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진세근 교수.jpg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중국 역사를 보면 적지 않은 소년 천재가 등장한다.


먼저 당()대 천재 시인 왕발(王勃)을 보자. 그는 6세 때 처음 시를 썼다. 신동이란 말이 절로 나왔다. 9세 때 안사고(顔師古)가 쓴 한서주(漢書注)의 잘못을 조목조목 지적한 논문 지하(指瑕)를 썼다. 무려 10권의 분량이다. 16세에 대과에 급제해 역대 최연소 관리가 된다. 황제 고종(高宗)기재(奇才)로다, 대당(大唐)의 기재로다!”라고 찬탄한다.


가장 빛나는 천재는 남송(南宋) 문천상(文天祥)이다. 문천상은 장기 천재였다. 6세 때 연못에 들어가 물에서 장기 두는, 이른바 수면행마(水面行馬)를 즐겼다. 그 후 허공(虛空)행마로 발전한다. 허공을 반상(盤床) 삼아 장기를 두는 경지다.


20세에 장원급제하자 황제 이종(理宗)은 송서(宋瑞)라는 자()를 내린다. ‘송나라의 상서로운 인물이라는 뜻이다. 황제가 직접 자를 내린 사례는 극히 드물다. 게다가 자의 의미는 극찬이다. 대단한 영예다.


문천상은 자()의 의미대로 삶을 살았다. 정치 개혁을 주도했고, ()의 침략으로 국가가 존망의 위기에 놓이자 손수 말에 올라 원()군과 싸웠다. 원 황제 세조(世祖)는 사로잡힌 문천상에게 중서재상(中書宰相)이란 고위직을 제의하며 3년이나 집요하게 투항을 권유했지만 그는 늠연하게 죽음을 택한다. 그의 나이 47세였다.


문천상이 죽음 직전 남긴 시는 지금도 중국인들이 즐겨 읊는다.


예로부터 죽음 없는 인생이 어디 있었으랴. 역사에 비춰 부끄럽지 않은, 단심(丹心)만을 남기겠노라 (人生自古誰無死,留取丹心照汗?)



중국 역사학자들은 두 천재가 조정을 흔든, 그 막강한 동력에 늘 주목한다. 어리다는 이유로, 그들은 무시당하거나 홀대 받지 않았다. 황제들은 그들에게 기재’, 혹은 나라의 상서로운 인물이라고 상찬했다. 그리고 중용했다. 연장자의 경륜도 필요하지만, 연부역강(年富力强)한 청년의 패기와 창의도 필요했기 때문이다.


우리 정치계에도 마침내 청년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일으킨 바람이다. 그 여파로 각 당마다 젊음을 내세우고, 젊다고 자랑하는 소리가 요란하다.


이준석 신임 대표에게도 여타 정치인처럼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는 여성·청년·호남 할당제 폐지를 주장한다. 시대의 흐름과 분명 맞지 않는다. ‘모두가 자유로운 세상은 정글이며, 정글의 법칙과 양육강식의 원리가 자연의 섭리라고 그는 본다. 그는 그런 논리가 지배하는 세상에서의 승자다. 그래서 그렇게 말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논리가 작동하는 세계에서 뒤처지고 상처받은 사람들이 그를 지지한다는 건 모순이다. 대중은 아마도 이준석을 통해 화끈한 분노, 그리고 명쾌한 심판을 기대했는지도 모른다.


이준석 현상은 그래서 소중하다. 새로운 시도, 새로운 기운이 거기서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청년에 대한 걱정은 있겠지만, 그렇다고 치졸한 딴지 걸기는 피하자. 고종이나 이종처럼 북돋우고 격려하자. 그래야 우리 정치판에도 새벽이슬 같은 청년들이 넘쳐날 게 아닌가?


유럽은 일찍부터 청년 정치가 활발했다. 청년이 가담해야 노··청의 세 겹줄이 완성될 수 있음을 진작부터 간파했기 때문이다. 성경도 한 사람이면 패하겠거니와 두 사람이면 맞설 수 있나니 세 겹줄은 쉽게 끊어지지 아니하느니라라고 권면하고 있지 않은가.


