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공특 진학률 지스트 64.7% ‘최고’ DGIST 포스텍 KAIST UNIST


20222(20218월 포함) 졸업생의 취업률이 전년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알리미가 17일 공시한 졸업생의 취업현황자료에 따르면 상위15개대(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의 평균 취업률은 70.7%로 전년 69.7%보다 상승했다.


상위15개대 중 2022년 취업률이 가장 높은 대학은 성대로 76.5%. 전년 78.5%보다는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취업률이다. 서강대 73.9%, 한대 72.5%, 인하대 72.2%, 중대 72% 순으로 톱5.


대학알리미가 공시한 2023 ‘졸업생의 취업현황20221231일 기준이다. 20218, 20222월 졸업자가 조사 대상이다. 대학알리미의 정보공시 자료는 한국교육개발원 소속 국가교육통계센터의 교육통계서비스를 기반으로 산출한 취업률과 수치가 대동소이하지만, 대학알리미 자료는 수시로 수정이 가능해 추후 변동될 여지가 있다.


이공계특성화대의 경우 졸업 후 곧장 취업 전선에 뛰어들기보다는 대학원 진학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고급 이공계 인력을 양성한다는 설립목적을 두고 보면 취업률보다는 진학률을 살펴보는 것이 설립목적에 보다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2022년 진학률이 가장 높았던 곳은 지스트로 64.7%였다. DGIST 63.9%, 포스텍 63.7%, KAIST 54.5%, UNIST 41.4% 순이다.


초등교사가 될 목적으로 진학하는 교대의 평균 취업률은 61%로 전년 62.5%와 비교하면 하락했다. 201684.5%, 201772.9%, 201868.8%, 201963.8%, 202061.4% 순으로 계속해서 하락세였다가 202162.5%로 반등했으나 다시 202261%로 하락했다. 대학별로 보면 대구교대가 67.8%로 취업률이 가장 높다.


전체 대학으로 범위를 넓히면 각종학교(대학) 산업대를 제외한 일반대 교대 이공계특성화대 합산 206개 대학 평균은 66.3%로 전년 199개 대학 평균 64.1%와 비교해 상승했다. 캠퍼스는 본교와 통합해 산출했다.


2025대입잣대 15개 상위대 취업률 성대(1).jpg

상위15개대 중 2022년 취업률이 가장 높았던 곳은 성균관대다.


<상위15개대 평균 취업률 70.7%.. 성대 76.5% ‘최고서강대 한대 인하대 중대 톱5>

상위15개대 평균 취업률은 70.7%. 전년 69.7%보다 소폭 상승했다. 201766%, 201766%, 201868.5%, 201969.7% 순으로 상승세를 이어오다, 코로나가 본격화한 202068%로 하락했으나 2021, 69.7%, 202270.7% 순으로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전체 59564명의 졸업자에서 취업률 미산정지표 12566명을 제외한 46998명 중 33216명이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15개대 중 2022년 기준 취업률이 가장 높은 곳은 성대다. 성대는 76.5%로 전년 78.5%보다는 하락했지만 7년 연속 톱이다. 201676.4%, 201775.1%, 201877%, 201978.6%, 202076%, 202178.5%, 202276.5% 순으로 매년 80%에 육박하는 취업률이다.


성대에 이어 서강대 73.9%(취업자 1017/졸업자(미산정 지표 제외) 1376), 한양대 72.5%(2146/2960) 순으로 톱3.


평균 취업률이 가장 높은 성대의 학과별 취업률을 살펴보면 졸업자 규모 자체가 10명 미만으로 적은 모집단위를 제외하고 의학과가 97.5%로 취업률이 가장 높고, 반도체시스템공학이 95.7%로 뒤를 이었다. 서강대의 경우 미국문화전공의 취업률이 93.1%로 가장 높았다. 사회학전공이 85%로 뒤를 이었다. 한대는 졸업자 10명 미만의 모집단위를 제외하면 정보융합전공이 94.5%로 취업률이 가장 높았고 의학과 94.4%, 응용시스템전공 93.1% 순으로 높았다.


3대학에 이어 인하대 72.2%(2552/3535), 중대 72%(3626/5036), 고대 70.9%(2438/3440), 연대 70.9%(2344/3308), 경희대 70.7%(3710/5249), 건대 70.5%(2217/3144), 시립대 70.4%(1253/1779), 서울대 70.3%(1633/2324), 동대 69.7%(1865/2676), 이대 67.9%(2138/3151), 숙대 66.1%(1511/2286), 외대 65.3%(2238/3428) 순이다.


