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공특 진학률 지스트 64.7% ‘최고’ DGIST 포스텍 KAIST UNIST


20222(20218월 포함) 졸업생의 취업률이 전년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알리미가 17일 공시한 졸업생의 취업현황자료에 따르면 상위15개대(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의 평균 취업률은 70.7%로 전년 69.7%보다 상승했다.


상위15개대 중 2022년 취업률이 가장 높은 대학은 성대로 76.5%. 전년 78.5%보다는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취업률이다. 서강대 73.9%, 한대 72.5%, 인하대 72.2%, 중대 72% 순으로 톱5.


대학알리미가 공시한 2023 ‘졸업생의 취업현황20221231일 기준이다. 20218, 20222월 졸업자가 조사 대상이다. 대학알리미의 정보공시 자료는 한국교육개발원 소속 국가교육통계센터의 교육통계서비스를 기반으로 산출한 취업률과 수치가 대동소이하지만, 대학알리미 자료는 수시로 수정이 가능해 추후 변동될 여지가 있다.


이공계특성화대의 경우 졸업 후 곧장 취업 전선에 뛰어들기보다는 대학원 진학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고급 이공계 인력을 양성한다는 설립목적을 두고 보면 취업률보다는 진학률을 살펴보는 것이 설립목적에 보다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2022년 진학률이 가장 높았던 곳은 지스트로 64.7%였다. DGIST 63.9%, 포스텍 63.7%, KAIST 54.5%, UNIST 41.4% 순이다.


초등교사가 될 목적으로 진학하는 교대의 평균 취업률은 61%로 전년 62.5%와 비교하면 하락했다. 201684.5%, 201772.9%, 201868.8%, 201963.8%, 202061.4% 순으로 계속해서 하락세였다가 202162.5%로 반등했으나 다시 202261%로 하락했다. 대학별로 보면 대구교대가 67.8%로 취업률이 가장 높다.


전체 대학으로 범위를 넓히면 각종학교(대학) 산업대를 제외한 일반대 교대 이공계특성화대 합산 206개 대학 평균은 66.3%로 전년 199개 대학 평균 64.1%와 비교해 상승했다. 캠퍼스는 본교와 통합해 산출했다.


2025대입잣대 15개 상위대 취업률 성대(1).jpg

상위15개대 중 2022년 취업률이 가장 높았던 곳은 성균관대다.


<상위15개대 평균 취업률 70.7%.. 성대 76.5% ‘최고서강대 한대 인하대 중대 톱5>

상위15개대 평균 취업률은 70.7%. 전년 69.7%보다 소폭 상승했다. 201766%, 201766%, 201868.5%, 201969.7% 순으로 상승세를 이어오다, 코로나가 본격화한 202068%로 하락했으나 2021, 69.7%, 202270.7% 순으로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전체 59564명의 졸업자에서 취업률 미산정지표 12566명을 제외한 46998명 중 33216명이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15개대 중 2022년 기준 취업률이 가장 높은 곳은 성대다. 성대는 76.5%로 전년 78.5%보다는 하락했지만 7년 연속 톱이다. 201676.4%, 201775.1%, 201877%, 201978.6%, 202076%, 202178.5%, 202276.5% 순으로 매년 80%에 육박하는 취업률이다.


성대에 이어 서강대 73.9%(취업자 1017/졸업자(미산정 지표 제외) 1376), 한양대 72.5%(2146/2960) 순으로 톱3.


평균 취업률이 가장 높은 성대의 학과별 취업률을 살펴보면 졸업자 규모 자체가 10명 미만으로 적은 모집단위를 제외하고 의학과가 97.5%로 취업률이 가장 높고, 반도체시스템공학이 95.7%로 뒤를 이었다. 서강대의 경우 미국문화전공의 취업률이 93.1%로 가장 높았다. 사회학전공이 85%로 뒤를 이었다. 한대는 졸업자 10명 미만의 모집단위를 제외하면 정보융합전공이 94.5%로 취업률이 가장 높았고 의학과 94.4%, 응용시스템전공 93.1% 순으로 높았다.


3대학에 이어 인하대 72.2%(2552/3535), 중대 72%(3626/5036), 고대 70.9%(2438/3440), 연대 70.9%(2344/3308), 경희대 70.7%(3710/5249), 건대 70.5%(2217/3144), 시립대 70.4%(1253/1779), 서울대 70.3%(1633/2324), 동대 69.7%(1865/2676), 이대 67.9%(2138/3151), 숙대 66.1%(1511/2286), 외대 65.3%(2238/3428) 순이다.


