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2024학년도 원서접수 결과 분석


188개교 중 경쟁률 31’ 이하 59

대부분 지방대정원·지원자 수 감소

전남 1.881 최저광주·경남 뒤이어

인천 6.32서울 5.791과 대조

중복합격자 이탈 땐 추가모집 불가피


2024학년도 일반대 정시 원서 접수가 마감됐다. 서울 지역 대학에는 많은 지원자가 몰리면서 대부분 561의 경쟁률을 보였다. 그러나 비수도권 대학 중에는 경쟁률이 31에도 미치지 않아 사실상 미달인 학과도 속출했다.


정시대학 3곳 중 1곳은 사실상 미달(1).jpg

지난달 10일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에서 종로학원 주최로 열린 ‘2024 정시지원 합격전략 설명회에서 학부모와 수험생들이 배치표를 보면서 입시전략 설명을 듣고 있다.


홍익대·서경대 등 경쟁률 최고


14일 입시업계에 따르면 서울 지역 4년제 대학 중 경쟁률이 가장 높은 대학은 홍익대로, 11.431을 기록했다. 이어 서경대 9.071 중앙대 8.881 동덕여대 7.981 서울여대 7.551 등의 순이었다. 상위권 대학보다는 주로 중상위권, 중위권 대학으로 꼽히는 대학의 경쟁률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건국대는 1415명 모집에 9794명이 지원해 최종 경쟁률이 6.921이었다. 일반학생전형에서 높은 경쟁률을 보인 모집단위는 다군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42.381), 다군 KU융합과학기술원 시스템생명공학과(22.191) 등이었다.


국민대는 1311명 모집에 7713명이 지원해 5.881로 마감했다. 계열별로는 인문계열은 451명 모집에 3024명이 지원해 6.711, 자연계열은 437명 모집에 2357명이 지원해 5.391이었다. 예체능계열은 423명 모집에 2332명이 지원해 5.511의 경쟁률로 집계됐다. 국민대에서 경쟁률이 가장 높은 학과는 스포츠교육학과로, 26명 모집에 474명이 지원해 18.231로 마감했다. 인문계열에서는 한국어문학부 글로벌한국어전공(15.01), 자연계열에서는 나노전자물리학과(13.51)가 최고 경쟁률이었다. 전통적인 인기학과인 자동차융합대학 자동차공학과는 4.271, 언론정보학부 미디어전공은 5.001, 공업디자인학과 3.161 등이었다.


숭실대는 1169명 모집에 7728명이 지원해 6.611의 경쟁률이었다. 최고 경쟁률은 다군 사회복지학부로 11.861이었고, 다군 정보보호학과(10.631), 수학과(10.231)도 경쟁률이 높은 학과로 꼽혔다. 이밖에 광운대 6.631 성신여대 6.001 명지대 5.911 세종대 5.511 상명대 5.501 한성대 4.951 동국대(서울) 4.771 등이었다.


정시대학 3곳 중 1곳은 사실상 미달(2).jpg


비수도권 중심 미달 학과 속출


지원자들의 선택을 받지 못한 학교도 많았다. 종로학원이 전국 188개 대학의 2024학년도 정시모집 원서접수 결과를 분석한 결과 경쟁률이 31에 미치지 못한 대학은 31.4%(59)에 달했다. 정시 원서는 가··다군 총 3곳까지 넣을 수 있어서 입시업계에서는 경쟁률 31이 안 되면 중복합격자 이탈 가능성을 고려해 사실상 미달로 본다.