취업률에 산정되지 않는 진학자 비율은 소위 SKY로 불리는 서울대 고대 연대에서 많은 편이다. 서울대는 졸업자 3330명의 27.7%에 달하는 924명이 진학해 상위15개대 중 가장 비중이 크다. 이어 고대 18%, 연대 17.4% 순이다.


<이공특 '취업률보단 진학률' 평균 진학률 53.6%.. 지스트 64.7% ‘최고’>

이공계특성화대는 학부 졸업자가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취업률 산정에 활용되는 모수 규모 자체가 작은 편이다. 설립 목적 자체가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함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취업률보다는 진학률이 설립목적과 부합하는 지표라 볼 수 있다.


2022년 진학률이 가장 높은 곳은 지스트로 64.7%. 졸업자 167명 중 108명이 진학했다. 취업보다는 대학원 진학을 선택한 경우가 더 많았던 셈이다. DGIST 63.9%(진학자 85/졸업자 133), 포스텍 63.7%(202/317), KAIST 54.4%(374/688), UNIST 41.4%(232/561) 순으로 뒤를 잇는다.

 

취업률로 따져보면 포스텍 UNIST KAIST DGIST 지스트 순이다. 5개교 평균 취업률은 70.4%로 전년 68.5%보다 상승했다. 졸업자 1866명 중 취업률 미산정 지표인 1122명을 제외한 744명 중 524명이 취업했다.


포스텍 83.8%(93/111), UNIST 71.2%(208/292), KAIST 67.4%(161/239), DGIST 64.6%(31/48), 지스트 57.4%(31/54) 순이다.


<교대 평균 취업률 61%.. 대구 경인 춘천 톱3>

교대는 졸업 후 임용고시에만 합격하면 교사로 취업하기 때문에 취업이 보장된 학교로 여겨졌지만 최근 임용고시 선발인원이 줄어들면서 취업률도 하락세다. 2022년 평균 취업률은 61%로 전년 62.5%에서 하락했다. 01772.9%, 201868.8%, 201963.8%, 202061.4% 순으로 낮아지다가 2021년은 소폭 반등한 62.5%였으나 다시 202261%로 하락했다. 초등교육과로 모집하는 이화여대 제주대와 종합교원양성대인 한국교원대는 제외했다.


교대 중 취업률이 가장 높은 곳은 대구교대다. 졸업자 396명에서 취업률 미산정 지표인 11명을 제외한 385명 중에서 261명이 취업해 67.8%를 기록했다. 경인교대 64.4%(431/669), 춘천교대 63.5%(190/299), 광주교대 63%(206/327), 공주교대 61.6%(218/354), 서울교대 59.6%(229/384), 부산교대 58.9%(216/367), 진주교대 56.6%(188/332), 청주교대 56.2%(164/292), 전주교대 53.4%(156/292) 순이다.


<206개교 평균 66.3%.. 포스텍 국립목포해양대 목포가톨릭대 톱3>

산업대 각종학교(대학)를 제외한 전체 대학 206개교 평균 취업률은 66.3%. 졸업자 343159명에서 취업률 미산정 지표인 43235명을 제외한 299924명 중 198852명이 취업했다. 캠퍼스는 본교와 통합해 산출한 기준이다.


취업률이 가장 높은 곳은 83.8%의 포스텍이다. 국립목포해양대 81.6%(425/521), 목포가톨릭대 81%(98/121), 한국기술교대 80.3%(685/853), 경동대 80.1%(1312/1637) 순으로 80%를 넘는 취업률이다.


70%대 취업률인 곳은 59개교로 전년 35개교보다 크게 늘었다. 가톨릭꽃동네대 79.8%(95/119), 을지대 79.2%(901/1138), 칼빈대 77.8%(21/27), 건양대 77.7%(1257/1617), 한국체육대 77.2%(407/527), 성균관대 76.5%(2528/3306), 국립한국해양대 75.8%(1015/1339), 호원대 75.6%(924/1223), 아주대 75.4%(1620/2148), 예수대 75.2%(97/129), 부산장신대 75%(27/36), 차의과학대 74.9%(355/474), 한세대 74.7%(390/522), 루터대 74.6%(44/59), 선문대 74.3%(1166/1570), 부산가톨릭대 74.1%(649/876), 남부대 74%(464/627), 서강대 73.9%(1017/1376), 한국공학대 73.6%(1115/1515), 김천대 73.1%(511/699), 서울장신대 73.1%(38/52), 인천가톨릭대 72.9%(105/144), 중원대 72.7%(504/693), 서경대 72.6%(870/1199), 한국항공대 72.5%(573/790), 한양대 72.5%(2146/2960), 한국성서대 72.2%(143/198), 인하대 72.2%(2552/3535), 중앙대 72%(3626/5036), 경운대 72%(703/977), 유원대 71.9%(544/757), 창신대 71.8%(295/411), 연세대(미래) 71.7%(1121/1564), 화성의과학대 71.6%(78/109), 서울과기대 71.5%(1564/2188), 한양대(ERICA) 71.3%(1347/1890), UNIST 71.2%(208/292), 경주대 71.1%(113/159), 초당대 71%(441/621), 숭실대 71%(1879/2648), 고신대 70.9%(434/612), 중부대 70.9%(1066/1504), 고려대 70.9%(2438/3440), 연세대 70.9%(2344/3308), 극동대 70.9%(525/741), 가야대(김해) 70.7%(370/523), 경희대 70.7%(3710/5249), 인천대 70.6%(1932/2735), 제주국제대 70.6%(156/221), 순천향대 70.5%(1567/2222), 건국대 70.5%(2217/3144), 국민대 70.5%(2271/3222), 청운대 70.5%(962/1365), 서울시립대 70.4%(1253/1779), 한서대 70.4%(924/1312), 서울대 70.3%(1633/2324), 우송대 70.2%(1292/1840), 신한대 70.2%(980/1396), 강서대 70%(203/290) 순이다.


