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정보요원과 외교관은 역할이 다르다(1).jpg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미국엔 영원한 적도 영원한 친구도 없다. 오직 국익만이 존재할 뿐이다.” 냉전 시기 미·중 수교와 미·소 데탕트를 이끈 외교의 거목헨리 키신저(1923~2023)가 생전에 했던 명언이다. 그는 우호적인 국가는 있어도 우호적인 정보기관은 없다는 금언도 남겼다.


2018년 영국에서 출간돼 베스트셀러에 오른 스파이와 배신자는 역시 냉전 종식을 앞당기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 소련 KGB와 영국 MI6의 이중 스파이 올레크 고르디옙스키(86)의 파란만장한 일대기를 담고 있다. 직업으로서 외교관과 스파이는 국가안보와 국익 수호라는 궁극적 목표는 일치하지만, 활동 방식은 전혀 다르다.


신임 국정원장, 조직 안정 시급

국가정보기관 위상 재정립하고

대공수사권 이관 공백도 메워야


정보요원과 외교관은 역할이 다르다(2).jpg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에는 손님의 벗을 뜻하는 프록세녹스(Proxenos)가 존재했다. 겉으로는 자신의 출신 도시에서 온 방문객들을 보살피는 일을 맡았지만 실제로는 그곳 정세를 고국에 전달하는 스파이 역할을 했다. 상주 외교관의 기원은 근세 초기 이탈리아 도시국가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들의 주요 임무도 외교 활동 못지않게 주재국의 동향을 은밀히 파악해 본국에 보고하는 것이었다.


외교와 스파이 활동에 구분이 생기기 시작한 것은 근세 유럽 국가에서 비밀 첩보기관이 생겨나면서부터다. 영국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의 비밀첩보대, 프랑스 루이 13세의 샹브르 누아(Chambre noir·암실)’ 등이 대표적이다. 19세기에 근대국가가 형성되고 1, 2차 세계대전과 냉전 시대를 거치면서 국가 차원의 정보조직이 제 모습을 갖춰나갔다.


그 과정에서 각국 대사관에도 외교관 신분이지만 실제로는 정보기관에서 파견된 화이트(White)’ 정보 요원이 생겼다. 냉전 시절 미·소 동서 진영에서는 적성국 외교관 중에 누가 스파이인지를 가려내는 일에 사활을 걸었다. 정상적 외교 관계를 유지하는 국가 간에도 정보 협력을 목적으로 화이트가 교차 파견됐고, 그런 전통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국가정보기관인 국정원이 김규현 원장에 이어 같은 외교부 출신인 조태용 신임 원장을 맞이하게 됐다. 1980년 외무고시(14)로 외교관이 된 이후 외교부 1차관, 주미대사, 국가안보실장 등을 거치며 외교·안보 분야에서 충분한 경력을 쌓고 능력을 인정받았으니 굳이 전문성을 따질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냉혹한 국제관계 속에서 외교관과 스파이의 역할은 분명히 차이가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외교부는 합법적이고 공개적으로 임무를 수행하지만, 정보기관의 활동은 베일에 싸여 있고 화려하지도 않다. 외교관은 외교적 수사에 익숙하지만, 정보 요원은 공작 마인드로 무장하고 있다. 전임 원장이 조직 장악에 어려움을 겪었던 것은 이런 차이 때문인지도 모른다.


<원문출처>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22767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849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칼럼: [기고] 새 국정원, 국내외 보안정보와 대북 휴민트의 첨병 돼야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前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신임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로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이 지명되었다. 안보실장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장이라는 위상으로 볼 때 같은 장관급이지만 국정원장보다 서열상...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창작 이머시브 워크샵 공연 'Store:D' 성황리에 마쳐...연출 김시우 학우 인터뷰 file

3월 2일(토)부터 4일(월)까지 사흘간 교내 북악관 8층 스튜디오 810호에서 열려  < Store:D 공식 포스터>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학생들의 창작 이머시브 워크샵 공연 ''Store:D'가 3월 2일(토)부터 4일(월)까지 사흘 ...

‘서경대학교 산학협력활동 우수 교원’ 기획시리즈 ① - 나노화학생명공학과 김호현 교수 file

서경대학교는 산업 발전 및 기업과의 상생, 새로운 미래가치 창출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 국책 연구기관, 기업 등과 130여 건의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다양한 정책사업 유치 및 공동연구 기술개발, 전문 인재 양성 사업 등을 수...

서경대, 재정지원사업 잇따라 선정, 교육의 질 제고 · 산학협력 ‘박차’ file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는 지난해와 올해 정부재정지원사업에 잇따라 선정되면서 교육의 질 제고 및 산학협력 고도화를 통해 산업계·미래사회 수요에 부합하는 현장실무형 실용인재 양성과 학생들의 취업지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

[실용 인재 양성의 요람] 6개 단과대학 특성화 …‘현장실무 중심 창의교육’에 집중 file

서경대학교 현장실무형 프로덕션 시스템 도입 취·창업 역량 강화 위해 제도 개선 산학협력 친화형 교육과정도 구축 서경대학교는 ‘현장실무 중심 창의 교육’으로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창의·혁신 실용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

서경대 '해외취업연수사업 대학연합과정' 2년 연속 선정 file

서경대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해외취업연수사업(K-Move School) 대학연합과정'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 2년 연속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해외취업연수사업(K-Move School) 대학연합과정은 운영 대학인 삼육대를 중심으로, ...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학과 교수 칼럼: 인공지능(AI)과 금융의 찰떡궁합 file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  며칠 전 아침에 눈을 떠서 신문기사의 경제면을 보던 중 가장 눈에 띄는 기사가 있었다. '다우, S&P500 신고가 마감...나스닥 장...

‘맞춤진로’ ‘성공취업’의 지름길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인터뷰〕 허성민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진로취업지원센터장 file

서경대학교는 3월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를 신설했다.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는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 해외취업연수 사업, 취업연계중점대학 사업, 학내 다양한 취업 지원 사업 등을 동력으로 하여 입학에서 졸업 후까지 학생들의...

[대입 내비게이션] 총 355명 모집, 일부 학과 명칭·정원 변경 file

서경대학교는 2024학년도 정시에서 가군 85명, 나군 10명, 다군 260명 등 총 355명을 뽑는다. 서경대학교는 2024학년도 정시모집에서 가군 85명, 나군 10명, 다군 260명 등 정원 내 355명을 선발한다. 농·어촌학생 특별...

서경대, 교육혁신 · 첨단학과 및 전공 통해 미래 혁신형 실용인재 양성 file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는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혁신형 실용인재를 양성하겠다는 대학의 비전을 바탕으로 교육혁신을 진행 중이다.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성 있는 융복합 인재를...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