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세계의 고등교육 - 중국 대학사이언스파크


구자억 서경대 대학원장.jpg

구자억 서경대 대학원장


중국을 어떻게 보아야할까? 미래기술을 선도하는 국가로 나가고 있다고 보아야 할까, 아니면 미국같은 선진기술국가의 뒤를 쫓거나 모방하는 국가로 보아야 할까. 이에 대한 정확한 대답을 내기는 어렵다. 다만 언론을 통해 혹은 객관적인 수치를 통해 중국의 기술이 꽤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은 알 수 있다. 이러한 기술발전은 해외인재 유치, 선진국가 기술 벤치마킹, 중국정부의 교육과 과학 우선발전 전략 추진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그중에서도 중국 대학 내에 설립된 사이언스파크는 중국기술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대학사이언스파크는 중국에서 대학과기원이라 불린다. 이런 중국의 대학과기원은 대학에 조성된 산, , 연 연합체로 현재 110여개가 있다. 국가급과 성급이 있으며, 대부분이 중국내의 유수한 대학 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특이한 대학사이언스파크도 있다. 선젼에 설치된 대학과기원인 선젼버츄얼유니버시티 파크다. 이 선젼과기원은 60여개의 국내외 대학을 분교형태로 입주시켜 과기원으로 만든 경우다. 이곳의 특징은 산, , 연 클러스터를 만들고, 이를 통해 지역기술발전과 지역인재를 육성하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베이징대학, 조지아텍 등 국내외 유수한 대학들이 이곳에 연구소를 세우고,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으론 지역에 필요한 석박사 학생들을 교육시키는 역할도 하고 있다. 여기선 대학들이 연구한 결과가 곧바로 창업으로 연결된다. 인큐베이팅 과정을 거쳐 성과가 좋으면 외부로 진출해 더 크게 발전시킨다. 당연히 지원시스템이 필요한데, 정보공유를 위한 과기원내 정기교류장치가 있다. 공동실험실도 운영된다. 특히 창업자를 위해 투자회사를 운영함으로서 창업의 어려움을 해결하도록 하고 있다.


중국의 대학과기원은 이제 중국 기술발전의 견인차가 되고 있다. 앞에서 본 선젼과 같은 경우는 아예 다수의 유수대학을 유치해 대학과기원을 만든 경우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대학과기원은 지역 내 특정대학에 설치한다. 예를 들면 베이징대학 과기원, 저쟝대학 과기원 같은 형태다. 분명한 것은 이들이 지역기술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다. 또 창업의 산실이기도 하다. 과기원은 현재 인큐베이터기업 9972, 인큐베이터 기업의 수입 3012000만 위안, 인큐베이터 기업의 직원수는 163천여 명에 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전에 이공계 연구소 클러스터가 있고, 판교밸리도 있다. 이들도 많은 성과를 내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들은 연구소나 기업위주의 구조를 띠고 있다. , , 연이 일체가 된 모형이라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우리도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아 대학의 산, , , 지역협력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된다.


첫째, 대학이 지역 기술발전의 선도자가 되어야 한다. 대학이 산업발전의 모태가 될 필요가 있다. 중국의 대학과기원은 그런 측면에서 한 사례가 될 수 있다. 실리콘밸리를 탄생시킨 스탠포드대학 사례를 보아도 대학이 지역발전과 기술발전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다. 둘째, 대학이 학생들의 창업 인큐베이팅 역할을 하는 것이다.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것은 바로 창업을 통한 지역발전이다. 중국의 대학과기원에서는 대학생 창업이 일상화되어 있다. 여기서 학생들은 새로운 생각에 몰두하고, 이를 통해 창업을 창조한다. 셋째, 대학이 지방경제 및 기술발전을 위한 고급인재 양성 및 기업인큐베이팅을 통해 상생의 고등교육 특성화 모델이 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지역소재 대학도 살고, 비장도 산다.


4차산업혁명은 대학운영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새로운 패러다임은 대학운영, 교육, 사회네트워킹 등 다양한 측면에서 새로운 접근을 말한다. 중국의 대학과기원은 4차산업혁명시대 대학이 어떤 모습으로 생존해야 할지 보여주는 모델이 될 수 있다.