취업률에 산정되지 않는 진학자 비율은 소위 SKY로 불리는 서울대 고대 연대에서 많은 편이다. 서울대는 졸업자 3330명의 27.7%에 달하는 924명이 진학해 상위15개대 중 가장 비중이 크다. 이어 고대 18%, 연대 17.4% 순이다.


<이공특 '취업률보단 진학률' 평균 진학률 53.6%.. 지스트 64.7% ‘최고’>

이공계특성화대는 학부 졸업자가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취업률 산정에 활용되는 모수 규모 자체가 작은 편이다. 설립 목적 자체가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함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취업률보다는 진학률이 설립목적과 부합하는 지표라 볼 수 있다.


2022년 진학률이 가장 높은 곳은 지스트로 64.7%. 졸업자 167명 중 108명이 진학했다. 취업보다는 대학원 진학을 선택한 경우가 더 많았던 셈이다. DGIST 63.9%(진학자 85/졸업자 133), 포스텍 63.7%(202/317), KAIST 54.4%(374/688), UNIST 41.4%(232/561) 순으로 뒤를 잇는다.

 

취업률로 따져보면 포스텍 UNIST KAIST DGIST 지스트 순이다. 5개교 평균 취업률은 70.4%로 전년 68.5%보다 상승했다. 졸업자 1866명 중 취업률 미산정 지표인 1122명을 제외한 744명 중 524명이 취업했다.


포스텍 83.8%(93/111), UNIST 71.2%(208/292), KAIST 67.4%(161/239), DGIST 64.6%(31/48), 지스트 57.4%(31/54) 순이다.


<교대 평균 취업률 61%.. 대구 경인 춘천 톱3>

교대는 졸업 후 임용고시에만 합격하면 교사로 취업하기 때문에 취업이 보장된 학교로 여겨졌지만 최근 임용고시 선발인원이 줄어들면서 취업률도 하락세다. 2022년 평균 취업률은 61%로 전년 62.5%에서 하락했다. 01772.9%, 201868.8%, 201963.8%, 202061.4% 순으로 낮아지다가 2021년은 소폭 반등한 62.5%였으나 다시 202261%로 하락했다. 초등교육과로 모집하는 이화여대 제주대와 종합교원양성대인 한국교원대는 제외했다.


교대 중 취업률이 가장 높은 곳은 대구교대다. 졸업자 396명에서 취업률 미산정 지표인 11명을 제외한 385명 중에서 261명이 취업해 67.8%를 기록했다. 경인교대 64.4%(431/669), 춘천교대 63.5%(190/299), 광주교대 63%(206/327), 공주교대 61.6%(218/354), 서울교대 59.6%(229/384), 부산교대 58.9%(216/367), 진주교대 56.6%(188/332), 청주교대 56.2%(164/292), 전주교대 53.4%(156/292) 순이다.


<206개교 평균 66.3%.. 포스텍 국립목포해양대 목포가톨릭대 톱3>

산업대 각종학교(대학)를 제외한 전체 대학 206개교 평균 취업률은 66.3%. 졸업자 343159명에서 취업률 미산정 지표인 43235명을 제외한 299924명 중 198852명이 취업했다. 캠퍼스는 본교와 통합해 산출한 기준이다.


취업률이 가장 높은 곳은 83.8%의 포스텍이다. 국립목포해양대 81.6%(425/521), 목포가톨릭대 81%(98/121), 한국기술교대 80.3%(685/853), 경동대 80.1%(1312/1637) 순으로 80%를 넘는 취업률이다.