<취업률 어떻게 산정하나>

대학알리미가 공시한 2023 ‘졸업생의 취업 현황20221231일 기준으로, 20218, 20222월 졸업자가 조사 대상이다. 취업률은 졸업자 인원에서 취업률 산정에 포함하지 않는 인원을 제외한 숫자 중 취업자 인원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취업자는 건강보험직장가입자 해외취업자 농림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종사자 1인창()업자 프리랜서가 해당한다.


건강보험직장가입자는 조사기준일 당시 건강보험 직장가입자를 뜻한다. 단 대학의 재정(교비, 산학협력단 회계 및 정부재정지원금 등 대학의 모든 회계를 포함)으로 인건비(4대 보험료 포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받아 한시적으로 취업한 졸업자는 취업자로 인정하지 않는다. 해외 취업자는 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아닌 자 중 해외 국가에서 주당 15시간 이상 일하며 91일 이상 고용계약한 사람을 뜻한다. 농림어업종사자는 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아닌 자 중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자를 의미한다. 농림어업종사자는 농업인확인서발급규정(농림축산식품부 고시)에 의거해 농업인확인서 발급이 되거나,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농업경영체로 등록한 자로서 농업경영체등록확인서(농업인용), 어업경영체 등록확인서(어업인용), 어업허가내역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농업경영체등록여부 조회화면 캡처 자료, 기타 법령에 근거하여 국가 및 지자체에서 발급한 확인서 또는 공문을 제출한 자다. 개인창작활동 종사자는 졸업 이후부터 조사기준일까지 개인작품 창작활동 실적이 있는 자를 의미한다. 1인 창()업자는 국세청DB에서 2022년에 사업자등록이 되어 있고, 2022년 연간 사업소득액의 합계가 685만원 이상이 확인된 자 또는 2022년 사업자등록이 되어있고,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실시하는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주관기관이 대학인 경우)에 선정되어 참여한 자다. 프리랜서는 국세청DB에서 2022년 원천징수 대상 사업소득이 5743320원 이상인 것으로 확인된 자를 뜻한다.


취업률에 반영하지 않는 경우는 진학자 입대자 취업불가능자 외국인유학생 제외인정자다. 진학자는 학위취득을 목적으로 고등교육법에서 인정하는 교육기관 또는 그 밖에 다른 법률에서 인정하는 교육기관으로 진학한 자를 의미한다. 조사기준일 당시 2023년 입학허가서를 받은 진학예정자는 진학자로 인정하지 않는다. 해외 어학연수자, 학점은행제 및 고용노동부 산하 직업 훈련기관, 평생교육원 등 특정 학점인정기관 입학자는 제외한다. 취업불가능자는 조사기준일 당시 수형자이거나 사망자, 해외이민자, 6개월 이상 장기입원자를 의미한다. 외국인유학생은 외국국적 재외동포를 포함해 외국국적을 가진 유학생을 뜻하며 진학 및 취업 등 졸업 후 상황과 관계없이 졸업자 중 외국인 학생수 모두를 의미한다. 제외인정자는 의료급여 수급자, 여자군인 중 임관 전 훈련생,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교육대상자, 종교지도자 양성관련학과 졸업자, WFK사업 참여자 등 건강보험 직장가입대상자가 아니어서 취업대상자에서 제외되는 자를 뜻한다.


기타 및 미상은 조사기준일 당시 취업 진학 입대 취업불가 제외인정자 등에 해당되지 않거나 졸업 후 상황을 파악할 수 없는 자로 취업률 산정에서 제외된다.


