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외국에서 온 사람들이 먼저 외우는 한국어는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이다. 그 다음에는 “괜찮아요” “빨리”를 배우는 게 일반적인 차례다. 어떤 나라에서건 그 나라 말을 배우는 데 가장 먼저 필요한 게 인사인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한국에 살다보면 인사보다는 “괜찮아요”와 “빨리”라는 말이 한국을 가장 잘 표현하는 단어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나도 이 두 단어를 인사보다 먼저 배웠을 정도다. 오늘은 이 “빨리”에 대해 생각해보고 싶다.

10년 전 한국에 처음 왔을 때, 다들 연락 수단으로 소위 ‘삐삐’(페이저)를 썼다. 일본에서도 그때는 삐삐를 썼다. 일본에서는 처음 숫자만 나오다가 오늘날 휴대폰의 문자메시지처럼 숫자 버튼으로 일본 글자인 가다카나를 보낼 수 있게 되었는데, 한국은 그때도 숫자만 보냈던 것 같다.

어느 날 친구의 삐삐가 울려서 들여다보니 ‘8282’라는 문자가 찍혀 있었다. 이것을 ‘빨리빨리’라고 읽는다고 친구가 가르쳐줬다. 그리고 나서 걸어가고 있는데 또 3분 후 ‘82’라는 문자가 왔다. 그리고 또 오고, 또 오고…. 당시엔 카페마다 전화기가 있고, 그것을 공짜로 쓸 수 있었다. 그래서인지, 아니면 마음이 다급해서 그랬는지 ‘82’라는 문자가 계속 날아왔다. 그때 처음으로 ‘한국 사람은 이렇게 성질들이 급하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

한국 사람은 대개 줄을 서는 것을 싫어한다. 일본에서는 음식점에 들어가기 위해 줄을 서거나 놀이공원에 가서 1시간 이상 줄 서는 일이 보통인데 한국에서는 그것을 참지 못한다. 그런데 최근 들어 한국에서도 사람들이 줄을 서는 모습을 흔히 보게 된다. 한국 사람들이 예전보다 느긋해진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한다.

한국에 살아보니 ‘한국 사람은 급하다’는 것을 외국인이든 내국인이든 다들 인정한다. “반도 문화의 영향”이라는 분석적 설명까지 들어본 적이 있다. 그런데 어떤 면에서는 정말 “빨리 해주면 좋겠다”고 느끼는데 정작 늦는 경우도 있음을 경험하게 된다. 가령 학교 수업이 끝나고 다같이 밥을 먹으러 나갈 때가 있다. 약속을 해 놓고도 어디론가 뿔뿔이 흩어져 다시 모이고 만나느라고 바로 200m 앞 식당에 가는 데 1시간 이상이 걸린다.

일본에서는 단체이동은 어렸을 때부터 가르침을 받아서인지 그런 일을 좀체 보기 드물다. 또 쉬는 날에 카페에 들어가면 다들 2~3시간씩 앉아 이야기를 한다. 일본 사람들은 1시간, 길어야 1시간 반 정도 같은 커피숍에 있으면 답답해한다. 그래서 걸어가면서 이야기하거나 구경하면서 이야기하게 되는데, 한국 사람들은 그 시간을 아주 즐기는 것 같다.

이렇게 보면 ‘한국 사람은 급하다’고 하는데, 전부 그렇지는 않다는 생각이 든다. 몇몇 급한 부분에 대한 선입견이 강하게 작용해 다들 그렇게 보는 게 아닌가 한다. 그런데 실체는 말만 “빨리”라고 하지, 급하지 않은 한국 사람이 더 많은 것 같다.


2008. 05. 30 경향신문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975

2024년 서경대학교 인문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연합체육대회 ‘인싸체전’ 성황리에 마쳐 file

종합우승 군사학과, 준우승 경영학부 6개 학과 참여, 5월 28일(화)부터 30일(목)까지 3일간 스콘 스퀘어 등서 8개 종목 열전 펼쳐 서경대학교 제34대 ‘새늘’ 인문과학대학생회와 제26대 ‘우연’ 사회과학대학생회가 주최하는 인...

환경공단·환경산업기술원 “기계는 국산화하고, 디지털로 고도화하고” file

'엔벡스 2024' 출품된 환경기술 살펴보니 엔벡스 2024에서 환경공단은 긱종 환경기술과 환경사업을 전시해 관람객의 시선을 끌었다. 서울 코엑스에서 3일부터 사흘 일정으로 열리고 있는 ‘제45회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

서경대 MFS연구회, 국내 15개 은행 앱(App)평가보고서발표 “금융상품의 다양성통한 국내은행 뱅킹앱 분석” file

5일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MFS(Mobile Financial Service)연구회(지도교수 서기수)는 다양성 파트에선 얼마나 다양한 상품 가입이 가능한지 15개의 국내은행의 슈퍼앱을 비교 분석한 평가보고서를 발표, 주목을 끌고 있다...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칼럼:[오늘의시선] 北 오물풍선은 고강도테러의 전주곡 file

南에 공포감 조성 겨냥한 다목적 노림수 인명 살상 등 물리적 도발 가능성 배제 못해  비대칭 전력은 전쟁에서 무력 격차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전술적 수단을 말한다. 이 개념은 앤드루 맥이 베트남전을 모델로 1975년 ‘...

한강에서 부활한 대학가요제… “국민 축제로 키워나갈 터” file

2024한강대학가요제,지난달 25일… 서울시-동아일보 공동 주최로 열려 84개 대학, 264개 팀 열띤 경연 서경대 밴드 ‘펜타클’ 영예의 대상 吳시장 “시민도 함께 즐길 수 있게”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 물빛무대에서 지난달 2...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2024 제2회 SB 스타트업 네트워킹 페스티벌’ 개최 file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은 성북 창업 클러스트 연합체인 성북구청, 고려대, 국민대, 동덕여대, 한성대 캠퍼스타운 사업단과 함께 6월 7일(금) 오전 10시 동덕여자대학교 백주년기념관 1층 대공연장 및 로비에서 ‘2024...

[서경대 MFS] 국내은행 뱅킹앱 분석 ① 다양성 file

국내은행들의 모바일 앱 상품 경쟁 심화.. 전통적인 시중은행뿐 아니라 지방은행, 인터넷전문은행에서도 다양한 금융상품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어떤 은행이 가장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을까? 서경대 MFS...

전규열 서경대경영학부교수 : 뉴시안, 전규열 공동대표이사·편집인 선임 file

전규열 뉴시안 공동대표이사  뉴시안은 공동대표이사 겸 편집인으로 전규열 전 공감신문 대표를 25일 선임했다고 밝혔다. 전규열 공동대표는 청와대와 국회, 한국은행과 은행연합회 등 출입기자와 시사저널 객원논설위원으로 활동...

성북구 정릉4동, 어르신 장수사진 촬영 행사 진행 file

서울 성북구(구청장 이승로) 정릉4동주민센터가 최근 서경대학교, 성북청소년문화의집과 공동 주최로 어르신 장수사진 촬영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어르신들의 가장 행복한 순간을 사진으로 기록함으로써 죽음을 삶의 과...

한국보육진흥원, '삼성 다양성 존중 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 개최 file

삼성복지재단 후원으로 전국 어린이집 100개소 대상  한국보육진흥원(원장 나성웅)은 지난 31일 서울 용산구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강당에서 ‘삼성 다양성 존중 프로그램’ 원장 및 교사 교육 오리엔테이션을 성공적으로 개최했...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