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차이나 인사이트] 중국 굴기의 힘은 '커자오싱궈' 전략에서 나온다_오피니언 26면_20160817.jpg

 

아편전쟁 이전 세계 최강이던 중국의 영광을 어떻게 되찾을 것인가. 20세기 초엔 과학을 뜻하는 ‘새선생(賽先生·science)’과 민주주의를 말하는 ‘덕선생(德先生·democracy)’이 거론됐다. 그러나 1978년 개혁·개방 이후엔 과학과 교육을 통해 나라를 일으켜 세우자는 ‘커자오싱궈(科敎興國)’ 전략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은 교육을 우선적으로 발전시키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중국은 어떻게 교육을 발전시키고 있나.

 

사례 1. 베이징(北京)대의 한 교수가 교정에 좌판을 벌여놓고 셴빙(?餠)이란 만두를 팔았다. 그러자 언론에서 찬반 양론이 일었다. 교수의 권위가 손상된다는 지적과 누구든 장사를 할 수 있다는 지적이 동시에 나왔다.

 

사례 2. 11세 소년이 길에서 닭을 팔았다. 담임선생이 부모에게 소년을 학교로 보내달라고 요청하자 부모는 “선생님은 한 달에 얼마를 버시나요? 이 아이는 아마 선생님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을 벌 것입니다”고 말했다.

 

두 사례 모두 개혁·개방 직후의 일로 중국 교육계에선 한동안 공부보다는 돈을 중시하는 풍조가 유행했다. 독서무용론도 나왔다. 그러던 중국이 2016년 QS 아시아대학 평가에선 ‘아시아 350위 대학’ 안에 가장 많은 82개대의 이름을 올렸다. 그런가 하면 세계 3대 학술지 중 하나인 네이처(Nature) 최신호가 네이처 인덱스 상승률 상위그룹을 발표했는데 1~5위 모두를 중국 대학이나 연구소가 차지했다. 한국은 기초과학연구원이 11위에 올랐을 뿐이다.

 

중국 교육이 약진하고 있다. 중국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의 한 초등학교에 가면 3D 프린터로 수업을 하고 한쪽 교실에선 로봇 조립을 한다. 이 학교는 항저우에서 평균 수준이다. 자식을 둔 중국 부모의 꿈은 곧잘 ‘망자성룡(望子成龍)’으로 표현된다. 비록 개천에서 태어났을지라도 열심히 공부해 훌륭한 인물이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국가 또한 나라의 미래가 교육에 달렸다고 보고 교육 강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교육을 잘 받아야 좋은 직업을 얻을 수 있고, 직업은 소득을 결정하며, 소득은 또 생활을 좌우할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의 고등교육은 세 개의 정교한 계획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

 

우선 이념의 토대를 놓지 않고 있다. 우리는 중국을 볼 때 중국이 사회주의 국가라는 사실을 간혹 잊곤 한다. 자본주의 요소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도 그럴 것이라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한 꺼풀 벗기고 들어가면 중국 교육의 밑바탕엔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이념과 철학이 단단히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의 국가 교육철학은 ‘우홍우전(又紅又專)’이라 할 수 있다. 홍(紅)과 전(專)을 겸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홍’은 사회주의 정치노선과 마르크스의 입장, 관점 등을 말한다. 그 핵심은 ‘사회주의 노선, 무산계급 독재, 공산당 영도, 마르크스-레닌 및 마오쩌둥(毛澤東) 사상’ 등 네 가지를 견지하라는 4항 기본원칙이다. 반면에 ‘전’은 전문적인 지식을 뜻한다. 홍은 이념 표준이고 전은 업무 표준인 셈이다.

 

홍과 전의 관계에 대해 개혁·개방을 주창한 덩샤오핑(鄧小平)은 “전은 홍과 동급이 아니다. 그러나 홍은 반드시 전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양자는 서로 보완적인 것이며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대체할 수 없다고 본 것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학교 교육에서 사상정치 교육을 매우 중시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사상정치 교육만이 사회주의 사회를 이끌 후계자를 양성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우홍우전으로 교육의 이념 토대를 쌓은 뒤 중국이 외치는 건 ‘커자오싱궈’다. 이는 과학과 교육을 통해 국가를 발전시키자는 전략이다. 중국을 발전시키려면 과학의 발전이 필요하고 과학을 발전시키려면 교육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논리다. 바로 이 논리에 따라 중국 정부는 교육을 우선 발전시키는 전략을 취해 왔다. 중국 대학 순위 급상승은 바로 대학에 대한 중국 당국의 대규모 투자에 있다. 중국 유수 대학의 연간 운영비는 조(兆) 단위를 상회한다. 칭화(淸華)대나 저장대의 경우 2조원을 웃돈다. 커자오싱궈는 외면적으로 보기엔 과학과 교육 발전이란 명제를 내세우고 있지만 내면적으론 교육의 혁신 능력과 지식, 인재 등을 무엇보다 중시한다는 사고를 담고 있다.

