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2018년 영국에서 출간돼 베스트셀러에 올랐던 스파이와 배신자는 냉전 당시 소련의 국가보안위원회(KGB) 스파이였지만 영국 정보기관인 MI6에 협조한 올레크 고르디옙스키(1938)의 일대기를 다루었다. 여기엔 KGB1983년 영국 총선에서 눈엣가시 같던 철의 여인마거릿 대처 총리의 재선을 막기 위해 어떻게 개입했는지가 담겨 있다. 결과적으로는 고르디옙스키로부터 이 정보를 입수한 MI6에 의해 공작이 무산되고 재집권함으로써 영국병치유에 성공하고 미국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손잡아 소련을 무너뜨리는 데 기여했다.


북한은 새해 벽두부터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대한민국을 제1의 적대국으로, 불변의 주적으로 확고히 한다전쟁이 일어나는 경우 완전히 점령·평정·수복하겠다고 으름장을 놓는 등 공공연히 도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이 도발해 온다면 몇 배로 응징할 것이라고 강경 대응 원칙을 분명히 했으며, 정부도 북한의 움직임이 4·10 총선을 겨냥한 남남분열심리공작일 가능성에 주목하며 대응팀을 꾸렸다고 한다. 선거철마다 부는 북풍(北風)’에 잔뜩 긴장하는 모양새다.


북한의 선거 개입은 어제오늘이 아니다. 1987KAL-858기 폭파, 1992년 강원 철원 무장공비 침투, 1997년 부부간첩 사건, 2010년 천안함 폭침 등은 선거를 앞둔 대표적인 도발 사례다. 1997총풍 사건은 남북이 선거판을 흔들기 위해 함께 공작한 흑역사다. 통일부는 2012년 대남 선전전, 2016년 위성항법장치(GPS) 교란, 2020년 탄도 미사일 연쇄 발사 등을 총선 개입 선전활동으로 꼽는다. 김정은이 2012년에 내놨던 대남명령 12011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이틀 앞두고 발표된 남조선의 진보애국 역량은 강력한 투쟁으로 보수패당(한나라당)의 독재통치의 집권연장 기도를 저지·파탄시켜야 한다우리민족끼리의 사설 등은 아예 노골적이었다.


북한 대남 심리공작이 우리 정치에 끼치는 영향을 지표·지수화한 자료는 아직 없다. 하지만 최근 미국과 프랑스, 독일 등에서는 적성국의 선거 개입 특징과 그 파급력을 정량화한 영향력 공작·확대 지표를 발표한다. 미 의회는 선거 개입 예상 국가로 러시아·중국·이란과 더불어 북한을 지목, 정보 제보자에 대한 포상금을 지급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겉으로 드러나는 도발과 심리전보다 더 무서운 것은 대남 침투 공작원들이다. 북한은 2000년대 초반을 기점으로 직파 간첩이 줄어든 반면, 자생 및 토착 간첩을 육성하는 신규 공작으로 바꿨다. 이들은 확신범을 가장해 반국가활동을 하기 때문에 심증은 가지만 물증 확보가 어렵다. 합법적인 신분으로 국회 등 정치권에 접근하는 직장인 스타일이다.


이들이 이번 총선에 어떤 장난을 칠지는 가늠키 어렵다. 냉전 당시 MI6KGB에 심어놨던 고르디옙스키 같은 존재가 있다면 좋겠지만, 그나마 지난 정부의 정보사 공작관들에 대한 무리한 수사 등으로 대북 휴민트가 붕괴돼 우려가 크다. 국정원 대공수사권 복원이 해법이겠으나 그럴 겨를이 없다. 정파적 이해를 따질 일이 아니다. 국방부와 통일부·경찰·검찰·방첩사·정보사·국정원 등 대공 전선이 총결집해야 한다. 소련의 대처 총리 제거 공작이 성공했다면 KGB의 끄나풀이나 다름없던 노동당 당수가 총리가 됐을 것이고, 역사는 뒷걸음쳤을 것이란 가정은 총선을 앞둔 지금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北 총선 개입 공작에 총력 대응할 때다[문화논단].jpg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원문출처>

문화일보 https://n.news.naver.com/article/021/0002616872?sid=110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881

김동연, “야간大서 세상보는 눈 키워” file

대입박람회 서경대 홍보 브로슈어에 게재 '학벌론' 눈길 학벌보다 자신만의 꿈 꾸는 게 중요 “가장 힘들었던 인생의 암흑기에 나를 담금질하고 세상을 보는 눈을 키워 준 기반이 학교였다.” 야간학교였던 옛 국제대(서경대학교...

