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더욱 어려워진 중소기업의 현실.png

김광석 서경대학교 물류유통경영학과 특임교수


인천에는 13760여 개의 중소기업이 있다. 전체기업이 13792개이다 보니 그 비율이 99.8%나 된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글로벌경기 둔화와 선진국들의 수입규제 강화 등으로 어려운 여건에 놓여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중대재해처벌법을 보면 2022127일부터 50인 이상 사업장에 우선 적용되어 오다가 올해 127일부터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과 공사금액 50억원 미만 건설현장의 유예적용이 풀렸다.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사업주가 1년 이상 형사처벌을 받는다. 영세기업들은 직원 수를 4명 이하로 낮춰야 한다고 볼멘소리를 한다. 인천에는 그런 영향권에 있는 근로자가 21만명이나 된다. 정년연장과 실버고용촉진도 해야 하는데 이들은 모두 안전취약계층이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됐다.

 

또 하나 큰 파도가 밀려오고 있다. EU 탄소국경세가 2026년 본격 도입된다. 철강, 시멘트, 전기, 비료, 알루미늄, 수소 등 6개 품목을 EU에 수출하는 기업에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만큼 비용을 물리는 제도다. 현재 시범기간 이지만 탄소배출량 신고 의무가 생겨 올 1월 말까지 신고를 안 하면 1t1050유로(1500075000)의 과징금이 부과된다.

 

발등에 불이 떨어졌는데도 환경부 산업부 중기부 등 해당부처는 이에 대한 대책발표가 없다. 더욱 심각한 것은 EU에 대상 품목을 수출한 기업들은 신고 여부도 모른다. 인력과 역량이 부족한 중소 수출기업에 정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기업들이 피해 없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과거 IRA 도입 당시의 뒷북행정의 전철을 밟지 않았으면 한다.

 

고용시장의 현실은 어떤가? 전문계 고졸자도 대학 졸업자도 중소기업을 외면한다. 외국인 근로자 아니면 인력유지가 어렵다.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은 인력 부족현상이 더 심각하다. 그 이유는 3개월도 못 채우고 타 직장으로 떠나기 때문이다. 또한 외국인 노동자의 체류 기간(최장 98개월)도 짧아 쓸만하면 떠나야 한다. 최소한 '5년 이상 추가 연장'되도록 개선하고 장기근무 외국인 근로자에게는 인센티브도 제공하여 성실한 외국인 고용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이제는 외국인 근로자를 어떻게 잘 쓰느냐가 중요하다. 기업이 원하는 수준의 외국인 근로자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입국 전 기업 맞춤형 직업훈련을 이수하고 한국어 능력을 높이는 교육과정을 통해 질적 양적 성장을 이뤄야 한다.

 

중소기업의 생산성은 어떤가? 대기업의 30% 수준으로, OECD 평균인 50% 수준에 턱없이 부족하다. 우리나라 일자리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려면 스마트공장 시스템 그리고 끊임없는 연구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향상해야 한다. 그동안 중소기업들은 신제품 개발과 기술개발에 필요한 R&D사업 자금을 정부지원사업에 응모하여 부족한 부분을 채워 나가고 있었다.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확대가 필요한 사업임에도 오히려 해당 사업비가 지난해 대비 삼 분의 일 수준으로 대폭 줄었다. 선정되기는 더 어려워졌고 경쟁은 치열해졌다.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에 찬물을 끼얹는 형국이 되고 말았다.


올해 우리나라는 경제성장률 2.2%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모두가 함께해야 한다. 특히 중소기업들의 경쟁력 강화가 매우 중요하다. 우크라이나, 하마스 전쟁, 홍해에서 예멘 후티 반군 무력시위로 물류 공급망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더욱 어려워진 중소기업을 위해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 모든 길은 인천으로 통한다는 '올 웨이 인천'처럼 모든 제품의 시작은 중소기업이다. 중소기업을 위한 중앙정부와 인천광역시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기대한다.


<원문출처>

인천일보 https://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233897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932

"기업 없는 세상 상상하면 소중함 알게 되죠" file

경총·매경 기업(氣-UP!) 공모전 작년 대상 수상자 3인 인터뷰 기업은 한국 경제의 심장 역할 이윤 창출 넘어 사회적 책임까지 공모전 참가한 뒤 다르게 인식 올해 2회째 공모 진행 예정 영상부문 외 웹툰부문도 신설 ...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 교수혁신 주도할 앰배서더 위촉 file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원장 이지나 교수)은 2022학년도부터 교수역량 강화에 기여할 교원을 서경 교수혁신 앰배서더(S-Teaching Ambassador)로 선정해 위촉장을 수여했다고 밝혔다. 서경 교수혁신 앰배서더란 교수학습원의 교원 ...

서경대, ‘정부초청 중국 한국어과 대학생 초청연수’ 사업 위탁기관 2021년, 2022년 2년 연속 선정 file

22년 8월부터 23년 1월까지 약 6개월간, 중국 대학 한국어과 우수 장학생 33명 대상 한국 문화·역사 및 K콘텐츠 체험 연수 진행 9월 19일(월) 오후 2시 교내 문예홀에서 관련 기관 관계자 참석한 가운데 입교식 가져 서...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이현정 학우, ‘2022 제48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에 참가해 ‘차하상’ 수상 file

서경대 2023학년도 수시모집 최종 경쟁률 13.40대 1 ‘소폭 하락’···실용음악학부 보컬전공 327.20대 1 ‘최고’ file

1,250명 모집에 1만 6,756명 지원 서경대학교는 17일 2023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원서접수 마감 결과, 1,250명 모집에 16,756명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 13.40대 1을 기록했다. 지난해 경쟁률 16.29대 1보다 소폭 하락했다. ...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학생 심다하 외 11인으로 구성된 창작집단 ‘하다심’의 첫 번째 공동 창작 워크숍 공연 <아니 근데 진짜> 성황리에 개최돼···연출 맡은 심다하 학생 인터뷰 file

<공연포스터>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학생 심다하 외 11인으로 구성된 창작집단 ‘하다심’의 공동 창작 워크숍 공연 <아니 근데 진짜>가 지난 9월 2일부터 9월 4일까지 3일간 금요일 8시, 토요일 3시, 7시, 일요일 3시에...

2022년 2학기, 도전해 볼 만한 대학생 공모전 및 대외활동 어떤 게 있을까? file

코로나 19 확산세가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전면 대면 수업을 실시하는 2022학년도 2학기가 시작된 지도 2주일이나 됐다. 1학기를 만족스럽게 보낸 학우들은 2학기에도 열심히 학업과 자기계발을 할 것이고, 1학기에 아쉬움이 남은...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2022 성북 캠퍼스타운 온라인 아카데미’ 2학기 참여 file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2022 성북 캠퍼스타운 온라인 아카데미’ 2학기 참여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단장 김범준)은 성북 클러스터 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2022 성북 캠퍼스타운...

서경대학교, 한국핀테크지원센터와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한국핀테크지원센터(이사장 변영한)와 8월 26일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핀테크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참여, 교육, 연...

서경대학교, 부천시청과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9월 7일(수) 오전 10시 부천시청 창의실에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세스코 등 관련기관 관계자 참석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부천시청(시장 조용익)과 9월 7일(수) 오전 10시 부천시청 창의실에서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