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구병두 교수.jpg

서경대학교 인성교양학부 교수

()한국빅데이터협회 부회장

 

우리나라는 역사상 유례가 없는 짧은 기간에 산업화와 도시화로 소득증대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부의 증대와 도시화는 출산율을 낮춰 인구구조를 약화시켰다.

 

인구구조의 약화는 인구절벽을 초래했다. 인구절벽은 학령인구의 감소로 이어졌다. 이러한 학령인구 감소는 급기야 경쟁력 없는 지방대학의 존폐여부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작금이다.

 

고교 졸업생은 201661만 여명에서 201958만 여명으로 감소된 후, 2024년에는 40만 여명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대학진학률은 200883.8퍼센트로 정점을 찍은 후 201172.5퍼센트, 201570.8퍼센트로 감소되었으며 2016년에는 69.8퍼센트로 떨어졌고, 2017년에는 68.9퍼센트로 나타났다.

 

이처럼 해를 거듭할수록 대학진학률은 낮아지는 추세이다. 20193월 대학에 입학하는 2000년 출생자는 634천 명이다. 20132015년 출생자는 4344만 여명을 유지하다가 2016405천여 명, 2036년 대학에 입학할 2017년 출생자는 358천 명으로 줄어든다.

 

대학 진학률이 50퍼센트 정도로 떨어진다고 가정하면 2036년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 수는 18만 명이 채 되지 않는다. 이 수치이면 현재 대학입학정원의 1/3에 가까운 수준이다. 따라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많은 대학들의 퇴출은 불가피하다.

 

교육부는 국회교육위원회 업무보고 자료를 통하여 2018학년도 대학입학정원을 기준으로 2021학년도에는 56천여 명이 대학입학정원에 미달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교육경제학자들은 실제로는 더 많은 정원이 미달되고 이에 따라 폐교 수는 더욱 늘어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학생인구의 감소로 인하여 대학정원과 고등학교 졸업생의 수급 상황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경쟁력이 떨어진 대학들을 퇴출시키기 위해 교육부는 그동안 두 차례에 걸쳐 평가를 실시했다. ‘대학구조개혁평가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가 그것이다. 이미 폐교된 대학이 여럿 있다. 문제는 퇴출된 대학들이 수도권 대학이 아니라 대부분 비수도권에 소재해 있는 지방대학이라는 데 있다.

 

많은 국민들은 시장경제논리에 의해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지방대학이 퇴출된 것에 대해 너무나 당연하며, 문제될 것이 없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그러나 지방대학 퇴출은 생각만큼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왜냐하면 지방대학이 소재해 있는 대부분의 중소도시의 지역발전과 재정 수입에 대학과 그 구성원들이 미친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심각한 것은 대학생과 대학관련 종사자들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 떠나버리면 인프라와 텅 빈 대학시설 그리고 남겨진 주택들로 인하여 도시공동화를 가져올 것이다. 결국 지방대학의 폐교는 도시기능을 마비시키게 될 것이 분명하다. 이미 우리나라보다 20여년 먼저 인구절벽을 경험한 일본의 경우, 지방도시 인구감소가 그들의 경제에 미친 악영향을 정부 당국은 철저히 분석하여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아야할 것이다.

 

수도권 대학이 교육의 공급을 독점하게 되면 수도권 경제력 집중현상은 더욱 강화된다. 지방대학이 몰락하면 지방경제도 동시에 몰락을 초래하여 수도권 도시와 지방도시 간의 경제적 격차가 더욱 심화될 것이다. 지방 학생들과 지역주민들은 대학진학과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수도권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며, 가득이나 비싼 수도권의 주택 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게 된다. 서민들의 생활은 더욱 궁핍하게 되며, 계층 간의 경제적 불평등은 더욱 심화되고 갈등의 골은 깊어지게 될 것이다.


지방대학은 수도권에 소재해 있는 대학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악한 조건에서도 그동안 노력의 결실로 많은 인적자원을 축적해왔다. 이러한 인적자원을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과 평생학습시대에 새로운 직업을 구하려는 지역주민들의 평생교육을 돕는 길라잡이 역할은 물론 더 나은 지방 도시로 거듭나게 하는 데 활용한다면 그동안 우리 국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인 국토균형발전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지방대학의 몰락은 막아야한다.