70%대 취업률인 곳은 59개교로 전년 35개교보다 크게 늘었다. 가톨릭꽃동네대 79.8%(95/119), 을지대 79.2%(901/1138), 칼빈대 77.8%(21/27), 건양대 77.7%(1257/1617), 한국체육대 77.2%(407/527), 성균관대 76.5%(2528/3306), 국립한국해양대 75.8%(1015/1339), 호원대 75.6%(924/1223), 아주대 75.4%(1620/2148), 예수대 75.2%(97/129), 부산장신대 75%(27/36), 차의과학대 74.9%(355/474), 한세대 74.7%(390/522), 루터대 74.6%(44/59), 선문대 74.3%(1166/1570), 부산가톨릭대 74.1%(649/876), 남부대 74%(464/627), 서강대 73.9%(1017/1376), 한국공학대 73.6%(1115/1515), 김천대 73.1%(511/699), 서울장신대 73.1%(38/52), 인천가톨릭대 72.9%(105/144), 중원대 72.7%(504/693), 서경대 72.6%(870/1199), 한국항공대 72.5%(573/790), 한양대 72.5%(2146/2960), 한국성서대 72.2%(143/198), 인하대 72.2%(2552/3535), 중앙대 72%(3626/5036), 경운대 72%(703/977), 유원대 71.9%(544/757), 창신대 71.8%(295/411), 연세대(미래) 71.7%(1121/1564), 화성의과학대 71.6%(78/109), 서울과기대 71.5%(1564/2188), 한양대(ERICA) 71.3%(1347/1890), UNIST 71.2%(208/292), 경주대 71.1%(113/159), 초당대 71%(441/621), 숭실대 71%(1879/2648), 고신대 70.9%(434/612), 중부대 70.9%(1066/1504), 고려대 70.9%(2438/3440), 연세대 70.9%(2344/3308), 극동대 70.9%(525/741), 가야대(김해) 70.7%(370/523), 경희대 70.7%(3710/5249), 인천대 70.6%(1932/2735), 제주국제대 70.6%(156/221), 순천향대 70.5%(1567/2222), 건국대 70.5%(2217/3144), 국민대 70.5%(2271/3222), 청운대 70.5%(962/1365), 서울시립대 70.4%(1253/1779), 한서대 70.4%(924/1312), 서울대 70.3%(1633/2324), 우송대 70.2%(1292/1840), 신한대 70.2%(980/1396), 강서대 70%(203/290) 순이다.


<취업률 어떻게 산정하나>

대학알리미가 공시한 2023 ‘졸업생의 취업 현황20221231일 기준으로, 20218, 20222월 졸업자가 조사 대상이다. 취업률은 졸업자 인원에서 취업률 산정에 포함하지 않는 인원을 제외한 숫자 중 취업자 인원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취업자는 건강보험직장가입자 해외취업자 농림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종사자 1인창()업자 프리랜서가 해당한다.


건강보험직장가입자는 조사기준일 당시 건강보험 직장가입자를 뜻한다. 단 대학의 재정(교비, 산학협력단 회계 및 정부재정지원금 등 대학의 모든 회계를 포함)으로 인건비(4대 보험료 포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받아 한시적으로 취업한 졸업자는 취업자로 인정하지 않는다. 해외 취업자는 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아닌 자 중 해외 국가에서 주당 15시간 이상 일하며 91일 이상 고용계약한 사람을 뜻한다. 농림어업종사자는 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아닌 자 중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자를 의미한다. 농림어업종사자는 농업인확인서발급규정(농림축산식품부 고시)에 의거해 농업인확인서 발급이 되거나,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농업경영체로 등록한 자로서 농업경영체등록확인서(농업인용), 어업경영체 등록확인서(어업인용), 어업허가내역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농업경영체등록여부 조회화면 캡처 자료, 기타 법령에 근거하여 국가 및 지자체에서 발급한 확인서 또는 공문을 제출한 자다. 개인창작활동 종사자는 졸업 이후부터 조사기준일까지 개인작품 창작활동 실적이 있는 자를 의미한다. 1인 창()업자는 국세청DB에서 2022년에 사업자등록이 되어 있고, 2022년 연간 사업소득액의 합계가 685만원 이상이 확인된 자 또는 2022년 사업자등록이 되어있고,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실시하는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주관기관이 대학인 경우)에 선정되어 참여한 자다. 프리랜서는 국세청DB에서 2022년 원천징수 대상 사업소득이 5743320원 이상인 것으로 확인된 자를 뜻한다.


취업률에 반영하지 않는 경우는 진학자 입대자 취업불가능자 외국인유학생 제외인정자다. 진학자는 학위취득을 목적으로 고등교육법에서 인정하는 교육기관 또는 그 밖에 다른 법률에서 인정하는 교육기관으로 진학한 자를 의미한다. 조사기준일 당시 2023년 입학허가서를 받은 진학예정자는 진학자로 인정하지 않는다. 해외 어학연수자, 학점은행제 및 고용노동부 산하 직업 훈련기관, 평생교육원 등 특정 학점인정기관 입학자는 제외한다. 취업불가능자는 조사기준일 당시 수형자이거나 사망자, 해외이민자, 6개월 이상 장기입원자를 의미한다. 외국인유학생은 외국국적 재외동포를 포함해 외국국적을 가진 유학생을 뜻하며 진학 및 취업 등 졸업 후 상황과 관계없이 졸업자 중 외국인 학생수 모두를 의미한다. 제외인정자는 의료급여 수급자, 여자군인 중 임관 전 훈련생,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교육대상자, 종교지도자 양성관련학과 졸업자, WFK사업 참여자 등 건강보험 직장가입대상자가 아니어서 취업대상자에서 제외되는 자를 뜻한다.


