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반성택(본지 논설위원 / 서경대 철학과 교수)

 2018.03.04  15:49:26

186189_67792_4542.jpg

고대 그리스인들은 참으로 대단했다. 올림픽, 학문, 민주주의도 그들에게서 시작됐다. 험준한 지형의 그리스 반도는 그들을 분리시켜 협소한 지역에 모여 살게 했다. 100여 개의 도시국가로 분리된 그들은 신화를 공유하고 그리스어로 소통했다. 언어적 통일성은 분리ㆍ분단된 그들이 그리스어를 모르는 이방인들을 만날 때 실은 하나라는 것을 알려주는 강렬한 매개였다.


 그리스인들은 같은 민족임에도 갈등과 전쟁을 되풀이하고 있었다. 내전이 그치지 않았다. 내전 가운데 그리스 운명을 결정한 전쟁은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맞붙은 펠로폰네소스 전쟁이었다.

도시국가들이 두 진영으로 나뉘어 격돌하고 스파르타가 승리한다. 스파르타는 자신의 귀족 체제를 아테네에 이식하려 하나, 아테네 민주파 시민들은 아테네 성곽에서 귀족파를 지원하고 있던 스파르타 왕 앞에서 데모를 벌여 왕이 며칠간 거기서 나오지 못한다. 스파르타는 순순히 물러가지만 이러한 사태 전개는 그리스 역사 전체를 결정한다. 내전으로 그리스 역량이 약화된 시기에 마케도니아 왕국이 강성해진다. 앞선 시대에 페르시아를 물리칠 때 발휘되던 마라톤 아테네의 그 힘은 살아나지 못한다. 결국 고대 그리스 역사가 마침표를 찍는다.


갈등과 종말의 역사가 이어지던 그리스에서도 올림픽은 지속됐다. 그리고 적대 행위도 중단됐다. 이들은 축제를 즐겼다. 축제에서 겨뤄지던 종목은 오늘날의 세분화된 종목과는 매우 달랐다. 고대 올림픽에서 가장 인기를 끌던 경기는 달리기, 멀리뛰기, 원반던지기, 투창, 레슬링으로 구성된 5종 경기였다. 한 종목에 특화된 역량이 아니라 총체적 역량이 구경거리였다. 전문성보다는 전인적 역량이 초점이었다.

 오늘날 우리는 특화된 능력을 중시하고 이에 많은 보상을 주는 데 익숙하다.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을 나누고 나아가 단거리와 중장거리를 나누어 시청하고 승자에게 환호한다. 직업에서도 전문인은 보다 많은, 경우에 따라서는 너무 과도한 보상을 받는다. 이 시대는 전문성으로 질주하는 시대다. 이를 두고 역사가들은 귀족시대에 이어서 대중사회, 시민사회가 도래한 것이 아니라 전문가 시대가 도래했다고 오늘날을 진단한다. 모두가 전문가이고자 하며 대학도 예외는 아니다.

 대학과 교육부도 대학들의 획일성을 오래전부터 문제로 인식해 특성화 방향으로 질주해왔다. 각종 대학평가에서 특성화는 핵심 화두다. 이러한 추이를 이해하지 못할 바는 아니다. 한국 대학들의 역사가 거의 모두 20세기 중반 이후 함께 시작되고 또한 사립대학이 대다수인 풍토에서 남들이 하는 대로 따라간 탓일 것이다. 국문과, 영문과 그리고 수학과를 세우는 기본 세팅을 한국 대학들은 평균적으로만 갖춘 것이다.

 그리고는 질적인 발전을 못한다고 대학의 획일성을 비판하기 시작한다. 우리가 오래전부터 문제라고 보는 그 획일성은 문제일 것이다. 하지만 이는 대학의 대학다운 면모를 구비하는 발전 단계의 한 현상이라 볼 수도 있다. 그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특성화가 나타나면 의미 있는 질적 발전일 것이다.

 그런데 양적 팽창이 보인 그 획일성이 유구한 역사의 서양 대학 특성화 앞에서 너무도 초라하게 보이는지 특성화 구호가 난무한다. 몰아주기가 횡행한다. 외형적인 형태의 대학 모습마저 허물고 특성화 구호가 자리한다. 도달하는 지점은 특성화된 대학일까, 아니면 특성화된 전문인 양성소일까? 자신의 전문성에만 의지하는 전문인은 사회와 쉽게 유리되어 겉돈다.


