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진세근 교수.jpg

진세근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산다는 건 누구에게나 녹록지 않다. 우리 특유의 ()문화는 그래서 우리 가슴을 친다. ()은 질병, 고난, 빈곤 같은 불행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살아가는 모든 것이 안타깝고, 안쓰럽고, 서글프고그래서 한()인 것이다.

 

산다는 게 힘에 부친다는 걸 극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 자살이다. 자살을 보도할 때는 극단적 선택이란 표현을 사용한다. 그만큼 조심스런 주제다. 하지만 과연 모든 마감이 선택일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내몰린 선택은 진정한 선택일 수 없기 때문이다.

 

9일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생명존중 자살예방 세미나가 열렸다. 사회적 차원에서 자살을 막고, 생명 가치를 지키는 방안을 고민하는 자리다. ‘생명존중정책 민·관협의회와 한국을 대표하는 신문·방송·통신사의 최고 보도책임자 모임인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가 함께 했다.

 

우리 자살률이 OECD 국가 가운데 줄곧 1위라는 건 웬만한 분들은 다 안다. 그러나 이유를 들여다본 분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국민소득 1백 달러 시대보다 3만 달러 시대의 자살이 더 늘어난 이유는 1인 가구가 41%에 이를 정도로 학연·혈연·지연 네트워크가 붕괴된 탓이 크다. 생활 격차가 견디기 힘든 수준으로 벌어진 것도 한몫했다. 경제 수준이 낮은 스리랑카, 미얀마 등은 자살률이 현저하게 낮은 반면, 경제 도약 중인 베트남의 자살률은 심각한 것도 이 때문이다.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따로 있다. 자살을 개인적인 문제로 보는 시각이다. 우리에겐 자살은 개인 책임이며 따라서 해결도 개인과 가족의 몫이라는 입장이 강하다. 반면 자살은 내몰린 죽음(일본), 자살은 국가정책의 우선 과제(미국), 자살 시도자 국가 등록 및 지원(대만), 경찰 보호 후 전문의 판단 거쳐 72시간 동안 입원(미국·유럽) 등 다른 선진국들은 국가·사회의 책임과 체계적 관리를 강조한다.

 

기구와 예산도 빈약하다. 교통안전의 경우 국무총리실 사회통합정책실, 행안부 재난안전실 등 층위별로 촘촘하게 관리한다. 예산은 3천억 원이 넘는다. 그 덕분에 한 해 13천 명 정도를 구조한다. 자살예방은 총리실 자살예방정책협의회,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 정도다. 나머지는 민간 기구다. 연간 예산도 3백억 원에 불과하다.

 

OECD 국가 가운데 자살 시도자를 집으로 돌려보내는 나라는 아마도 한국뿐일 것이다. 자살의 원인을 제공했을지도 모를 곳으로 자살 시도자를 되돌려 보내는 셈이다. 그 가정에는 의지할 가족이 없거나 치료 등을 위한 경제적 능력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런데도 무작정 돌려보낸다. 경찰 보호 후 법원 판단을 거쳐 치료와 지원이 진행되는 미국의 경우와 대조된다.

 

자살뿐이겠는가? 국민 피부에 와 닿는 부분을, 정치권은 대개 외면한다. 생색이 나지도, 표에 도움이 되지도 않기 때문이다.

 

차기 대선의 선택 기준이 국민 사랑이 돼야 하는 이유다. 국민 사랑이 전제되지 않은 정책은 수정하거나 폐기해야 한다고 믿는다.

