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1.jpg


“모친께서는 멋진 인생을 사셨습니다. 아프시지도 않고 평온하게 가셨어요.”

올 8월 13일, 화가 이중섭(1916∼1956)의 아내 야마모토 마사코(山本方子·1921∼2022) 여사가 향년 101세(한국 나이 102세)로 별세했다. 그의 둘째 아들 야스나리(泰成) 씨는 나에게 전화로 이처럼 그녀의 인생과 가시는 모습을 전했다.

한국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는 국민화가 이중섭의 그림에는 힘찬 소, 은박지나 엽서에 꽃게와 물고기와 노는 아이들, 그리고 사랑하는 부부의 모습이 담겨 있다. 그 그림 속의 여인이 바로 아내 마사코다. 이중섭은 그녀를 ‘이남덕(李南德)’이란 한국식 이름으로 부르며 무척 사랑했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2.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두 사람은 일제강점기인 1939년, 일본 도쿄 소재 문화학원(文化學院)에서 선후배로 만나 깊은 사랑에 빠졌다. 1943년 이중섭이 귀국하자 마사코는 광복 직전 현해탄을 건너 그의 고향 원산에서 결혼했다. 두 아들을 두며 평온하게 지낸 것도 잠시였다. 6·25전쟁이 터지자 부산과 제주도로 계속 거처를 옮기며 지냈다. 결국 1952년 마사코는 친정아버지의 사망과 가난을 이유로 두 아들을 데리고 일본으로 귀국했다. 그다음 해 이중섭은 일주일간 일본에 가 가족들과 함께 지내기도 했지만, 그 후 만나지 못하고 1956년 서울에서 4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이중섭과 마사코의 결혼생활은 10년, 그중 같이 살았던 기간은 7년. 마사코는 어린 두 아들을 가진 채 35세에 과부가 됐다. 양재를 직업으로 삼았고, 생명보험 회사에 근무한 적도 있으며, 환갑의 나이에 도쿄 긴자(銀座)의 기독교용품점에서 일을 시작해 80세까지 근무하며 지냈다.

나는 언제부턴가 이중섭 그림을 좋아했다. 1989년 대학원에 다니며, 그곳에서 친해진 친구의 아버지인 나전 작가 이성운 선생이 경남 욕지도에서 이중섭과 같이 그림을 그리며 지냈다는 이야기를 듣고 더욱 그를 가깝게 느끼게 됐다. 그리고 부인 마사코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2016년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된 전시 ‘이중섭, 백년의 신화’에서다. 이 전시에서 가족과 일본어로 주고받은 꽤 많은 엽서가 공개됐다. “내가 사랑하는…”, “내가 아주 좋아하는…”, “나의 착한…” 등으로 시작하는 편지(엽서)글들에는 가족에 대한 사랑이 그득했다. 나는 이때 마사코 여사가 살아계신 것을 알았다. 어떻게 살아오셨을까? 여러 가지를 여쭙고 싶었다.


“아버지가 열정적이었다면 어머니는 심지가 곧고 차분한 분이셨어요. 낯도 좀 가리셨고요. 말 안 듣는 아들에게 큰소리 한번 치신 적이 없었어요. 아마도 아버지와 어머니 두 분이 서로 상반된 성격이라 오히려 끌렸던 것 같아요.”

이런 마사코 여사가 크게 상처를 받은 일이 있다고 한다. 1979년 한국에서 본 연극 ‘화가 이중섭’에서 마사코가 남편을 버리고 일본에 귀국한 것처럼 묘사되어 있고, 특히 가족을 찾은 이중섭을 장모가 냉대했다는 부분이다. 마사코의 부모님은 기독교인으로 두 사람 사이를 반대하기는커녕 한국에 갈 때 그녀를 응원하고 지지해 줬고, 사위가 가족들을 만나기 위해 일본에 올 수 있도록 애써 주신 분이었다. 이 오류의 시작은 원작인 1973년에 발간된 고은 작가의 소설 ‘이중섭 그 예술과 생애’이다.

야스나리 씨가 어머니를 그리며 가장 생각나는 것 중 하나가 ‘김치’라고 했다. 마사코 여사는 원산에서 시어머니에게 김치 담그는 법을 배워 늘 저녁 식탁에 김치를 올렸다고 한다. 야스나리 씨는 “나는 어머니의 김치로 자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추억했다.