 

커자오싱궈가 중국 교육의 체질 개선에 큰 역할을 했다면 ‘선택과 집중’은 중국 교육이 세계와 겨룰 수 있도록 해주는 든든한 지원군이다. 중국엔 올해 기준으로 약 53만 개의 학교가 있다. 이를 모두 한꺼번에 발전시킬 수는 없다. 그래서 덩샤오핑이 일부 지역을 먼저 발전시키는 선부론(先富論)을 제창했듯이 중국 정부는 일부 학교를 우선 발전시키는 전략을 채택했다. 그런 선택과 집중의 대표적 사례가 ‘중점(重點)학교 제도’다. 우수한 초·중·고교를 집중 지원해 최고의 학교로 육성하는 것으로 현(縣) 중점학교, 시(市) 중점학교, 성(省) 중점학교 등 다양하다. 지역별로 일류 학교를 키우는 전략이다.

 

대학의 경우엔 세 개의 공정(工程·프로젝트)이 작동하고 있다. ‘211 공정’은 100개 정도의 대학과 1000개 정도의 학과를 세계 선진 수준으로 육성하겠다는 정책이다. 한걸음 더 나아간 ‘985 공정’은 211 공정 대학 중에서 일부를 선별해 세계 일류 대학으로 키운다는 것이다. 또 ‘111 공정’은 세계 100위권 대학에서 1000명의 인재를 초빙해 중국 100개 대학에서 연구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물론 중점학교 제도는 교육의 불평등을 초래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짧은 시간 내 중국이 선진국 수준으로 올라갈 수 있는 사다리 역할을 하는 것은 분명하다.

 

개혁·개방 초기 중국은 시장경제가 뭔지 잘 몰랐다. 당연히 교육도 백지 위에 새로운 그림을 그리는 형국이었다. 그래서인지 중국 대학의 발전은 이것저것 마구 시도하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학교 기업도 그중 하나다.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베이징 중관춘(中關村)에 가면 팡정그룹(方正集團)이 있다. 3만5000여 직원을 거느린 이 회사의 대주주는 베이징대로 70%의 지분을 보유 중이다. 칭화대가 만든 퉁팡그룹(同方集團)은 연 300억 위안의 수입을 올리며 해외특허만 1000개를 가지고 있다. 이런 학교 기업은 모두 정보기술과 에너지, 환경, 바이오 등 선진 기술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중국엔 교육과 기업, 연구소를 결합한 모델도 있다. 선전의 가상대학원(Shenzhen Virtual University Park)이 그것이다. 80년대만 해도 선전은 가내수공업 중심으로 홍콩의 생산기지 역할을 했다. 첨단산업에 필요한 인재는 턱없이 부족했다. 이에 선전 시정부는 고급 인재 육성을 위해 국내외 유명 이공계 대학을 유치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99년 세워진 선전 가상대학원에는 중국의 유수 대학과 독립법인 성격의 연구원, 인큐베이터 기업 등이 입주해 이제는 산(産)·학(學)·연(硏)·관(官)·자본의 새로운 협력 모델로 자리 잡았다. 현재 14개 외국 대학을 포함해 57개의 대학과 240개의 연구개발기구, 967개의 인큐베이터 기업이 입주해 있다. 중국 전역엔 이런 대학원(national university science park)이 62개나 된다.

 

저장성 닝보(寧波)에 가면 모든 학교 경영이 학생 중심으로 이뤄지는 대학이 있다. 학생의 요구는 3일 이내에 해결된다. 저장완리(萬里)학원과 영국 노팅엄대가 합작해 세운 닝보노팅엄대가 주인공이다. 교수진은 모두 영국에서 파견하고 모든 수업이 영어로 이뤄지며 영국 노팅엄대의 학위가 수여된다. 졸업생 취업률은 98% 이상이다. 중국은 학문적 발전이나 기술 개발이 필요한 영역의 경우엔 외국 대학들에 문을 활짝 열어놓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내 외국과의 합작 대학이 540개나 된다. 주로 컴퓨터과학, 국제경제, 기계, 바이오 등 중국이 꼭 필요한 분야다.

 

중국엔 현재 세계의 다양한 학교와 교육 방법, 첨단 교육 시스템이 모두 들어온 상황이다. 마치 중체서용(中體西用)의 정신을 구현하듯 사회주의란 이념은 튼튼히 해 놓은 상태에서 외국의 선진 경험을 모두 다 갖다 쓰고 있는 모양새다. 중국의 교육은 아직 세계 수준과는 격차가 있다. 그러나 중국 대학 중 일부는 이미 아시아를 넘어 세계 수준에 육박하고 있다. 세계적 수준의 대학 탄생도 머지않아 실현될 전망이다. 중국은 교육대국, 교육강국을 넘어 인재 수출 국가를 지향하고 있다. 이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건 중국의 하드웨어 파워뿐 아니라 중국 굴기의 원동력이 되고 있는 소프트 파워, 즉 중국 교육의 힘이다.