2025대입잣대 15개 상위대 취업률 성대(2).png


2025대입잣대 15개 상위대 취업률 성대(3).png


2025대입잣대 15개 상위대 취업률 성대(4).png


2025대입잣대 15개 상위대 취업률 성대(5).png


2025대입잣대 15개 상위대 취업률 성대(6).png


<원문출처>

베리타스알파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91416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576

서경대학교 페미니즘학회 ‘조짐’, 미투(ME TOO) 운동 관련 공개 발제 열어 file

4월 5일(목) 오후 6시 교내 혜인관 309호서 ‘조짐’ 공개 발제 포스터 서경대학교 페미니즘학회(학회장 서민주) ‘조짐’의 미투(ME TOO) 운동 관련 공개 발제가 지난 4월 5일(목) 오후 6시 교내 혜인관 309호에서 열렸다. ‘...

모델 김기범, 모델캠프 1등해 꿈 이룬 사연은? file

사진=김기범SNS [한국정책신문=최동석 기자] 연습생 출신 한서희가 19세때 클럽에서 방탄소년단의 멤버 뷔와 모델 김기범을 목격했다는 발언이 논란이 일자 모델 김기범에대한 네티즌들의 관심이 뜨겁다. 최근 한서희는 자신의 ...

서경대 공연예술학부, 4월 27일~29일 사흘간 연극 ‘매직 타임’ 무대에 올려 file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학부장 장지연) 학생들이 4월 27일(목)부터 4월 29일(토)까지 사흘간 교내 북악관 8층 스튜디오에서 연극 ‘매직 타임’을 무대에 올렸다. 공연예술학부 연기, 무대기술, 무대패션 전공 학생들의 콜라보...

대만 중부 영동과기대, 서경대와 형제대학 됐다 file

자오즈양 총장, 서경대와 전방위에 걸친 협력관계 구축 희망 MOU 체결 직후 구체적 교류 방안 협의해 확정 영동대 학생들 서경대서 단기 연수 갖고 이 기간 중 양교 교수들 워크샵 개최키로 학생 교류 시행하고 석·박사 과정 공동운...

“머리 다듬고 金따면 다시 오겠다던 약속 지켰네요” file

美 크로스컨트리 선수 랜들 선수촌 미용실서 머리 손질 뒤 여자 팀스프린트 프리 금메달 헤어디자이너들과 기쁨 나눠 ▲ 미국 크로스컨트리스키의 키컨 랜들(왼쪽)이 24일 평창 선수촌 미용실에서 김유정 서경대 교수에게 금메달...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 정기공연 ‘헤어스프레이’ ‘대성황’…문예홀 전석 매진 - 고품격 문화 예술 선사, 뮤지컬 스타들의 새로운 탄생. file

헤어스프레이 뮤지컬 무대 스틸컷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의 2017학년도 2학기 정기공연인 ‘헤어스프레이'가 12월 20일부터 24일까지 열렸다. 공연 전부터 입소문이 자자했던 뮤지컬 헤어스프레이는 김삼일 서경대 뮤지컬학과 교수가...

[인터뷰] ‘벤허’ 박민성(서경대 공연예술학부 졸업) “인정사정없는 노래, 올드보이 ‘장도리씬’ 생각날 거예요” file

데뷔 10주년, 이름 바꾸고 첫 무대…흔하지 않은 악역 ‘메셀라’로  ▲ 뮤지컬 ‘벤허(연출 왕용범)’에서 메셀라 역을 맡은 배우 박민성을 서울 흥인동 충무아트센터에서 만났다.(뉴스컬처) ©윤현지 기자 최근 공연계에서 활동...

이석형 서경대 혁신기획처장, “혁신지원사업 통해 취업·창업 역량 강화 학교 확 바꿀 것” file

△서경대 대학혁신지원사업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총 3년간 진행된다. 사업단 혁신기획처장은 이석형 산학협력 단장이 맡았다. 서경대 대학혁신지원사업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총 3년간 진행된다. 이를 위해 서경대는 총장 ...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일본에서도 ‘기생충’ 열풍 file

지난해 말 일본 도쿄 시부야에서 열린 영화 ‘기생충’의 기자시사회에서는 보기 드문 광경이 펼쳐졌다. 처음부터 웃음바다를 이뤘던 시사회는 영화가 시작하고 5분여 지난 뒤부터 그야말로 폭소의 도가니였고, 중반부에는 진지...

코로나19 이후, 국내 대학 공간 대관 ‘뉴 노멀’ 주목

쉐어잇㈜, 스쿨쉐어링(School Sharing) 플랫폼으로 대학이 수익과 관리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설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국내 대학들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고심이 깊어지고 있...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