 올림픽 이외에 그리스인들이 시작한 민주주의와 학문도 이와 밀접히 연계된다. 민주주의도 전문적 관점, 직업적 이해관계로만 주장될 때 헛돈다. 민주적 가치는 전문성과 직업성을 포괄하는 보다 상위의 시각인 시민의식이 등장할 때 실현된다. 또한 학문 세계에서의 융합 구호도 전문성과 직업성들의 온갖 만남이 아니라 그 기반에 인간 존재와 역사가 있다는 포괄적인 시선이 구비될 때 실현될 수 있다.


<원본기사>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86189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336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 ‘2022 동아시아 무용콩쿠르’에 참가해 ‘아티스트상’, ‘특상’, ‘금상’, ‘은상’ 등 수상하는 등 우수한 성적 거둬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학부장 전순희 교수)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이 지난 6월 4일(토) 오전 상명대 상명아트센터 계당홀에서 개최된 East Asian Dance Competition 조직위원회 주최 ‘2022 동아시아 무용콩쿠르’에 참가해 ‘아...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 선거 끝나면 버려지는 현수막, 줄일 수 없을까요? [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얼마 전 지방선거가 끝나고, 선거 때 사용했던 홍보 현수막으로 장바구니나 앞치마 등을 만들어 ‘새활용’한다는 뉴스에 귀가 솔깃했다. ‘새활용(업사이클)’이란 ‘버려지는 쓰레기, 자원에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더해 더 가치...

한국 전통음악 최고의 스타 남상일,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서울)시립양천청소년음악창작센터의 국악 부문 홍보대사로 나선다 file

국악계 최고의 스타 소리꾼 남상일이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시립양천청소년음악창작센터의 홍보대사[국악부문]로 위촉돼 청소년 음악창작 활동 지원을 위한 본격적인 홍보 활동에 나선다. 남상일 홍...

[서경대 75주년특집] 나는 ‘실용’과 교감한다. 그래서 자유롭다! file

동문탐방-김동연 경기도지사 “서경대는 금기깨기 열정과 유쾌한 반란의 터전” "내가 제일 잘나가~"… 공연예술 등에서 아트앤테크놀로지학과로 영토확장 서경대 화보로 보는 뉴스 - “서경인의 하루는 그대들의 축제보다 화려하다” ...

서경대, 3~4학년 재학생들의 성공적인 사회진출 위한 멘토링 주간행사 ‘SMW(Seokyeong Mentoring Week)’ 개최 file

6월 21일부터 3일간, 총 8개 분야, 180여 명 참여해 직무역량 개발 및 제고 현직자와 함께하는 직무/직군별 맞춤형 멘토링 지원 서경대학교 취창업지원센터(센터장 김주연)는 6월 21일(화)부터 23일(목)까지 3일간, 유담관 L층...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학과 교수 칼럼 : 슬기로운 ETF 투자교실 1탄 file

뮤직앤뉴, 서울시립양천청소년음악창작센터와 MOU 체결 file

뮤직앤뉴(대표 김승민)와 서울시립양천청소년음악창작센터(센터장 한정섭)가 차세대 음악 산업의 주축이 될 청소년들의 음악창작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청소년 음악창작지원 사업...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 2022 인생나눔교실 ‘삼삼오오 인생나눔활동’ 운영기관 선정 및 ‘사전교육’ 진행 file

2개 운영기관 선정···사업의 이해도 제고 및 기관별 운영계획 및 행정사항 점검  2022년 인생나눔교실(수도권) ‘삼삼오오 인생나눔활동’ 운영기관 선정 및 사전교육 진행 관련 사진1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문화예술센터(센...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장 기고] 경제안보와 국가정보기관의 역할 file

국정원의 '국내보안정보' 활동 부분적 부활 필요 채성준 군사학과 교수 최근 '경제안보'가 큰 화두가 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한미정상회담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 등 외교적 행보 또한 경제안보...

서경대학교, ’서경대와 함께하는 마을교육활동(Make-up Artist Challenge)‘ 참가자 모집 file

성북구 관내 중·고등학생 40명 선발, 8월 1일(월)부터 5일(금)까지 5일간 운영 메이크업 관련 기초지식부터 트렌드 분석, 시연, 체험, 진로설정까지 ‘다양’  ▲’서경대와 함께하는 마을교육활동(Make-up Artist Challenge)‘ 참...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