 

이념도 좋고, 개인적 인연도, 지연도 중요하다. 그러나 최우선 기준은 국민 사랑이어야 한다. 정책 밑그림을 세밀하게 그리는 후보, 목소리보다는 내용으로 승부하는 후보, ‘깐부들아닌 브레인들로 팀을 꾸리는 후보, 국민에게 거짓을 얘기하지 않는 후보를 선택하자. 이런 후보를 고르려면 유권자 스스로가 수고해야 한다. 그래야 사탕발림과 요언(妖言)에 속지 않는다. 우리 모두 ()이 되자.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7444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921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학생 심다하 외 11인으로 구성된 창작집단 ‘하다심’의 첫 번째 공동 창작 워크숍 공연 <아니 근데 진짜> 성황리에 개최돼···연출 맡은 심다하 학생 인터뷰 file

<공연포스터>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학생 심다하 외 11인으로 구성된 창작집단 ‘하다심’의 공동 창작 워크숍 공연 <아니 근데 진짜>가 지난 9월 2일부터 9월 4일까지 3일간 금요일 8시, 토요일 3시, 7시, 일요일 3시에...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학생들, ‘2021년 제3회 제주국제아로마페어’에 참가해 전공역량 강화하고 봉사소양 키운다 file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학과장 김은숙 교수)는 ‘코로나 블루, 아로마로 회복하다’라는 주제로 10월 29일부터 10월 31일까지 3일간 제주도 서귀포에서 진행되는 ‘2021년 제3회 제주국제아로마페어’에 ...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 강의 질 향상 위한 우수강의 교원 선발 file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원장 이지나 교수)은 우수강의 교원 선발지침을 개정하고 2022학년도 1학기 10명의 우수강의 교원을 선발했다. 우수강의 교원 선발은 교수(Teaching) 질 향상의 일환으로 강의를 위해 노력한 교원을 격려하고자...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아침광장] 승복할 것인가, 패배할 것인가 file

진세근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우리는 반대말이란 개념에 흔히 속는다. 전쟁의 반대말은 평화인가? 아니다. 일상(日常)이다. 남자의 반대말은 여자인가? 물론 아니다. 전쟁과 평화, 남자와 여자 모두 마주 보고 ...

서경대학교,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대학’ 선정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교육부가 주관하는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가결과 발표에서 ‘일반재정지원대학’으로 선정됐다. 대학기본역량진단은 2015년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전신으로 대학의 적정 규모와 교육의 질을 ...

서경대학교, ‘2021 Lean Canvas 창업캠프’ 개최 file

11월 25일(목), 26일(금) 이틀간 비대면 실시간으로 성황리에 진행 Lean Cavnas 9 Block Matrix를 활용, 초기 스타트업에 필수적인 핵심요소 통해 비즈니스모델 수립하는 기회 가져 서경대학교 교육혁신처 창업지원센터(센터장...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아침광장] 국민 사랑이 기준이다 file

진세근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산다는 건 누구에게나 녹록지 않다. 우리 특유의 ‘한(恨)문화’는 그래서 우리 가슴을 친다. 한(恨)은 질병, 고난, 빈곤 같은 불행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살아가는 모든 것이 안타...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아침광장] 대권(大權)이 아니라 대임(大任)이다 file

중국 역사에서 명군(名君)은 몇 명쯤 될까? 그 숫자를 정확히 알 순 없겠지만 명군의 정의만큼은 분명하다. 중국 역사가들이 꼽은 명군의 조건은 네 가지다. 첫째, 나라를 세우거나 천하를 통일한 군주다. 진(秦)시황제(始皇帝...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김진 학우(15학번) 팀,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2021 대한민국 경제자유구역 영상 공모전]서 ‘대상(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file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김진 학우(15학번) 팀이 지난 9월 28일(금)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기획단’이 주최한 ‘2021 대한민국 경제자유구역 영상 공모전’에 ‘인천자유경제구역(IFEZ)’을 주제로 참가해 ‘대상(산업통상자...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메이크업디자인학과, ㈜애경산업과 뷰티 콘텐츠 제작 및 미용교육 발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메이크업디자인학과(학과장 신세영 교수)는 2021년 9월 9일(목) ㈜애경산업(대표이사 임재영)과 뷰티 콘텐츠 제작 및 미용교육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정보 및...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