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진세근 교수.jpg

진세근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눈 밝은 국민들은 레토릭’(말솜씨 혹은 꾸민 말)에 속지 않는다. 화려한 언변은 경계와 의심의 대상이 될 뿐이다.

 

대신 품격과 예()에 반응한다. 예는 인간에 대한 합리적 배려와 존중이다. 예와 품격은 서로 통한다.

 

이 둘을 갖추려면 조건이 필요하다. 인간 스스로의 천박함을 넘어서야 한다. 그래서 쉽지 않다.

 

제자 안연(顔淵)이 공자(孔子)에게 인()을 물었다. 스승의 대답은 단 네 글자, ‘극기복례(克己復禮)’였다. 주자(朱子)의 해설은 이렇다.

 

극은 사욕을 잘라내 버리는 행위다. 그럼 천리(天理)가 회복된다. 먼지를 제거하면 거울이 깨끗하게 되는 이치와 같다. 사욕이 사라지면 예가 회복된다. 예는 단순히 예의만 의미하지 않는다. 안으로 공경이 있고, 밖으로 양보가 있는, 천리와 통하는 상태다. 이 경지에서 인()이나타난다

 

그렇다면 공자의 예()는 어떤 수준일까? 그는 자는 새를 쏘지 않았다(弋不射宿). ()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새를 많이 잡는 것이 목적이라면 자는 새, 깨어 있는 새, 날개 부러진 새, 아픈 새를 가리지 않고 활을 당겼을 것이다. 그러나 공자는 오직 깨어 있는 새만 쏜다. 깨어 있는 새라야 화살을 피해 날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새를 잡지 못해도, 사람들은 이 활쏘기 과정에 나타난 품격과 예를 배울 수 있다.

 

전쟁터에도 품격과 예는 살아 있다. 맹자(孟子)가 전하는 유공지사(庾公之斯)의 일화를 보자. 유공은 적장이 병이 나서 화살을 잡을 수 없게 되자 활에서 금속 촉을 빼고 네 발을 쏜 뒤 돌아갔다.

 

금속 촉을 빼고 활을 쏘는 것은 부국강병책과 맞지 않는다. 그러나 공자와 그의 제자들은 해도 안 되는 줄 이미 알았던 사람들(知其不可而爲之者)’이었다. 그들을 예에 어긋나는 방식으로 천하통일을 얻기보다는 지속적으로 실패하기를, 승리보다는 너 낫게 실패하기를 선택한다. 새를 맞히지 못할지언정 자는 새를 쏘지 않는 자의 위엄을 선택한다<우리가 간신히 희망할 수 있는 것, 김영민>.

 

우리 역시 이런 지도자를 갖고 싶다. 허나 현실은 허전하다. 떼거리 규모로 등장한 대선 주자들은 이분법 논쟁이나 낮은 수준의 말싸움에 빠져 있다.

 

사실 우리의 복잡한 사정은 이들의 한가함을 용납지 않는다. 당장 우리 주변국의 급박한 정황만 봐도 그렇다.

 

우선 중국과 미국은 정면 대결을 결정했다. 그래서 사사건건 노골적으로 대립한다. 미국은 대만과의 관계 강화, 러시아와 중국 분리, 첨단기술 공급망과 국제 무역질서에서 중국 배제는 물론, 중국 공산당을 무너뜨리려는 레짐 체인지전략까지도 설계 중이다. 중국 역시 중국을 괴롭히면 머리가 깨져 피를 흘리게 될 것이라는, 전쟁을 연상시키는 섬뜩한 언어로 무장했다.

 

이 사이의 낀 유럽과 일본은 복잡한 셈법을 고민 중이다. 유럽은 3의 지대를 숙고한다. 미국과 동맹을 유지하고, 중국의 인권 침해와 민주의 훼손을 비판하지만 중국을 적으로 돌리는 데는 반대한다.

 

일본은 좀 더 약삭빠르다. 미국이라는 보험은 든든하게 확보하되 중국과도 충돌하지 않겠다는, 기회주의적 전략을 선택했다.

 

이런 상황인데 바지를 내려야 하는지, 사이다와 독극물의 차이는 뭔지를 놓고 우리 국민이 고민해야 하는가.

 

대선 후보 여러분. 제발 자중하시기 바란다. 그리고 국민을 대신해 엄중하게 요구한다.