 

◆구자억 서경대 교수=교육학 박사. 베이징사범대 국제비교교육연구소를 졸업했다. 한국교육포럼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사단법인 한·중교육교류협회장과 한·중유학교우총연합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2014년 국민훈장 석류장, 2015년 대한민국교육산업대상을 받았다.

 

 

<기사 출처>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20459507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791

[모델의 아틀리에 2편] 주정은②, 아프리카 말리에서의 안녕…‘공(空), 비우다’ file

슈퍼모델이자 서경대학교 모델연기전공ㆍ예술교육원 모델학전공 교수인 주정은. 1994년 여고생 신분으로 SBS슈퍼모델대회 1위를 차지하며, 스타로 발돋움한다. 하지만 진정한 자아 와 목표를 고민하는 사이 찾아온 때늦은 사춘기, ...

[조정근 서경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 원포인트 레슨] '증여세 폭탄' 피하려 미국 부동산에 눈 돌린다는데… file

전세계 국가 중 대한민국을 제외하고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나라는 미국이다. 최근 자산가들이 미국 뉴욕이나 맨해튼 등에 있는 아파트나 상가·빌딩을 구입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목적은 다양하지만, 대부분 ‘상속, 증여...

서경대학교, 코로나 19 확산 및 장기화 속 ‘CREOS LMS’ 시스템 운영, 학생들에게 호평 받아 file

대학교육이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비대면 수업이 주를 이루는 등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는 가운데 서경대학교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해 오고 있는 ‘CREOS LMS’ 시스템이 학생들 사이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

서경대학교, 국문학과 동문 초청 ‘선배들이 후배들에게 들려주는 사회진출 노하우’ 특강 열어 …‘청야장학금’ 전달식도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국문학과(2013년 문화콘텐츠학부로 편입됨) 동문회(회장 김길연) 주최로 지난 4월 27일(목) 오후 3시 혜인관 시청각실에서 국문학과 졸업생 선배들이 자신의 직업과 경험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학부 후배들의 ...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과 밴드 실버스톤, 오는 2월 1일 대학로서 ‘단독 공연’ 펼쳐 file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과 학생들로 이루어진 밴드 실버스톤이 오는 2월 1일(토) 혜화역 1번 출구 앞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스콘뮤직홀에서 단독 공연을 펼칠 예정이다. 밴드 실버스톤은 채널A가 주최한 <보컬플레이: 캠퍼스 뮤...

[종합] 2021년 기본역량진단 결과… 성신여대·인하대·군산대 등 재정지원사업서 탈락 file

일반재정지원사업에 233개교 선정 이의신청 거쳐 8월말 최종 확정 2021년 대학 기본역량진단(2021년 진단) 가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진단에 참여한 대학 중 52개교가 일반재정지원대학에서 탈락했다. 수도권 지역 성신여대와 인...

서경대, 세계적인 경제학자 윤기향 미국 플로리다애틀랜틱대 교수 초청 특강 개최

5월 22일(월) 오후 1시 교내 문예관 문예홀서 ‘세상과 돈의 흐름을 꿰뚫는 아주 특별한 경제 독법’ 강연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미국 플로리다애틀랜틱대학 경제학과 종신교수이며 ‘올해의 교수상’ 수상자인 윤기향 박사를 ...

2020년 여름방학에 하고 싶은 대학생 대외활동, 어떤 게 있나 file

코로나 19로 인해 원격수업으로 진행되었던 1학기가 끝나고 서경대 학생들도 여름방학을 맞았다. 방학을 맞아 자신의 진로 및 전공과 관련해 새로운 스펙을 쌓거나, 특별한 경험을 해보고자 하는 학우들이 적지 않다. 이러한 학우...

올 겨울 주목해야 할 대학생 대외활동 & 공모전, 어떤 게 있나 file

폭풍의 언덕에 찬 바람이 몰아치고 두꺼운 외투를 걸친 학생들이 종종걸음으로 강의실을 오가는 등 서경대학교 캠퍼스에도 겨울이 찾아왔다. 서경대학교 학생들은 저마다 연말 계획을 세우며 들떠있는 한편 올해 마지막으로 치르게...

20대 70% "유튜버 되고 싶다"…대학에 '유튜브학과'도 등장 file

정화예대 방송영상전공 학생이 학교내 편집실에서 유튜브에 업로드할 영상을 편집하고 있다. “20대 청년들의 고민 상담! 보내주신 사연 읽어보겠습니다.” 지난 4일 오전 서울 정화예술대 남산캠퍼스 편집실. 방송영상학과 양은...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