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일러(1).jpg


이즈미 지하루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처음 한국에 온 1980년대 중반, 당시 집에서 고양이를 기르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간혹 시장에 가면 끈에 묶여 있는 고양이를 볼 뿐이었다. 고양이의 이름을 물으면 대부분 이름 같은 건 없어, 그냥 나비라고 불러라고 퉁명스레 대답했다. 당시 고양이는 불길한 동물로 여겨져 가정에서 기르거나 개별 이름을 붙이는 습관도 없었다. 고양이를 좋아하는 나로서는 상당한 문화적 충격이었다.

 

일본의 고양이 역사는 2100년 전 야요이(彌生)시대 유적에서 고양이 뼈가 발견될 정도로 오래됐다. 중국에서 온 불교 경전을 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함께 왔다고 한다. 오랫동안 인간과 공존하며 한쪽 앞발로 사람을 부르는 듯한 자세의 마네키네코로 상징되듯 복을 가져다주는 동물로 사랑받아 왔다. 흥미로운 것은 고대나 중세에는 일본에서도 고양이를 끈에 묶어 길렀다는 것이다. 지금처럼 놓아기르게 된 것은 1602년 교토의 행정기관(교토쇼시다이·京都所司代)이 늘어난 쥐의 피해에 대한 방책으로 고양이 방목령을 반포한 이후부터였다.

 

나의 고양이 집사이력은 일본에서 세 번, 한국에서 한 번 등 모두 네 번이다. 첫 번째 고양이는 초등학교 때 갈색 무늬의 챠코로, 마치 사차원인 내 여동생 같은 존재였다. 두 번째 고양이는 오빠가 중학생 때 데려온 하얀 수고양이. 그땐 너무나 작고 약했기 때문에 작다(꼬마)’라는 뜻의 치비라고 이름 지었다. 그런데 치비는 동네의 어느 고양이보다 크게 자랐다. 멋진 털을 지닌 씩씩한 백수의 왕 같았지만 세대교체는 너무도 빨리 찾아왔다. 나는 치비를 통해 수고양이의 약육강식 세계를 알게 됐다.

 

세 번째는 암고양이 지지다. 새까맣기 때문에 애니메이션 마녀배달부 키키에 나오는 인간의 말을 하는 검은 고양이의 이름에서 따왔다. 내 어머니와 18년간 살았다. 나이 들어선 엄마 무릎에 앉아 마치 대화를 나누는 듯했다. 지지가 죽자 엄마는 슬퍼하며 다른 고양이는 기르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지지는 엄마의 마지막 반려동물이 됐다.

 

그리고 지금 나는 네 번째 고양이와 서울에 살고 있다. 올해 열여섯 된 나나로, 사람으로 치면 80세 정도의 할머니 고양이다. 흰색에 살짝 회색이 섞인 털이 긴 페르시안 친칠라종으로 우아하고 도도해 보이지만 외모와 달리 수줍음이 많다. 퇴근해서 집에 오면 강아지처럼 달려오거나 노골적으로 표현하지는 않지만 문 앞에서 우리가 온 것을 확인한다. 사람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며 적당히 어리광을 부리는 모습이 나와 잘 맞는다.

 

15년 이상 같이 지낸 나나와는 많은 추억이 있다. 미대 입시를 준비하던 딸이 데생 연습을 할 때는 의자 손잡이 위에 앉아 지켜보곤 했다. 새벽에 일어나 아이들의 도시락을 준비할 때는 눈을 크게 뜨고 내 요리 솜씨를 지켜봤다. 남편과 함께 별을 보러 옥상에 올라가기도 했다. 그런 나나가 최근 들어 좋아하던 높은 상자 위에 올라가지 않는다. 노화 증상이 온 것이다. 작년 3월에 검사해보니 암이라고 했다. 가족 모두 묵묵히 준비를 하며 소중한 시간들을 마음 깊이 간직하며 지내고 있다.

