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진세근 교수.jpg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중국 역사를 보면 적지 않은 소년 천재가 등장한다.


먼저 당()대 천재 시인 왕발(王勃)을 보자. 그는 6세 때 처음 시를 썼다. 신동이란 말이 절로 나왔다. 9세 때 안사고(顔師古)가 쓴 한서주(漢書注)의 잘못을 조목조목 지적한 논문 지하(指瑕)를 썼다. 무려 10권의 분량이다. 16세에 대과에 급제해 역대 최연소 관리가 된다. 황제 고종(高宗)기재(奇才)로다, 대당(大唐)의 기재로다!”라고 찬탄한다.


가장 빛나는 천재는 남송(南宋) 문천상(文天祥)이다. 문천상은 장기 천재였다. 6세 때 연못에 들어가 물에서 장기 두는, 이른바 수면행마(水面行馬)를 즐겼다. 그 후 허공(虛空)행마로 발전한다. 허공을 반상(盤床) 삼아 장기를 두는 경지다.


20세에 장원급제하자 황제 이종(理宗)은 송서(宋瑞)라는 자()를 내린다. ‘송나라의 상서로운 인물이라는 뜻이다. 황제가 직접 자를 내린 사례는 극히 드물다. 게다가 자의 의미는 극찬이다. 대단한 영예다.


문천상은 자()의 의미대로 삶을 살았다. 정치 개혁을 주도했고, ()의 침략으로 국가가 존망의 위기에 놓이자 손수 말에 올라 원()군과 싸웠다. 원 황제 세조(世祖)는 사로잡힌 문천상에게 중서재상(中書宰相)이란 고위직을 제의하며 3년이나 집요하게 투항을 권유했지만 그는 늠연하게 죽음을 택한다. 그의 나이 47세였다.


문천상이 죽음 직전 남긴 시는 지금도 중국인들이 즐겨 읊는다.


예로부터 죽음 없는 인생이 어디 있었으랴. 역사에 비춰 부끄럽지 않은, 단심(丹心)만을 남기겠노라 (人生自古誰無死,留取丹心照汗?)



중국 역사학자들은 두 천재가 조정을 흔든, 그 막강한 동력에 늘 주목한다. 어리다는 이유로, 그들은 무시당하거나 홀대 받지 않았다. 황제들은 그들에게 기재’, 혹은 나라의 상서로운 인물이라고 상찬했다. 그리고 중용했다. 연장자의 경륜도 필요하지만, 연부역강(年富力强)한 청년의 패기와 창의도 필요했기 때문이다.


우리 정치계에도 마침내 청년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일으킨 바람이다. 그 여파로 각 당마다 젊음을 내세우고, 젊다고 자랑하는 소리가 요란하다.


이준석 신임 대표에게도 여타 정치인처럼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는 여성·청년·호남 할당제 폐지를 주장한다. 시대의 흐름과 분명 맞지 않는다. ‘모두가 자유로운 세상은 정글이며, 정글의 법칙과 양육강식의 원리가 자연의 섭리라고 그는 본다. 그는 그런 논리가 지배하는 세상에서의 승자다. 그래서 그렇게 말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논리가 작동하는 세계에서 뒤처지고 상처받은 사람들이 그를 지지한다는 건 모순이다. 대중은 아마도 이준석을 통해 화끈한 분노, 그리고 명쾌한 심판을 기대했는지도 모른다.


이준석 현상은 그래서 소중하다. 새로운 시도, 새로운 기운이 거기서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청년에 대한 걱정은 있겠지만, 그렇다고 치졸한 딴지 걸기는 피하자. 고종이나 이종처럼 북돋우고 격려하자. 그래야 우리 정치판에도 새벽이슬 같은 청년들이 넘쳐날 게 아닌가?


유럽은 일찍부터 청년 정치가 활발했다. 청년이 가담해야 노··청의 세 겹줄이 완성될 수 있음을 진작부터 간파했기 때문이다. 성경도 한 사람이면 패하겠거니와 두 사람이면 맞설 수 있나니 세 겹줄은 쉽게 끊어지지 아니하느니라라고 권면하고 있지 않은가.


