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구병두 교수.jpg

올해도 온 국민이 염원하는 노벨상수상자 명단에 우리나라는 그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수상한지 이십 성상이 다되어 가고 있지만 그 이후 과학상, 경제학상 그리고 문학상 부문에서 여태껏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노벨상수상 부문은 6개 영역으로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의학상, 문학상, 평화상, 경제학상이 그것이다. 

노벨상 수상자를 많이 배출한 나라를 살펴보면 미국을 비롯한 전통적인 유럽의 경제 선진국들과 최근 들어 일본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노벨상 수상자 한명을 배출한 것에 그쳤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가지 않는 대목이다. 

2017년 10월 현재, 노벨상을 수상한 국가들의 성적은 미국이 360명을 배출하여 단연 1위이며, 그 뒤를 이어 영국(127명), 독일(107명), 프랑스(61명), 스웨덴(30명), 스위스(27명), 일본(25명), 캐나다(23명), 러시아(23명), 오스트리아(21명), 이탈리아(20명), 네덜란드(19명), 덴마크(14명), 노르웨이(13명), 이스라엘(12명) 순이다. 이 외에도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나라도 11개국이 더 있다. 아시아권에서는 일본, 중국, 인도 그리고 파키스탄에서도 노벨과학상과 문학상 수상자가 나왔다. 

흔히들 노벨상수상 성적은 국력과 국부(國富)와 비례한다고 하였는데, 우리나라와는 무관하다. 

우리나라의 GDP(국내총생산)순위는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인도, 이탈리아, 브라질, 캐나다에 이어 11위다. 혹자는 노벨상수상자 한명을 배출하는 것은 올림픽에서의 금메달 30개를 획득하는 것과 맞먹을 만큼 힘들다고 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난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금메달 순위 8위에 랭크되었으며, 그동안 하계올림픽에서 획득한 금메달만 하여도 100개를 훌쭉 넘어섰다. 이러한 속설대로라면 우리나라는 최소한 노벨상 수상자 5-6명쯤은 나왔어야 한다.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불리한 환경에도 굴하지 않고 우리나라는 2012년에 국민소득 2만 달러와 인구 5천만 명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20-50클럽에 가입한 7번째 국가가 되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기존 선진국인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을 제외하면 유일하다. 

더구나 GDP 대비 R&D 투자비중은 2016년 기준으로 우리나라가 4.29%로 세계에서 1위이며, 그 뒤를 이어 이스라엘(4.11%), 일본(3.58%), 핀란드(3.17%), 스웨덴(3.16%), 덴마크(3.05%), 중국(2.05%) 순이다. 세계 최고의 연구개발 투자비중에도 불구하고 노벨상 수상성과가 전무한 것에 대해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과학저널인 네이처는 우리나라가 기초과학분야에서 성과를 내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데, 아직까지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문화가 정착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꼭 새겨들어야 할 것이다. 

GDP 대비 R&D 투자비중은 높지만 대부분의 투자가 응용과학분야에 집중돼 있어 기초과학분야의 연구비 지급률은 고작 6%에 불과하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빠른 시일 내에 성과를 내어야 하는 대기업 중심의 기술 분야에 거의 대부분의 R&D 투자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과학자들은 응용과학을 잘하려면 기본적인 수학, 물리, 학학, 생물 등이 토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미 늦었지만 R&D 투자 지원 비율을 기초과학분야와 응용과학분야에 균형 있게 분배되도록 재조정해야 할 것이다.  

노벨상 수상은 경제성장과 올림픽에서의 금메달 획득처럼 단시일에 이룰 수 없으며, R&D 투자비중을 늘린다고 성과를 낼 수 있는 것이 아님이 더욱 명백해졌다. 기초과학이 부실하면 백약이 무효다. 특히 노벨과학상은 수학, 물리, 화학, 생물과 같은 기초과학분야를 튼튼히 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기초과학분야의 연구비지원을 대폭 늘리면서 지속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급선무다.
 
[구병두 서경대학교 인성교양대 교수]

<원문출처>
CNB 뉴스 http://www.cnbnews.com/news/article.html?no=360319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827

[뉴스] '배틀그라운드 대학리그' 4일 성료, 서경대 'SKU Ace term' 팀, 64인 단체전 (Duo) 우승 file

경희대 개인전, 아주대 4인 단체전 1위 고품질 메모리 고성능 게이밍 기어 및PC 부품의 세계적인 선도기업인 커세어(박재천지사장)는 지난 2일 다나와 DPG 존에서 전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커세어 2017 배틀그라운드 ...

