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정 갈등 해법에 대해 정부도, 의대 교수들도 정확히 맥을 짚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먼저 이번 의료 공백의 핵심 요인은 전공의의 사직이고, 대학병원에서만 발생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차 병원이나 개원의들은 집단행동에 참여하고 있지 않다. 의사협회 간부들이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을 교사·방조하지 않았느냐를 두고 여러 차례 조사를 벌였음에도 기소조차 없는 것을 보면 누가 시켜서 한 일은 아니라고 봐야 한다. 사태 발생 후 정부는 의대 교수 대표와 주요 병원장, 대학 총장들을 먼저 만났다. 이에 대해 류옥하다 가톨릭중앙의료원 사직 인턴 비상대책위원장이 의대 교수들에게 중재를 위임한 적도 없고 근로시간 단축의 이해당사자라고 언론 인터뷰에서 밝힌 점을 주목해야 한다. 정부는 전공의가 의사협회 간부와 이해관계가 같다는 획일적 시각으로 접근한 것은 아닌지, 협의의 번지수가 맞는 것인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지난주 대통령과 전공의 대표의 만남은 시기적으로 늦은 감은 있으나 지금부터라도 속도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

 

두 번째로는 전공의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전공의들은 노동의 대가, 즉 불공정성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긴 노동시간, 허드렛일에 박봉, 거기에 교수들의 갑질과 괴롭힘 등이다. 과거보다 조금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크게 바뀌지 않았고, 도제식 수련이 이뤄져 신고조차 할 수 없는 구조적 현실에 MZ세대 의사들도 자포자기 상태다. 물론 미래의 수입마저 떨어진다면 지금의 고통을 참을 이유가 없다고는 하나, 의대 신입생보다 10년 정도 앞서 있기에 실현되지 않은 손해에 사직의 본질이 있다 하기는 어렵다.

 

최우선으로 전공의들이 받는 부당한 대우에 대한 해법이 필요하다. 전공의협의회의 정기적 실태조사에 정리돼 있는 항목들을 교수로 인한 것과 병원장으로 인한 것, 구조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구분해 접근하면 효과적일 것이다. 수련 과정 책임을 맡은 정부가 그동안의 부실 관리를 인정하고 사과부터 하자. 전공의 단체나 대표의 위상이 흔들리고 의·정 협의체 구성이 안 되는 만큼, 구체적 처우 개선책은 우선 의대 교수들과 병원장을 상대로 정부가 협의할 수 있다. 공론장에서 전공의들의 요구를 대변하고 의대 교수들 차원의 대책, 그리고 병원장의 개선안을 얻어내면 전공의들에게서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 과정과 결과는 당연히 문서로 남기고 법제화까지 이뤄져야 한다.

 

복잡한 갈등 국면에서 일괄 타결·복귀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의대 정원 문제는 의·정 협의체 구성조차 난항이고 대학별 배정까지 끝났기에 당장 해결 방안을 내긴 힘들 것이다. 초긴급 현안인 전공의 복귀를 일부라도 시작하면, 의대생 휴학이나 유급, 수가 조정 등 다른 문제 해법도 나올 수 있지 않겠는가.


전공의 사태 얽힌 실타래 풀려면.jpg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부교수


<원본출처>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opinion/contribution/article/20240408200800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455

서경대학교 · 한국잡월드, ‘패션 & 무대의상 디자이너 청소년직업심화캠프’ 개최 file

7월 22일(토) 오후 1시 서경대학교 유담관 7층 무대의상제작실습실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와 한국잡월드(이사장 장대익)는 7월 22일(토) 오후 1시 서경대 유담관 7층 무대의상제작실습실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서경대 무대의상연...

[서경대 - 동아일보 청년드림센터공동 기획 진로교육 강연]동구마케팅고-문화콘텐츠학과 소개 file

14일 서울 성북구 동구마케팅고 강당에서 이희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부장(왼쪽)이 학생들에게 서경대의 커리큘럼을 소개하고 있다. 김경제 기자 kjk5873@donga.com “여러분, 우리나라는 크지도 않고 자원도 없습니다. 하지만 사람이 ...

[서경대 - 동아일보 청년드림센터 공동 기획 진로교육 강연]안산 성안고-나노융합공학과 소개 file

17일 경기 안산시 성안고 별관 4층 회의실에서 김종훈 서경대 나노융합공학과 학과장이 나노융합공학 진로 분야를 소개하고 있다. 안산=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젊은이들은 창업을 해야 해요. 3D 프린터는 창업을 위해 여...

서경대 등 15개大 학생들 평창올림픽 시상식 요원으로 나선다 file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는 19일 평창대회 영광의 순간인 시상식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한 시상식 요원 모집을 위해 조직위와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국제대학교(총장 장병집) 등 15개 대학교가 ...

서경大 봉사단, 지역사회 독거 어르신들 찾아 봉사활동 펼쳐 file

서경대학교 교직원 및 대학생 봉사자 30여명은 지난15일 무더운 여름 어르신들의 건강한 여름나기를 위해 굵은 땀방울을 흘려가며, 영양 낙지 갈비탕과, 김치를 만들어 저소득 독거어르신 130명에게 전달했다.(사진제공=길음사회복지...

개교 70주년…미래형 대학 발전 모델 개발 등 교육혁신 10대 과제 추진 file

'1학과 1기업 설립', '1학과 1특허 장려' 제도 등 운영 취·창업 적극 지원 미용예술 외국 유학생에 인기…디자인·뮤지컬 등 한류 플랫폼 역할 톡톡 올해로 개교 70주년을 맞은 서경대는 도전과 성취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미래...

개교 70주년 미래형 대학 위한 교육혁신 서경대학교 file

서경대학교는 올해 개교 70주년을 맞아 역사를 되돌아보고 미래 100년 글로벌 중심 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해 강도 높은 교육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07년부터 교과과정 조정, 단과대 신설, 학과 통폐합 등을 통해 특성화와 ...

‘실용이 최고의 가치다’ 서경대, 개교 70주년 맞아 미래형 대학 위한 교육혁신 나서 file

1947년에 창학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지혜와 용기, 어진 품성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국가에 기둥이 되고 사회에 힘이 되는 많은 인재를 배출해 왔다. 그 결과 서경대는 ‘실용학문의 요람’이자 ‘대한민국의 성장...

서울시-서경대예술교육센터, ‘2017 우리동네 예술학교 통합 여름캠프’ 개최 file

8월 16일(수)부터 18일(금)까지 3일간 서경대 은주관과 컨벤션홀서, 서울시 9개 자치구 우리 동네 예술학교 어린이 단원 388명 참여 여름방학기간 이용해 무료 예술교육 나서 서울시 ‘2017 우리동네 예술학교’ 총괄 운영기관인...

서경대학교, 개교 70주년 기념 ‘전국 실용음악 콩쿠르’ 개최 file

예선 8월 19일(토) 서경대 대일관, 본선 8월 26일(토) 서경대 문예홀서 ▲ ‘2017 서경대학교 개교 70주년 기념 전국 실용음악콩쿠르’ 포스터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개교 70주년 기념행사로 오는 8월 19일(토)과 26일(토) 서...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