 

그동안 한국의 고양이에 대한 인식은 많이 변화했다. ‘인간의 장난감으로 여겨지던 애완동물에서 함께 살아가는 동반자라는 뜻의 반려동물로 불리게 됐다. 고양이 카페, 고양이 전문병원, 고양이 노인정도 생겼고 동물보험도 정비됐다. 유튜브엔 귀여운 고양이의 영상이 가득하다. 이름도 그냥 나비가 아닌 구름, 두부, 보리 등 다양해졌다. 일본에서 인기인 소라, 모모, 레오와 비슷하다. 이제 한국과 일본의 고양이에 대한 인식은 거의 비슷해졌다. 굳이 차이를 말하자면 일본 고양이는 냐냐(にゃにゃ)’라고 울고 한국 고양이는 야옹야옹하며 우는 정도랄까.

 

고양이는 평균 연령이 15세로 사람의 5분의 1에 불과하다. 그래서 사람보다 빨리 성장하고, 빨리 나이를 먹으며, 빨리 노화가 온다. 그리고 빨리 하늘나라로 떠난다. 현재 일본의 반려묘는 약 44%가 고령이다. 한국도 비슷할 것이다. 고양이 붐이 일시적이지 않았으면 한다. 고양이가 나이를 먹어 노화가 와도 잘 돌봐주며 진정한 반려인이 되어 주었으면 한다. 그것은 단순히 애완동물이 아닌 반려동물이기 때문이다.


<원문 출처>

동아일보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705/96334986/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41638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칼럼:[시론]정보요원과 외교관은 역할이 다르다 file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미국엔 영원한 적도 영원한 친구도 없다. 오직 국익만이 존재할 뿐이다.” 냉전 시기 미·중 수교와 미·소 데탕트를 이끈 ‘외교의 거목’ 헨리 키신저(1923~202...

전규열 서경대 교수, 길음사회복지관 올해 첫 기부 file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경임교수(오른쪽)가 서울 성북구 길음사회복지관 장민균 관장에게 상품권을 전달하고 있다.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공감신문 대표이사)는 17일 서울 성북구 길음종합사회복지관 장민균 관장에게 올...

[2025대입잣대] 15개 상위대 취업률 성대 76.5% ‘7년 연속 최고’.. 서강대 한대 인하대 중대 톱5 file

이공특 진학률 지스트 64.7% ‘최고’ DGIST 포스텍 KAIST UNIST순 2022년 2월(2021년 8월 포함) 졸업생의 취업률이 전년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알리미가 17일 공시한 ‘졸업생의 취업현황’ 자료에 따르면 상위1...

서경대학교 학생증 디자인 공모전 ‘대상’ 수상 공연예술학부 무대기술전공 김수호 학우 인터뷰 file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추진사업단(단장 이석형 교수)이 주최한 ‘2023학년도 서경대학교 학생증 디자인 공모전’은 재학생 의견 수렴 및 반영을 통한 소속감 및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운영되었다. 해당 공모전의 수상작 디자인은 ...

서경대 신문 576호 file

[서경대 카드뉴스] 2024 동계방학 기간 중 도전하기 좋은 공모전 및 대외활동 file

<홍보실=이세인 학생기자>

정시 대학 3곳 중 1곳은 ‘사실상 미달’… 88%가 비수도권 file

2024학년도 원서접수 결과 분석 188개교 중 ‘경쟁률 3대 1’ 이하 59곳 대부분 지방대… 정원·지원자 수 감소 전남 1.88대 1 최저… 광주·경남 뒤이어 인천 6.32대 1·서울 5.79대 1과 대조 “중복합격자 이탈 땐 추가모집 ...

[서경대 MFS] 일본 인터넷 전문은행 지분뱅크(au JIBUN BANK) file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

서경대학교 ‘2023 중국 한국어과 대학생 방한 연수 수료식’ 개최 file

1월 10일(수) 교내 문예홀서, 수료자 50명에게 수료증과 소정의 기념품 수여 서경대학교는 1월 10일(수) 교내 문예홀에서 ‘2023 중국 한국어과 방한 연수 수료식’을 가졌다. 이번 방한 연수는 지난 2023년 8월 2일, 중국 ...

구자억 서경대 혁신부총장, 저서 ‘새로운 중국교육사’ 출간 file

중국교육의 발전 역사를 중국역사 연대기에 따라 고찰 중국의 역사 속에서 중국교육은 어떤 모습을 가지고 있었고 역할과 위상은 어떠했는지 분석 중국교육의 발전과정을 중국의 정치 및 사회 체제와 관련 지어 서술 서경대...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