“아버지 작품 중에서 제일 좋아하는 것은 ‘흰소’입니다. 일본에서 한 번도 아버지 작품 전시를 하지 못했는데, 일본에서 아버님의 작품전을 하는 것이 제 꿈입니다. 사실 아버지에 대한 기억은 1953년 일본에 일주일 오셨을 때 안겼던 희미한 기억이 전부입니다. 그래도 슬프다고 느낀 적이 없어요.”(야스나리 씨)

주옥같은 작품들을 남기고 요절한 이중섭, 평생토록 그 한 사람만을 사랑하고 그리워하며 홀로 헌신적 삶을 산 마사코. 가족을 사랑했고 아꼈던 두 사람의 사랑을 떠올리며 마사코 여사의 명복을 빌어 본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1006/115840370/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108

서경대학교 새 홍보영상 공개 file

서경대학교가 지향하는 경영철학과 교육모토, 지향하는 인재상, 교수학습방법 등을 폭넓게 볼 수 있는 텍스트 중심의 홍보영상이 제작돼 공개됐다. 이번에 공개된 홍보영상은 모두 50개 스틸컷으로 만든 런닝타임 3분 28초 짜리로...

서경대 예술교육원 모델연기전공 김서희 학생, 스승 김태연 교수에게 보낸 감사편지 ‘훈훈’ file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으로 대다수 대학에서 비대면 온라인 강의란 초유의 사태를 맞고 있는 가운데, 국내 한 대학 교육현장에서 지도 교수와 학생 간 따뜻한 마음을 전하는 사연이 알려지면서 따뜻한 감동을 ...

‘더룩오브더이어 코리아’ 대상 강나연, HEILL(해일) 파리 패션위크 모델로 참가 file

한국의 아름다움과 우리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글로벌 인재로 성장 ‘더룩오브더이어 코리아’ 대상 입상자 강나연이 최근 HEILL(해일) 파리 패션위크에 모델로 참가했다. ‘더룩오브더이어 코리아’(THE LOOK OF THE ...

공부와 취업, 한 번에 잡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기획시리즈 <8> 인문과학대학 문화콘텐츠학과 편 file

코로나 19 확산 여파로 온라인 수업이 장기화 되면서 오랫동안 학교에 나오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그동안 정상적인 대학생활에서 누리던 전공 관련 학습 노하우나 진로 및 취·창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 등을 접할 수 없어 어...

서경대 “끊임없는 실용과 혁신으로 대학사회를 바꾸는 대학” file

서경대학교는 ‘실용’과 ‘혁신’, ‘글로벌’의 기치 아래 ‘세계 속의 미래형 실용교육 중심 대학’이 되겠다는 비전을 추구하고 있는 71년 전통의 대학이다. 최근 10년 간 ‘가장 역동적으로 발전한 대학’이라는 평가를 받...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과, 온라인 스튜디오 콘서트 전용공간인 ‘스콘’과 유튜브 채널 개설 file

온라인 스튜디오 콘서트 전용 공간 '스콘 실용음악계의 신흥강자인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과(학과장 장웅상 교수)가 온라인 스튜디오 콘서트 전용공간인 ‘스콘’과 신규 유튜브 채널을 개설한다. 코로나 19의 재확산 및 장기화 여...

[김종훈 서경대 나노융합공학과장 칼럼]1%는 알고 99%는 모른다. file

김종훈 박사(서경대학교 나노융합공학과 학과장) 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알고 있는 두 가지 사실이 있다. 0.01%의 사람은 내가 하는 일에 대하여 알고 있다는 사실, 그리고 99.99%의 사람은 내가 하는 일에 대하여 전혀 알지 ...

학술, 스포츠, 음악, 무술, 종교, 창업 활동 등 다양한 서경대학교 동아리들 <10> 스쿠버 다이빙 동아리 ‘SST’ file

설레는 대학 생활, 무엇을 어떻게 해야 즐겁고 가치 있는 것일까? 선배들에게 물어봐도 답은 제각각…. 하지만 이구동성으로 권하는 게 하나 있다. 대학 동아리 활동! 자유와 책임을 지게 되는 20대. 대학생이 되어 자기주도적으...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2019 서경대학교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개최 file

12월 첫째 주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비롯해 다양한 앙상블 연주회도 함께 진행 서경대학교가 주최하고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와 (사)서경뮤직소사이어티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2019 서경대학교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가 1...

법원행정처, 서경대서 '찾아가는 등기강좌' 특강 file

법원행정처(처장 조재연 대법관)는 29일 서울 성북구 서경대 혜인관을 방문해 대학생과 교수를 상대로 '찾아가는 등기강좌' 특강을 열었다. 법원행정처는 10~11월 두 달간 수도권 8개 대학교를 직접 찾아가 등기제도에 대해 강의...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