기타 및 미상은 조사기준일 당시 취업 진학 입대 취업불가 제외인정자 등에 해당되지 않거나 졸업 후 상황을 파악할 수 없는 자로 취업률 산정에서 제외된다.


2025대입잣대 15개 상위대 취업률 성대(2).png


2025대입잣대 15개 상위대 취업률 성대(3).png


2025대입잣대 15개 상위대 취업률 성대(4).png


2025대입잣대 15개 상위대 취업률 성대(5).png


2025대입잣대 15개 상위대 취업률 성대(6).png


<원문출처>

베리타스알파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91416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988

[2023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서울 성북구에 있는 인간미 넘치는 동네책방 ‘호박이넝쿨책-야책’ file

김정훈 호박이넝쿨책-야책 대표(지역 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선정기업) -마을잡지 ‘정릉야책’ 발행하고 다수의 극 공연을 진행 -7개의 낭독모임이 활동, 인간적인 관계가 만들어져   호박이넝쿨책-야책은 서울 성북구에 있...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과 코스맥스(주), 코스맥스 바이오(주)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과 코스맥스 주식회사, 코스맥스 바이오 주식회사와 뷰티산업 발전 및 교육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4월 24일 코스맥스 본사에서 체결했다. ▲ 코스맥스 주식회사 ▲ 코스맥스 바이오 주식회사 ...

[2022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업사이클링 제품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세이프팀’ file

추유빈 세이프팀 대표 -첫 번째 제품으로 등산객을 위한 물병 파우치 개발 -버려지는 끈을 모아서 만든 제품으로 친환경 의미 강조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세이프팀은 업사이클링 제품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추유...

[서경대 카드뉴스] 2023 글로벌 비즈니스 데이터분석 전문가 양성과정 연수생 1기 모집 공고 file

 <관련 공지>  2023 해외취업연수사업 대학연합과정 안내 공지 https://www.skuniv.ac.kr/226168 □ 학생설명회, 연수과정 안내 및 신청 서식 등 관련 자료(공유드라이브 URL) https://drive.google....

[2022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임팩트 있는 게임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길드(GUILD)’ file

김태윤 길드(GUILD) 대표 -모바일과 스팀 크로스 플랫폼으로 즐길 수 있는 게임 개발 -등장인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 갖춰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길드(GUILD)는 임팩트 있는 게임을 개발...

[2024 수시특집/서경대학교] 취업에 강한 대학…서울 소재 4년제 연속 취업률 10위권 file

올해 1월 정보공시 기준 취업률은 71.2%…서울 소재 종합대학(학생 수 5000명 이상) 중 5위 ‘주목’ 산학 공동연구 기술개발, 계약학과 체결…서울 캠퍼스타운 조성사업, 30개 청년창업 기업 지원 등 융복합 교육 대응으로 아트...

“가치있고 재미있는 콘텐츠 담아 의병역사 산실로” file

남도의병 역사박물관 전시·콘텐츠 구성 방안 마련 토론회 첨단기술 접목 특별한 경험과 느낌 받을 수 있도록 해야 차별화된 콘텐츠로 팬덤·세계관 이용한 마케팅 나서야 어떤 메시지와 경험들을 건넬 것인가가 가장 중요 대표 ...

"N번방 방지법, 불법 함정수사·사전검열 변질 우려" file

경찰학연구 수록 논문…"함정수사 금지 규정 필요" 디지털 성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시행 중인 이른바 'N번방 방지법'이 불법 함정수사나 위헌적인 사전검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6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학과 교수 칼럼: [서기수 교수의 성공투자 법칙④] 경제공부의 첫걸음 ‘기준금리’ file

2022년 한해는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로 시작해서 기준금리로 끝나지 않았나 싶다. 경제나 투자에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뉴스로 하루를 시작했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알고 있고 기준금리의 인상...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 이·미용 기능장 2명 배출하는 성과 거둬 file

강문희 최부경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이 이·미용분야 최고수준의 국가기술 자격인 이·미용 기능장 2명을 배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영광의 주인공은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에서 이·미용 기능장 교육과정을 수학한 최부경(현대...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