서울시⦁서경대학교 서경예술교육센터, ‘우리동네 예술학교’통합공연 ‘2017 제2회 하모니 서울 페스티벌’성황리에 마쳐 file

졸업식, 악기드림식, 공연 등 다채롭게 진행 서울시 9개 자치구 351명 어린이 단원 참여 서울시민이 문화예술의 주체가 되는 대표적인 문화 복지프로그램으로‘각광’ 서울시 ‘2017 우리동네 예술학교’의 총괄운영기관인 서경대학...

투표합시다! 서경대학교 인문과학대학 학생 여러분! - ‘너와 나 그리고 우리’ 슬로건 내건 제28대 ‘우리’ 인문대(정학생회장 국제비즈니스어학부 중어 전공 13학번 이도영 군, 부학생회장 아동학과 15학번 김예지 양), 11월 27일 ~ 28일 치러진 투표 통해 당선 file

①비빔밥 데이 ②인문대 물품 카톡 우선 예약제 ③SNS 이벤트 활성화 ④프린트 지원 ⑤물품 대여 및 지원 ⑥시험기간 간식 지원 등 약속 ‘우리’ 인문대 선거 포스터 지난 11월 27일 오전 9시부터 28일 오후 6시까지 이틀...

투표합시다! 서경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생 여러분! - 11월 27일 ~ 28일 이틀간 치러진 투표 통해 ‘학생을 우선으로 생각하며 최고로 나아가는’ 제20대 ‘으뜸’ 사과대(정학생회장 군사학과 15학번 권순재 군, 부학생회장 글로벌경영학과 15학번 조하경 양) 당선 file

①즉각 소통을 위한 카카오톡 옐로우 아이디 개설 ②프로모션을 통한 각종 이벤트 ③간식 지원 ④보조배터리 및 우산 대여 ⑤프린트기 지원 ⑥개강 총회 및 소모임 지원 등 공약 내걸어 지난 11월 27일 월요일부터 28일 화요...

투표합시다! 서경대 동아리 회원 여러분! - 11월 28일 ~ 29일 이틀간 치열한 경선 통해 정회장 경영학부 15학번 이민재 군과 부회장 금융정보공학과 15학번 신호철 군이 입후보한 기호 2번 ‘소통’ 동아리 연합 회장단 당선 file

기호 1번 공감 VS 기호 2번 소통 청운관 1층에서 진행된 선거 동아리 연합회 선거가 지난 11월 28일부터 29일까지 이틀간 교내 청운관 1층에서 치러졌다. 올해 서경대 학생회 관련 선거 중 유일하게 경선으로 진행된 선거였다...

제4회 서경대학교 예술종합평생교육원 정기패션쇼 개최 file

서경대학교 예술종합평생교육원(원장 하수호, 이하 예교원)의 제4회 정기패션쇼가 지난 25일 서경대 본관 컨벤션홀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패션쇼는 `Ode to Youth`(청춘예찬)라는 주제로 11개의 스테이지가 진행되었으며, 모델학전공...

서경대 ‘6sense’팀, PaaS-TA 기반 해커톤 경진대회 우승 file

총 9팀 참가, “기대 이상 수준”으로 성장 가능성 높아 ▲ PaaS-TA 기반 프로그램 해커톤 경진대회 참가자들이 대회가 끝난 후 기념촬영을 했다. 서경대 ‘6sense’팀이 국내 기술로 개발한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인 파스-타(...

서경대 평생교육원, 미대입시 관련 '비실기전형' 2018년도 신입생 모집 file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이후에도 미대 입시생들은 뒤이어 실기고사가 예정되어 있다. 하지만 국내 유명 대학들을 시작으로 실기고사를 생략하는 학교들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획일화된 사고보다 풍부한 표현력과 창의력을 갖춘...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졸업작품전시회 개최 file

11월 17일(금) 오전 10시 북악관 5층서 컴퓨터공학과 졸업생 및 졸업예정자들의 개성 있고 다양한 꿈 담긴 작품 63편 선보여  컴퓨터공학과 학생회 임원들이 졸업작품전시회 부스에서 전시회를 준비하고 있다. 서경대학교 컴퓨...

서경대학교 박예슬 양(글로벌경영전공 4년), 미국공인회계사협회 주최 2017년 3분기 미국공인회계사 자격증시험(AICPA) ‘합격’ file

“영어를 사용하는 한국인 회계 전문가’라는 매력 있는 타이틀로 시대가 원하는 회계전문가로 활동하고 싶어…하루에 적어도 10시간 공부하는 것 목표 삼아“ 서경대학교 박예슬 양(글로벌경영학과 4년 재학)이 미국공인회계사협회(A...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