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외국에서 온 사람들이 먼저 외우는 한국어는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이다. 그 다음에는 “괜찮아요” “빨리”를 배우는 게 일반적인 차례다. 어떤 나라에서건 그 나라 말을 배우는 데 가장 먼저 필요한 게 인사인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한국에 살다보면 인사보다는 “괜찮아요”와 “빨리”라는 말이 한국을 가장 잘 표현하는 단어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나도 이 두 단어를 인사보다 먼저 배웠을 정도다. 오늘은 이 “빨리”에 대해 생각해보고 싶다.

10년 전 한국에 처음 왔을 때, 다들 연락 수단으로 소위 ‘삐삐’(페이저)를 썼다. 일본에서도 그때는 삐삐를 썼다. 일본에서는 처음 숫자만 나오다가 오늘날 휴대폰의 문자메시지처럼 숫자 버튼으로 일본 글자인 가다카나를 보낼 수 있게 되었는데, 한국은 그때도 숫자만 보냈던 것 같다.

어느 날 친구의 삐삐가 울려서 들여다보니 ‘8282’라는 문자가 찍혀 있었다. 이것을 ‘빨리빨리’라고 읽는다고 친구가 가르쳐줬다. 그리고 나서 걸어가고 있는데 또 3분 후 ‘82’라는 문자가 왔다. 그리고 또 오고, 또 오고…. 당시엔 카페마다 전화기가 있고, 그것을 공짜로 쓸 수 있었다. 그래서인지, 아니면 마음이 다급해서 그랬는지 ‘82’라는 문자가 계속 날아왔다. 그때 처음으로 ‘한국 사람은 이렇게 성질들이 급하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

한국 사람은 대개 줄을 서는 것을 싫어한다. 일본에서는 음식점에 들어가기 위해 줄을 서거나 놀이공원에 가서 1시간 이상 줄 서는 일이 보통인데 한국에서는 그것을 참지 못한다. 그런데 최근 들어 한국에서도 사람들이 줄을 서는 모습을 흔히 보게 된다. 한국 사람들이 예전보다 느긋해진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한다.

한국에 살아보니 ‘한국 사람은 급하다’는 것을 외국인이든 내국인이든 다들 인정한다. “반도 문화의 영향”이라는 분석적 설명까지 들어본 적이 있다. 그런데 어떤 면에서는 정말 “빨리 해주면 좋겠다”고 느끼는데 정작 늦는 경우도 있음을 경험하게 된다. 가령 학교 수업이 끝나고 다같이 밥을 먹으러 나갈 때가 있다. 약속을 해 놓고도 어디론가 뿔뿔이 흩어져 다시 모이고 만나느라고 바로 200m 앞 식당에 가는 데 1시간 이상이 걸린다.

일본에서는 단체이동은 어렸을 때부터 가르침을 받아서인지 그런 일을 좀체 보기 드물다. 또 쉬는 날에 카페에 들어가면 다들 2~3시간씩 앉아 이야기를 한다. 일본 사람들은 1시간, 길어야 1시간 반 정도 같은 커피숍에 있으면 답답해한다. 그래서 걸어가면서 이야기하거나 구경하면서 이야기하게 되는데, 한국 사람들은 그 시간을 아주 즐기는 것 같다.

이렇게 보면 ‘한국 사람은 급하다’고 하는데, 전부 그렇지는 않다는 생각이 든다. 몇몇 급한 부분에 대한 선입견이 강하게 작용해 다들 그렇게 보는 게 아닌가 한다. 그런데 실체는 말만 “빨리”라고 하지, 급하지 않은 한국 사람이 더 많은 것 같다.


2008. 05. 30 경향신문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382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 『Dream Link-Up』진로 프로그램 성황리에 종료 file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센터장 민미희 교수)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맞춤형 학과(전공)별 진로계획의 수립과 이에 따른 자기개발 여건조성 마련을 위해 개최한 2022학년도『Dream Link-Up』진로 프로그램을 성황리에 마...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칼럼: 성경 고사의 킬러문항에 대하여 file

임성은 교수 '킬러 문항을 수능 시험 문제에서 제외하라'는 대통령 지시로 나라가 시끌시끌하다. 변별력을 위해 불가피하다는 쪽과 공교육 정상화 또는 학교 교육의 범위를 넘어서서는 곤란하다는 시각이 팽팽히 맞서는 상황이...

[서경대 카드뉴스] 학업지원 장학금 선정기준 안내 file

<홍보실=안희진 학생기자>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학과 교수 칼럼:핀테크 미성년 금융거래 고객 유치 file

비대면 자녀 계좌개설 본격적 스타트 4차 산업혁명으로 시작해서 핀테크, 로보어드바이저, 인공지능(AI), 메타버스, 가상화폐, 블록체인, NFT, 빅데이터 등 불과 10여 년 전만 하더라도 낯설고 생소했던 단어들이 이제 우리 ...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이현정 학우, ‘2022 제48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에 참가해 ‘차하상’ 수상 file

서경대학교 아트앤테크놀로지학과, 서울경제진흥원과 함께 ‘미래 유망 기술도 배우고 상품도 받자!’는 주제로 2023년 2학기 새싹 in 캠퍼스 교양과목 강의 개최 file

서경대학교 융합대학 아트앤테크놀로지학과(학과장 김상훈)는 서울경제진흥원(대표 김현우)과 함께 ‘미래 유망 기술도 배우고 상품도 받자!’는 주제로 2023년 2학기 새싹 in 캠퍼스 교양과목 강의를 실시한다. 새싹 in 캠퍼스...

서경대학교, ‘2022년 인바운드 기술창업자 육성프로그램 「Eco Delta Smart City Workshop」’ 진행 file

2월 8일부터 10일(금)까지 3일간 부산에서 서경대학교는 지난 2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3일간 부산 현지에서 ‘2022년 인바운드 기술창업자 육성 프로그램 「Eco Delta Smart City Workshop」을 개최했다. 서경대학교가...

[2023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서울 성북구에 있는 인간미 넘치는 동네책방 ‘호박이넝쿨책-야책’ file

김정훈 호박이넝쿨책-야책 대표(지역 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선정기업) -마을잡지 ‘정릉야책’ 발행하고 다수의 극 공연을 진행 -7개의 낭독모임이 활동, 인간적인 관계가 만들어져   호박이넝쿨책-야책은 서울 성북구에 있...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과 코스맥스(주), 코스맥스 바이오(주)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과 코스맥스 주식회사, 코스맥스 바이오 주식회사와 뷰티산업 발전 및 교육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4월 24일 코스맥스 본사에서 체결했다. ▲ 코스맥스 주식회사 ▲ 코스맥스 바이오 주식회사 ...

[서경대 카드뉴스] 2023 글로벌 비즈니스 데이터분석 전문가 양성과정 연수생 1기 모집 공고 file

 <관련 공지>  2023 해외취업연수사업 대학연합과정 안내 공지 https://www.skuniv.ac.kr/226168 □ 학생설명회, 연수과정 안내 및 신청 서식 등 관련 자료(공유드라이브 URL) https://drive.google....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