59개 대학 중 52(88.1%)은 비수도권 대학이었고, 서울권은 4개교, 경인권은 3개교였다. 지역별 경쟁률은 서울지역 5.791, 경인권 5.961이었으나 비수도권은 3.571로 뚝 떨어졌다. 비수도권 대학의 경우 지난해보다 경쟁률은 0.08%포인트 올랐으나 이는 인기가 높아져서가 아니라 모집정원을 줄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비수도권 108개교의 모집정원은 전년 대비 2541명 줄었고, 지원자 수는 4509명 감소했다. 반면 서울의 경우 41개교의 모집인원은 전년 대비 980명 늘었고, 지원자 수도 5271명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전남지역 대학의 경쟁률이 평균 1.881로 가장 낮았고, 광주(2.391)와 경남(2.841)이 뒤를 이었다. 경쟁률이 높은 지역은 인천(6.321), 경기(5.891), 서울(5.791), 세종(5.701), 대구(5.421) 순이었다. 비수도권 지역 중 경쟁률이 높은 세종의 경우 2개 대학 모두 서울에 본교가 있는 대학(고려대·홍익대)이다. 종로학원은 경쟁률이 31 이하인 대학들은 중복합격으로 빠져나가는 인원을 고려할 경우 추가모집이 불가피할 수 있다고 했다.


정시 지원자 최초 합격자 발표는 26, 추가 합격자 발표는 21420, 추가모집은 22229일 진행될 예정이다.


<원문출처>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240110519390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268

성북구, 서경대학교와 함께하는 성북 청년 뷰티 아카데미 메이크업·속눈썹 연장 입문과정 운영 file

서울 성북구(구청장 이승로)가 K-뷰티 인재를 양성하고 청년 취업역량을 증진하기 위해 '서경대학교와 함께하는 성북 청년 뷰티 아카데미 메이크업·속눈썹 연장 입문과정'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서경대학교와 함께하는 성북 청...

[서경대 MFS] 근로소득 접근 서비스 'EarnIn' file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위해...

학과-전공 중심 특성화에 초점… 졸업생 취업률 5년 연속 10위권 file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는 서울 소재 주요 대학 가운데 특성화 명문 종합대학으로 부상하며 빠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비교 우위에 있는 학과나 전공을 중심으로 대학 특성화를 촉진해온 결과로 풀이된다. 취업 성공...

고운실 서경대학원 경영학과 외래교수 기고 : 시대 의제가 된 ESG 경영 file

시대 의제가 된 ESG 경영  고운실 서경대학원 경영학과 외래교수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개선(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경영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측정하는 3가지 주요 지표를 말한다...

서경대, 2024년도 해외취업연수사업 업무협약 체결 file

4월 4일(목) 오전 11시 삼육대 백주년기념관서, 삼육대, 대진대, 덕성여대와 성공적인 교육과정 운영 및 협력 기반 마련키로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해외취업연수사업(대학연합과정)에 지난해에 이...

서경대학교-건국대학교-세종대학교, 3개 대학 연합 ‘지역사회 활성화 공모전’ 개최 file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지역의 사회 및 문화 활성화 방안 도출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추진사업단은 2024학년도 3개 대학(서경대, 건국대, 세종대) 공유·협력 프로그램으로 인사동전통문화보존회와 연계하여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

‘2024학년도 서경대학교 해오름제’, 3월 28일(목) 오후 6시 교내 SKON SQUARE에서 성황리에 열려 file

중앙운영위원회 · 각 단과대학 운영위원회 · 자치기구 · 24개 학과 회장단 등 참석 ‘2024학년도 서경대학교 해오름제’가 지난 3월 28일(목) 오후 6시 SKON SQUARE에서 많은 재학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 ...

용산구의회, 의원연구단체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file

▲ 용산구의회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용산구의회(의장 오천진)는 12월 20일 용산구의회 제1회의실에서 「중도장애인 권리보장을 위한 연구단체(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산구의회 대기환경연구회(딥비전스)」, 용산비전기획(서...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칼럼: [기고] 새 국정원, 국내외 보안정보와 대북 휴민트의 첨병 돼야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前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신임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로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이 지명되었다. 안보실장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장이라는 위상으로 볼 때 같은 장관급이지만 국정원장보다 서열상...

[서경대 MFS] 독일의 투자 자산 관리 플랫폼 Scalable Capital file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