홍성대 서경대 VR미래융합센터장 주도 인터파크 ‘VR·AR’체험관 오픈 file

3개 층에 6개 테마존·40여개 콘텐츠 갖춰 中·동남아 등 체험관 수출 추진 4인이 함께 우주여행을 체험할 수 있는 익사이팅존 서울 한남동의 복합문화공간 블루스퀘어에 국내 최초로 VR(가상현실)·AR(증강현실) 콘텐츠와 미디어아트...

서경대 학생복지위원회, 중간고사 기간 간식 제공 … “대박 나라!” 응원 file

<사진> 서경대 학생들이 중간고사 기간을 맞아 줄을 길게 서서 학생복지위원회가 제공하는 간식을 받고 있다. 서경대학교 학생복지위원회(이하 ‘학복위’)가 1학기 중간고사 기간(4.17~4.21)을 맞아 신입생과 재학생에게 간식을 제공...

[조정근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세무 칼럼] '중국서 연봉 33억' 한국 축구선수, 세금은 어디에? file

해외에서 돈 버는데 한국에 세금 내야 할까? 서경대학교 경영학부 조정근 교수 최근 중국 프로리그에서 연봉 33억원을 받은 우리나라 축구선수 A씨에게 종합소득세 9억1300만원을 부과한 서울 성동세무서의 결정이 정당하다는 행...

서경대 노어학과 교수-학생, 러시아 전승기념일 72주년 기념행사 참여 file

5월 7일(토) 오후 4시, 혜화역 마로니에공원 승리 함께 축하, 전쟁희생자 애도, 평화 · 화해 기원 서경대학교 국제비즈니스어학부 노어전공(학부장 안병팔) 교수, 학생이 5월 7일(토) 오후 4시 혜화역 마로니에 공원에서 러시아 ...

[2021수시] ‘마지막 적성고사’ 11개교 4279명 모집.. 홍대 폐지 file

을지대 국어5문항 축소.. 2022대입 전면 폐지 2022대입에서 폐지를 앞두고, 올해 마지막 모집을 실시하는 적성고사전형은 11개교 4279명 규모다. 지난해 12개교 4524명에서 245명 규모가 줄었다. 홍익대가 학생부적성을 폐지하고, 고...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외국인 학생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부대행사로 열린 ‘한-아세안 K뷰티 페스티벌’에 정부 초청으로 참가해 K뷰티의 진정한 아름다움 알리고 서경대 위상 높여 file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외국인 학생팀(주임교수 이지안)이 2019년 11월 25일(월), 26일(화) 양일간 부산 BEXCO에서 개최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기간 중 부대행사로 열린 ‘한·아세안 K뷰티 페스티벌(ASEAN-ROK K-Beauty...

‘2017 제6회 서경대학교 문화예술경영 연구특강’ 시리즈 개최 file

서경대학교 개교 70주년 기념 행사 일환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개교 70주년 기념 행사의 일환으로 4월부터 11월까지 7개월 간 모두 10 차례에 걸쳐 문화예술경영 연구특강 시리즈를 개최한다. 서경대학교가 주최하고 서경...

서경대학교 공공인적자원학과, 2019년 공무원 시험 합격자 다수 배출 file

실용적이고 독특한 교육시스템 운영…‘공무원 배출의 산실’로 자리잡아  서경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공공인적자원학과(학과장 정웅석 교수)가 올해에도 공무원 임용 시험에 다수의 합격자를 배출했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

경영학부, 2018년, 2019년 2년 연속 관세사시험 합격자 배출! 실무중심 교육의 결과 file

유한나 학생(경영학부 4학년, 14학번) 2019년 제36회 관세사시험 최종 합격 2018년엔 정소이 학생(경영학부 14학번) 제35회 관세사시험 합격 경영학부(학부장 김영호 교수) 14학번 유한나 학생(4학년)이 2019년 제36회 관세사 2차 시험...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