대한민국의 노·장년층에게 호소한다. 대한민국 정치에 소년 급제를 허()하라!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836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606

[구자억 서경대학교 혁신부총장] 실용가치 기반한 미래형 혁신대학으로 도약 file

맞춤형 전공 신설하고 산학협력 강화 ··· 플랫폼 통해 혁신 프로그램 시스템화 넥스트 유니버시티를 통한 교육 대전환 구상 구체화 … 지역사회와 연계 강화 서경대학교가 미래형 혁신대학으로 거듭나기 위한 다양한 노력으로 ...

2022 서경대학교 학과(부) 홍보영상 공모전 “어서와! 우리학과는 처음이지?” 성료 file

‘최우수상’ 수상 광고홍보콘텐츠학과 청춘시대 팀 인터뷰 <공모전 포스터>  2022 서경대학교 학과(부) 홍보 영상 공모전 “어서와! 우리 학과는 처음이지? - 따로 또 같이 그린 서경대학교”가 많은 학생들이 열정을 가지고...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 ‘2022 동아시아 무용콩쿠르’에 참가해 ‘아티스트상’, ‘특상’, ‘금상’, ‘은상’ 등 수상하는 등 우수한 성적 거둬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학부장 전순희 교수)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이 지난 6월 4일(토) 오전 상명대 상명아트센터 계당홀에서 개최된 East Asian Dance Competition 조직위원회 주최 ‘2022 동아시아 무용콩쿠르’에 참가해 ‘아...

남북정상판문점회담 1주년, 오는 4월 7일 임진각 춤판 '평화통일염원 대학춤축제' 개최 file

'남북정상 판문점회담 1주년 및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으로 시대적, 국가적 과제인 평화통일의 염원 담아 ‘춤으로 하나로!’를 주제로 한 축제 [문화뉴스 MHN 이준호 기자] 국제문화예술포럼(ICAF=International Cultur...

서경대 평생교육원, 고교생 ‘미용·모델 진로체험’ 모집 file

▲ 서경대 예술종합평생교육원이 주관하는 '제4회 미용·모델 하계 진로체험' 프로그램 포스터.  서경대(총장 최영철) 예술종합평생교육원이 오는 16일까지 제4회 미용·모델 진로체험 프로그램 고등학생 대상자를 모집한다. 미용·모...

[인터뷰] 오재호 “감동을 주는 가수가 되고 싶어요” file

[헤럴드경제 스타&컬처팀=이소희 기자] 신인가수 오재호를 처음 마주했을 때는 차분한 분위기가 눈에 띄었다. 이야기를 나누면서는 그 뒤에 가려진 엉뚱한 매력이 보였고, 또 신인 특유의 열정이 느껴졌다. 진지한 목소리로...

서경대,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모교 방문 특강 개최 file

‘대한민국 금기깨기’ 주제로, 11월 2일(화) 오전 10시 서경대캠퍼스 문예홀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법학과 78학번 동문인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를 초청해 오는 11월 2일(화) 오전 10시 서울 성북구 정릉에 있는 서경대...

서경대학교, 성북문화재단과 문화예술 교류 협약 체결 file

서경대, 서울시 캠퍼스타운 단위형 2단계 사업대상자로 성북문화재단과 협력하여 지역의 문화예술 경제생태계 조성 예정 양 기관 협약 통해 청년들의 취창업교육,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역주민 대상 생활예술 사업 등 긴밀 ...

[서경대] ‘현장중심 · 창의융합’ 교육…CREOS형 인재 키운다 file

2023학년도 수시 모집_ 서경대 서경대 공연예술학부에서 진행한 2022 HUB 13(언택트 패션 갈라쇼)이다. 사진=서경대 서경대(총장 최영철)는 창조적인 탐구인·세계적인 교양인·실천하는 전문인이라는 교육목표 아래 실용과 혁신...

『수강 신청 5초컷! 우리 대학 인기 교양과목 소개』 <2> ‘스무살 부자되기’ file

재작년 초부터 3년째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 19 확산 및 장기화로 대부분의 학교수업이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학생들은 대면수업 때와 다른 생활방식과 새로운 학점 취득 전략을 세우는 등 대학생활 전반에 큰 변화...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