대한민국의 노·장년층에게 호소한다. 대한민국 정치에 소년 급제를 허()하라!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836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526

서경대학교, 성북문화재단과 문화예술 교류 협약 체결 file

서경대, 서울시 캠퍼스타운 단위형 2단계 사업대상자로 성북문화재단과 협력하여 지역의 문화예술 경제생태계 조성 예정 양 기관 협약 통해 청년들의 취창업교육,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역주민 대상 생활예술 사업 등 긴밀 ...

인문대여! 고개를 들어라, 인문대 반란 <5> 국제비즈니스어학부 일어전공 편 - 주한일본대사관 공보문화원 비서 겸 부번역관 강주연 file

인문학의 사전적 정의는 ‘언어, 문학, 역사, 철학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인문학을 전공하는 사람이라면 “인문대는 취직이 안 된다.”, “인문학을 전공해서 어디에 쓸 수 있냐?”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었을 것이...

서경대학교 국제비즈니스어학부, 러시아 국립모스크바대학교 러시아어·문화센터와 상호 교류협력 및 발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11월 15일(목) 오후 6시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서 ‘러시아 국립모스크바대학교 데이’란 주제로 세미나도 가져 서경대학교 국제비즈니스어학부(학부장 안병팔)는 11월 15일(목) 오후 6시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러시아 국립...

[10人10色]'더 맨 블랙' 엄세웅 "차세대 로코킹은 나" file

엄세웅(사진=스타디움) ‘로코킹’ 멀티테이너 배우그룹을 표방한 더 맨 블랙의 ‘퍼플’ 엄세웅이 되고 싶은 목표다. 롤모델은 배우 박서준이다. 관객, 시청자가 자신의 연기를 보고 설렘과 웃음, 달달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게...

[대학내일] 표지모델! 서경대 연기전공 16 이다현 file

다름을 인정할 줄 알고, 새로운 자극을 유연하게 받아들일 준비가 된 사람으로 성장하고 싶어요. 01 화보의 ‘가을가을’한 분위기와 잘 어울려요. 다현씨가 가장 좋아하는 계절은? 가을이요! 하늘이 정말 아름다워서 좋아요. 우울...

[취재파일] 장교 양성의 새 요람…4년제 군사학과 file

장교가 되기 위해서는 통상 각군 사관학교를 거치거나 아니면 학군단, 학사장교 등의 코스를 밟게 됩니다. 가장 확실한 길은 사관학교입니다. 사관학교는 각군 장교단의 주력들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장교 양성의 다크호스가 나타...

‘한국 춤’의 진수 목포서 선보인다 file

29일 ‘무작-춤을 만들다’ 공연 시민문화센터 100여명 출연 한국 춤의 다양한 춤사위를 선보이는 의미 있는 공연이 낭만 항구 목포의 가을밤을 달군다. 18일 목포시는 오는 29일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에서 100여명이 출연해 한국...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 중국 이야기, 세밀하고 풍부하고 보석 같은 file

4개 성 각각 한글자 한자로 풀어 참고문헌 500개, 시·공간 교차 전문적 관점, 영화 같은 재미 선사 한글자 중국: 중국의 탄생 김용한 지음 휴머니스트 한글자 중국: 중국의 확장 김용한 지음 휴머니스트 정암(定庵) 공자진(龔自...

서경대학교 새 홍보영상 공개 file

서경대학교가 지향하는 경영철학과 교육모토, 지향하는 인재상, 교수학습방법 등을 폭넓게 볼 수 있는 텍스트 중심의 홍보영상이 제작돼 공개됐다. 이번에 공개된 홍보영상은 모두 50개 스틸컷으로 만든 런닝타임 3분 28초 짜리로...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2018학년도 졸업작품 전시회 개최 file

11월 15일(목) 오전 10시 교내 북악관 5층서 중고거래사이트 ‘We Make Deal' 등 60여 편의 작품 선보여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학과장 박태룡)는 11월 15일(목)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교내 북악관 5층에서 졸업작품 전시회를...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