▲ 김유정문학촌(촌장 이순원·사진 왼쪽)은 최근 문학촌에서 서경대 한불문화예술연구소(소장 최내경)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김유정문학촌(촌장 이순원)이 펴낸 그림책...

[김구선 서경대학교 경영문화 대학원 교수 칼럼] '스웨이'는 왜 발생되나? file

▲이상적인 골프 스윙을 보여주는 대표주자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멤버 로리 맥길로이. 스웨이(Sway)는 <그림 1>과 같이 백스윙 중 목표물로부터 멀어지는 과도한 하체의 횡 방향 움직임으로 정의되며, 오른손잡이 골퍼의 경우...

[교육이 미래다] 교육과정 등 다양한 혁신 프로그램 운영4차 산업혁명 이끌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file

서경대는 창의융합형 실용능력과 포용적 인격을 갖춘 인재의 양성을 위해 다양한 혁신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서경대학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고 창의융합형 실용능력과 포용적 인격을 갖춰 사회에 공헌하는 인재를 양성...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과 재학생, ‘2021 제12회 한영숙무용제 전국 한국 춤 경연대회’에 참가해 ‘금상’과 ‘은상’ 등을 수상하는 등 우수한 성적 거둬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과 재학생들이 지난 5월 5일 대한민국예술인센터 로운아트홀에서 열린 ‘2021 제12회 한영숙무용제 전국한국춤경연대회’에 참가해 ‘금상’과 ‘은상’ 등을 수상하는 등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무용예술학과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