<원문출처>

교수신문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3998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422

글로벌 창의·융합·실용인재 양성의 요람 file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추진사업단 이석형 단장 실용교육의 메카로 명맥을 이어 온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새로운 도약과 혁신을 향한 힘찬 닻을 올렸다. 지난해 교육부 주관 2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에서 최상위 성적으로 ‘자...

[전창배 서경대 블록체인R&P센터 기업부설연구소장의 4차산업혁명 바로보기] file

제조업의 미래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논설위원 전창배 ‘4차 산업혁명’이란 용어는 2016년 다보스 세계경제포럼(WEF)에서 클라우스 슈밥 회장이 최초로 언급한 용어로 현재는 전 세계에서 보통명사처럼 쓰이는 단어가 되...

[김구선의 서경대학교 경영문화 대학원 교수 칼럼] 골프 비거리에 중요한 '엑스팩터'는 뭘까? file

골프 스윙에서 힙과 관련된 몸통(어깨)의 회전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엑스팩터(X-Factor)라는 용어는 <그림 1>의 ③과 같이 몸통(어깨)의 회전각과 힙의 회전각의 차이이다. 엑스팩터의 활용은 스트레치 단축 사이클(Stretch...

서경대학교 한일문화예술연구소, 영화 '기생충'의 자막번역가 '달시 파켓' 선생 초청 특별강연회 개최 file

'영화 자막 알기' 주제로 11월 23일(월) 오후 7시 30분 코로나 19 감염 예방 위해 비대면 온라인(Zoom) 형태로 진행  서경대학교 한일문화예술연구소(소장 이즈미 지하루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는 11월 23일(월) 오후 7시...

2019 아시아모델페스티벌 ‘페이스 오브 코리아’ 본선 진출자 30명 선정 file

2019 아시아모델페스티벌 페이스 오브 코리아 관련 본선 진출자 최종 30명이 선정됐다. 2019 아시아모델페스티벌 페이스 오브 코리아의 본선대회 진출자 최종 30명이 선정됐다. (사)아시아모델페스티벌조직위원회(회장 양의식)와 (사)...

[수시특집/서경대] 실용과 혁신으로 'CREOS형 글로벌 리더 ' 양성 file

'서경비전 2025'수립… 미래형 실용교육 중심대학 도약 ▲ 서경대 전경.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1947년 10월 22일 사실에 입각해 진리를 탐구하는 ‘실사구시’와 교육을 통해 국가발전을 추구하는 ‘교육보국’의 건학이념으로...

[자주국방, 미래전을 준비한다] 국가·사회가 필요로 하는 정예 장교 양성 … 서경대 군사학과 명문대학으로 자리매김 file

육군·해병대 등과 학·군 협약 체결 전국 유사 학과 대비 취업률 100% 서경대 군사학과는 수도권 지역 4년제 종합대학 가운데 처음으로 국가 안보를 책임질 정예 장교를 양성하는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서경대학교 군사학과는 ...

[2019정시특집] '현장중심 창작지향' 서경대 568명 모집.. 가/나/다군 분할 선발 file

K-뷰티, K-팝 관련 분야 학과 '강세' [베리타스알파=유수지 기자] 현장중심 교육을 실현하고 있는 서경대는 올해 정시에서 정원내 568명을 모집한다. 지난해 584명 모집에서 소폭 축소됐다. 올해부터 이공대학 컴퓨터과학과가 소프...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한중일 공통 콘텐츠 ‘서예’ 보급 확대되길[이즈미의 한국 블로그] file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중국에서는 서법(書法), 한국에서는 서예(書藝), 일본에서는 서도(書道).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벼루에 먹을 갈아 붓으로 화선지에 글을 쓰는 행위와 이를 작품으로 ...

서경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30년의 IT 경험 공유하기' 주제로 전공탐색 1차 특강 성황리에 열어 file

5월 16일(화) 오전 11시 서경대 북악관 107호서 서경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학과장 민미경)는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업체인 네무스택(주)의 이승종 대표를 초청, 5월 16일(화) 오전 11시 서경대 북악관 107호에서 '30년의 IT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