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한일 가교의 길조 까치[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1).jpg


까악, 까악, 까악!


2024년 첫날을 이 소리와 함께 시작했다. 옆집 지붕에 놀러 온 까치 소리다.


나는 까치의 모습을 보면 늘 좋은 일이 있을 것 같아 가슴이 설렌다. 까치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음력 설날 노래에 나오고, 민화 속에서는 사나운 호랑이 곁에서 호랑이를 놀리고 때로는 짝꿍이 되어 함께 등장하는 새다. 가끔 찾아가는 국립중앙박물관과 경복궁에서도 까치를 만날 수 있다. 까치는 한국인 가까이에 존재하며, 가장 사랑받는 새 중 하나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한일 가교의 길조 까치[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2).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한편 일본에서도 한국 못지않게 까치를 사랑하는 지역이 있다. 바로 내 고향 사가(佐賀)현이다. 1923년 사가에 서식하는 까치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됐고, 1965년에는 현의 새(県鳥)가 됐다. 사람들은 사가현 까치를 친근감 있게 가치가라스(かちがらす)’라 부른다. 나는 그 가치가 이 까치라는 걸 한국에 와서야 알았고, 까치를 보면 고향 생각이 나서 자연스럽게 시선이 따라가게 된다.


일본에서 까치의 학명은 가사사기(カササギ·)’인데, 사가현에서만 가치가라스로 불리는 까닭은 까치라는 발음에 더 의미를 두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일본에선 발음을 정확히 낼 수 없기에 까치의 가장 가까운 발음인 가치(かち)’가 되었다. 여기에 까마귀의 뜻인 가라스를 연결시켜 가치가라스’, 까치까마귀가 된 셈이다. 옛날에는 조센가라스(朝鮮烏)’ 또는 고라이가라스(高麗烏)’라고 불렀다고 한다. 옛 호칭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 일본에 서식하지 않았고, 한국에서 건너와 일본에 정착했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러운데, 건너온 기원은 임진왜란 때 나베시마(鍋島) 번주가 까치까치라는 소리를 가치가치()’, 승리승리로 인식하고, 복을 가져다주는 길조로 생각해 데려왔다는 설이 유력하다.


나는 몇 년 전 인터넷에서 우연히 흙으로 만든 까치 인형을 보고 반해버렸다. 더구나 홈페이지에 들어가 볼 때마다 품절이라 갖고 싶은 마음이 더 간절해졌다. 그래서 지난해 12월 초 고향 집 가는 길에 사가현 간자키(神崎)시의 오사키(尾崎)인형 공방을 방문했다. 논 한가운데 있는 공방에서는 계승자 조지마 마사키(城島正樹) 씨가 나를 반기며 기다렸다.


오사키 인형13세기 일본에 몽골군이 쳐들어왔을 때 포로가 된 몽골군 병사들이 고향을 그리워하며 만든 것을 시작으로 700년 넘게 계승되어 온 도자기 인형이다. 사람이나 동물, 새 등의 모양으로, 입김을 불어 넣으면 호오하고 소박한 소리가 나는 흙피리와, 흔들면 데굴데굴 귀여운 소리가 나는 토령(흙방울)이다. 까치 인형에 대해 물으니 조지마 씨는 만들기 시작한 지 30년 정도 된 것 같은데, 최근 뜻밖에 인기가 있어 45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만들게 됐어요라고 했다. 그 이유로는 흑백의 단순한 디자인이 요즘 감각에 맞았고, 까치가 무척 사가다운 소재이기 때문입니다. 또 까치의 서식지는 전 세계에 걸쳐 있으며, 많은 곳에서 길조로 반기기 때문에 외국인들도 좋아할 만한 것 같습니다라고 답했다. “원래 인형의 틀은 대()와 중()뿐이었는데, 현대인의 취향에 맞춰 작은 크기()를 더했어요. 가족을 나타낸 것이기도 합니다라고도 덧붙였다. 이곳에서 구입한 세 가지 까치 인형 가족은 지금 우리 집에서 두 마리의 고양이와 함께 삶에 작은 행복을 선사하고 있다.


이 밖에도 사가에서 까치는 폭넓게 활약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가의 축구 J리그 팀 사간토스(サガン鳥栖)’의 마크와 마스코트, 그리고 국립사가대의 엠블럼과 마스코트로 활용되고 있다. ‘가사사기호라는 열차도 만들어져 후쿠오카에서 사가까지 운행하고 있어 이번에 나도 타보았다.