<원문 출처>

민주신문 http://www.iminju.net/news/articleView.html?idxno=39968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194

[김구선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교수 칼럼] 6번 아이언이 드라이버보다 더 높게 뜬다? file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가 아이언 클럽을 선택하는 모습이다. 에이팩스(Apex)는 <그림 1>과 같이 타구된 볼의 최대 높이이며, 랜딩앵글과 구름에 영향을 미친다. ▲<그림 1> 에이팩스는 볼스피드(Ball Speed), 런치앵글...

박기태 반크 단장 "정부도 못막은 中·日 역사 왜곡...15만 회원이 700여건 바로잡았죠" file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 이끄는 박기태 단장 대학생때 만든 세계 대학생 펜팔 사이트 한반도 역사·문화 지킴이로 탈바꿈 시켜 유치원서 노년층까지 사이버 외교관 양성 한류 열풍 힘입어 외국인도 3.5만명 활동 국내외 배포 홍...

서경대학교와 성북구가 함께하는 뮤지컬 영어캠프 개최 file

성북구 관내 초등학생 1~3학년 30명 선발, 8월 8일(월)부터 13일(토)까지 6일간 운영 서경대학교 원어민 교수 및 뮤지컬학과 교수진 협업으로 종합예술교육 실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와 성북구(구청장 이승로)가 협력...

서경대 청문단(YACCW), AI 취업진로 스타트업 '그레이비랩'과 콘텐츠 MOU file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청문단 운영위원장 방미영 교수, 이하 서경대 청문단)이 인공지능 취업진로 스타트업 그레이비랩(대표 오지연)과 손잡고 일자리 창출 및 직업문화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최근 서경대 청문단 측...

2021년에도 한국어 선생님 된 김유정 file

‘봄봄’ 등 외국 학생 교재에 활용 알퐁스도데 문학관 결연도 논의 서경대 한불문화연구소가 김유정 소설을 소재로 한 한국어 교재를 김유정문학촌에 전달했다. 서경대 한불문화연구소가 김유정 소설을 소재로 한 한국어 교...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2018년 지역특화 진로체험 프로그램’ 개최 file

- 교육부 주최, 성북문화재단 미래창창 성북청소년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공동 주관 - 7월 30일(월)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서 - 5일 동안, 공연예술과 실용음악, 뷰티메이크업 분야에 관심 있는 서울시 관내 청소년 대상, ‘미래와...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共同體<공동체>

9월3일부터 이틀간 중국 수도 베이징(北京)은 아프리카였다. 아프리카 51개국 국가의 원수를 한데 모았다. 아프리카 국가는 모두 54개다. ‘94%의 아프리카’를 중국 대륙으로 옮긴 셈이다. 대단한 위세다. 고도(古都) 베이징의 거리...

서경대학교 ,2019학년도 신입생 생활관 선발 모집 공고 file

서경대학교 서경대학교는 29일 홈페이지에 2019학년도 신입생 생활관 선발 모집 공고를 공지했다. 2019학년도 신입생 생활관 선발 모집 공고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모집대상 가. 지원자격 2019학년도 본교 1학년 신입 예...

[정웅석 서경대 교수 인터뷰] 대통령의 검찰 인사 독점 안 바꾸면 검찰개혁 무의미 file

문재인 대통령은 2019년 9월 9일 청와대에서 조국 법무부 장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했다. 조 장관은 청와대 민정수석 시절부터 검경 수사권 조정과 공수처 설립 작업을 주도해왔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정부는 첨예한 진...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학생 4인 '기업(氣-UP!) 영상·아이디어 공모전' 대상 수상, "만약에 기업이 없다면"…MZ세대의 역발상 file

경총·매경 기업(氣-UP!) 공모전 영상 부문 대상에 서경대팀 기업없는 세상 모습 상상해 기업 소중함 호소력있게 전달 라디오 방송·수채화 기법… 참신성 돋보이는 수작 많아  한국경영자총협회와 매일경제가 공동 주최한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