 

이제는 당신들의 품격을 보이라!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9858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430

[MODU가 주목하는 대학] 창의융합 교육으로 미래형 실용인재 양성하는 서경대학교 file

글로벌 실용교육 중심 대학으로 도약하고 있는 서경대학교는 창의적이고 현장 경험이 풍부한 크레오스(CREOS)형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고 있다. 최초라는 수식어도 어색하지 않다. 단과대학 규모로는 세계 최초로 미용예술대학을 ...

[진세근 교수 기고] 梅經寒苦<매경한고> file

漢字, 세상을 말하다 중국인들의 매화(梅花) 사랑은 남다르다. 마오쩌둥(毛澤東)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는 『매화를 읊다(咏梅)』에서 “온 산에 꽃 만발할 제, 매화는 그 속에서 홀로 웃는다(待到山花爛漫時 她在叢中笑)”고 노래했다...

서경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진로탐색 지원 브릿지 프로그램’ 운영. 만족도 높아 file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생활 적응 및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탐색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발벗고 나섰다. 서경대는 최근 외국인 유학생 지원 업무...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 ‘Friend Mind Keeper(친구지키미)’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file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는 대학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도와주는 Friend Mind Keeper(친구지키미)’ 프로그램에 참가할 학생들을 공개 모집하고 있다. ‘Friend Mind Keeper’란 친구지키미들이 동기나 ...

같이의 가치, 하나 되는 우리, ‘어울림’ - 서경대학교 인문과학대학의 다함께 어우러지는 뜻깊은 학술제<4> : 국제비즈니스어학부 불어 전공 학술제 ‘불어인의 밤’ 개최 file

11월 29일(화) 오후 6시 30분 교내 청운홀서 노래, 시 낭송, 영화 상영 및 경품 추첨 등 다양한 이벤트 열려 지난 11월 28일(화) 오후 6시 30분 교내 청운홀에서 서경대학교 인문과학대학의 네 번째 학술제인 ‘불어인의 밤...

로드숍 줄고 드럭스토어 포화…중저가 뷰티 시장 위기 file

로드숍 줄고 드럭스토어 포화…중저가 뷰티 시장 위기 [앵커] 도심 번화가에 한 집 건너 또 한 집 있던 중저가 화장품가게들이 속속 문을 닫고 본사도 위기인 곳이 많습니다. 여러 브랜드를 모아 이 로드숍 대신 고성장하...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2019 인생나눔교실’ 기획사업 ‘삼삼오오 인생나눔활동’ 지역거점 운영기관(단체) 공모 file

서울·경기·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밀착 <삼삼오오> 그룹을 구성해 운영할 수 있는 기관(단체) 모집 장년·노년 세대가 주체가 되어 지식·재능·지혜를 나누는 소규모 인문활동 지역 특성에 기반한 인생나눔교실의 사업가치 확산 ...

[신혜원 서경대 교수 칼럼] 아이를 키우면서 부모는 더 현명해지고 성숙해진다 file

[좌충우돌 아이와 함께 성장하기] 부모가 된다는 것의 의미는? 아이에게 양육을 제공할 때 아이의 상황이나 기분, 욕구 등을 잘 살피고 이에 적절한 방법으로 양육으로 제공해야 합니다. ⓒ베이비뉴스 아이를 키우는 일은 매우...

투표합시다! 서경대학교 인문과학대학 학생 여러분! - ‘너와 나 그리고 우리’ 슬로건 내건 제28대 ‘우리’ 인문대(정학생회장 국제비즈니스어학부 중어 전공 13학번 이도영 군, 부학생회장 아동학과 15학번 김예지 양), 11월 27일 ~ 28일 치러진 투표 통해 당선 file

①비빔밥 데이 ②인문대 물품 카톡 우선 예약제 ③SNS 이벤트 활성화 ④프린트 지원 ⑤물품 대여 및 지원 ⑥시험기간 간식 지원 등 약속 ‘우리’ 인문대 선거 포스터 지난 11월 27일 오전 9시부터 28일 오후 6시까지 이틀...

[사회혁신 특집좌담 (5)] 앞으로도 인류사와 함께할 뒷담화, 선한 영향력 강화해야 file

왼쪽 두번째부터 박상병 정치평론가, 좌장을 맡은 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 손애경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교수, 정재룡 전 국회 수석전문위원, 성봉근 서경대학교 법학과 교수, 이경선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