202014일의 니시닛폰신문 보도를 보면, 사가현 교육위원회가 20112013년에 실시한 조사 결과 까치의 수가 1990년대의 약 2만 마리에서 약 1만 마리로 줄었다고 한다. 실제 이번 여행에서도, 서울에서도 예전만큼 많이 만날 수 없어진 게 현실이다. 무척 안타깝다.


칠월칠석날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오작교는 까치와 까마귀가 만들어줬다. 한국에서 건너가 일본에 정착한 까치도 한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견고한 오작교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까치로 연결된 한국과 일본이 앞으로도 좋은 인연으로 계속 교류하기를 바란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40104/122908854/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255

[천자춘추] 우리는 무엇을 ‘짓고’ 있습니까 file

김보람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조교수 제주대안교육협의회가 주최하는 진로특강에서 강연을 한 적이 있다. 강연이 끝나고 제주에 있는 대안학교 7개 중 한 곳인 볍씨학교에 방문해 1박2일을 보냈다. 볍씨학교는 대한민국 최초의 ...

‘엔지니어링 경진대회’ 미래 엔지니어 42명 한자리에 file

고성~속초 동해 스마트 고속도로 설계작 대상 총 12팀 수상 영예…엔지니어링사 채용연계 지원 ‘2022 엔지니어링 경진대회’ 시상식이 23일 한국엔지니어링협회 대강당에서 개최된 가운데, 이해경 협회장(오른쪽 다섯번째)과 이재...

"기업 없는 세상 상상하면 소중함 알게 되죠" file

경총·매경 기업(氣-UP!) 공모전 작년 대상 수상자 3인 인터뷰 기업은 한국 경제의 심장 역할 이윤 창출 넘어 사회적 책임까지 공모전 참가한 뒤 다르게 인식 올해 2회째 공모 진행 예정 영상부문 외 웹툰부문도 신설 ...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 교수혁신 주도할 앰배서더 위촉 file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원장 이지나 교수)은 2022학년도부터 교수역량 강화에 기여할 교원을 서경 교수혁신 앰배서더(S-Teaching Ambassador)로 선정해 위촉장을 수여했다고 밝혔다. 서경 교수혁신 앰배서더란 교수학습원의 교원 ...

서경대, ‘정부초청 중국 한국어과 대학생 초청연수’ 사업 위탁기관 2021년, 2022년 2년 연속 선정 file

22년 8월부터 23년 1월까지 약 6개월간, 중국 대학 한국어과 우수 장학생 33명 대상 한국 문화·역사 및 K콘텐츠 체험 연수 진행 9월 19일(월) 오후 2시 교내 문예홀에서 관련 기관 관계자 참석한 가운데 입교식 가져 서...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이현정 학우, ‘2022 제48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에 참가해 ‘차하상’ 수상 file

서경대 2023학년도 수시모집 최종 경쟁률 13.40대 1 ‘소폭 하락’···실용음악학부 보컬전공 327.20대 1 ‘최고’ file

1,250명 모집에 1만 6,756명 지원 서경대학교는 17일 2023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원서접수 마감 결과, 1,250명 모집에 16,756명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 13.40대 1을 기록했다. 지난해 경쟁률 16.29대 1보다 소폭 하락했다. ...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학생 심다하 외 11인으로 구성된 창작집단 ‘하다심’의 첫 번째 공동 창작 워크숍 공연 <아니 근데 진짜> 성황리에 개최돼···연출 맡은 심다하 학생 인터뷰 file

<공연포스터>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학생 심다하 외 11인으로 구성된 창작집단 ‘하다심’의 공동 창작 워크숍 공연 <아니 근데 진짜>가 지난 9월 2일부터 9월 4일까지 3일간 금요일 8시, 토요일 3시, 7시, 일요일 3시에...

2022년 2학기, 도전해 볼 만한 대학생 공모전 및 대외활동 어떤 게 있을까? file

코로나 19 확산세가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전면 대면 수업을 실시하는 2022학년도 2학기가 시작된 지도 2주일이나 됐다. 1학기를 만족스럽게 보낸 학우들은 2학기에도 열심히 학업과 자기계발을 할 것이고, 1학기에 아쉬움이 남은...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2022 성북 캠퍼스타운 온라인 아카데미’ 2학기 참여 file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2022 성북 캠퍼스타운 온라인 아카데미’ 2학기 참여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단장 김범준)은 성북 클러스터 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2022 성북 캠퍼스타운...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