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한일 가교의 길조 까치[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1).jpg


까악, 까악, 까악!


2024년 첫날을 이 소리와 함께 시작했다. 옆집 지붕에 놀러 온 까치 소리다.


나는 까치의 모습을 보면 늘 좋은 일이 있을 것 같아 가슴이 설렌다. 까치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음력 설날 노래에 나오고, 민화 속에서는 사나운 호랑이 곁에서 호랑이를 놀리고 때로는 짝꿍이 되어 함께 등장하는 새다. 가끔 찾아가는 국립중앙박물관과 경복궁에서도 까치를 만날 수 있다. 까치는 한국인 가까이에 존재하며, 가장 사랑받는 새 중 하나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한일 가교의 길조 까치[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2).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한편 일본에서도 한국 못지않게 까치를 사랑하는 지역이 있다. 바로 내 고향 사가(佐賀)현이다. 1923년 사가에 서식하는 까치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됐고, 1965년에는 현의 새(県鳥)가 됐다. 사람들은 사가현 까치를 친근감 있게 가치가라스(かちがらす)’라 부른다. 나는 그 가치가 이 까치라는 걸 한국에 와서야 알았고, 까치를 보면 고향 생각이 나서 자연스럽게 시선이 따라가게 된다.


일본에서 까치의 학명은 가사사기(カササギ·)’인데, 사가현에서만 가치가라스로 불리는 까닭은 까치라는 발음에 더 의미를 두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일본에선 발음을 정확히 낼 수 없기에 까치의 가장 가까운 발음인 가치(かち)’가 되었다. 여기에 까마귀의 뜻인 가라스를 연결시켜 가치가라스’, 까치까마귀가 된 셈이다. 옛날에는 조센가라스(朝鮮烏)’ 또는 고라이가라스(高麗烏)’라고 불렀다고 한다. 옛 호칭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 일본에 서식하지 않았고, 한국에서 건너와 일본에 정착했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러운데, 건너온 기원은 임진왜란 때 나베시마(鍋島) 번주가 까치까치라는 소리를 가치가치()’, 승리승리로 인식하고, 복을 가져다주는 길조로 생각해 데려왔다는 설이 유력하다.


나는 몇 년 전 인터넷에서 우연히 흙으로 만든 까치 인형을 보고 반해버렸다. 더구나 홈페이지에 들어가 볼 때마다 품절이라 갖고 싶은 마음이 더 간절해졌다. 그래서 지난해 12월 초 고향 집 가는 길에 사가현 간자키(神崎)시의 오사키(尾崎)인형 공방을 방문했다. 논 한가운데 있는 공방에서는 계승자 조지마 마사키(城島正樹) 씨가 나를 반기며 기다렸다.


오사키 인형13세기 일본에 몽골군이 쳐들어왔을 때 포로가 된 몽골군 병사들이 고향을 그리워하며 만든 것을 시작으로 700년 넘게 계승되어 온 도자기 인형이다. 사람이나 동물, 새 등의 모양으로, 입김을 불어 넣으면 호오하고 소박한 소리가 나는 흙피리와, 흔들면 데굴데굴 귀여운 소리가 나는 토령(흙방울)이다. 까치 인형에 대해 물으니 조지마 씨는 만들기 시작한 지 30년 정도 된 것 같은데, 최근 뜻밖에 인기가 있어 45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만들게 됐어요라고 했다. 그 이유로는 흑백의 단순한 디자인이 요즘 감각에 맞았고, 까치가 무척 사가다운 소재이기 때문입니다. 또 까치의 서식지는 전 세계에 걸쳐 있으며, 많은 곳에서 길조로 반기기 때문에 외국인들도 좋아할 만한 것 같습니다라고 답했다. “원래 인형의 틀은 대()와 중()뿐이었는데, 현대인의 취향에 맞춰 작은 크기()를 더했어요. 가족을 나타낸 것이기도 합니다라고도 덧붙였다. 이곳에서 구입한 세 가지 까치 인형 가족은 지금 우리 집에서 두 마리의 고양이와 함께 삶에 작은 행복을 선사하고 있다.


이 밖에도 사가에서 까치는 폭넓게 활약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가의 축구 J리그 팀 사간토스(サガン鳥栖)’의 마크와 마스코트, 그리고 국립사가대의 엠블럼과 마스코트로 활용되고 있다. ‘가사사기호라는 열차도 만들어져 후쿠오카에서 사가까지 운행하고 있어 이번에 나도 타보았다.


202014일의 니시닛폰신문 보도를 보면, 사가현 교육위원회가 20112013년에 실시한 조사 결과 까치의 수가 1990년대의 약 2만 마리에서 약 1만 마리로 줄었다고 한다. 실제 이번 여행에서도, 서울에서도 예전만큼 많이 만날 수 없어진 게 현실이다. 무척 안타깝다.


칠월칠석날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오작교는 까치와 까마귀가 만들어줬다. 한국에서 건너가 일본에 정착한 까치도 한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견고한 오작교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까치로 연결된 한국과 일본이 앞으로도 좋은 인연으로 계속 교류하기를 바란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40104/122908854/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995

서경대, 재정지원사업 잇따라 선정, 교육의 질 제고 · 산학협력 ‘박차’ file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는 지난해와 올해 정부재정지원사업에 잇따라 선정되면서 교육의 질 제고 및 산학협력 고도화를 통해 산업계·미래사회 수요에 부합하는 현장실무형 실용인재 양성과 학생들의 취업지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

[실용 인재 양성의 요람] 6개 단과대학 특성화 …‘현장실무 중심 창의교육’에 집중 file

서경대학교 현장실무형 프로덕션 시스템 도입 취·창업 역량 강화 위해 제도 개선 산학협력 친화형 교육과정도 구축 서경대학교는 ‘현장실무 중심 창의 교육’으로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창의·혁신 실용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

서경대 '해외취업연수사업 대학연합과정' 2년 연속 선정 file

서경대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해외취업연수사업(K-Move School) 대학연합과정'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 2년 연속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해외취업연수사업(K-Move School) 대학연합과정은 운영 대학인 삼육대를 중심으로, ...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학과 교수 칼럼: 인공지능(AI)과 금융의 찰떡궁합 file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  며칠 전 아침에 눈을 떠서 신문기사의 경제면을 보던 중 가장 눈에 띄는 기사가 있었다. '다우, S&P500 신고가 마감...나스닥 장...

[대입 내비게이션] 총 355명 모집, 일부 학과 명칭·정원 변경 file

서경대학교는 2024학년도 정시에서 가군 85명, 나군 10명, 다군 260명 등 총 355명을 뽑는다. 서경대학교는 2024학년도 정시모집에서 가군 85명, 나군 10명, 다군 260명 등 정원 내 355명을 선발한다. 농·어촌학생 특별...

서경대, 교육혁신 · 첨단학과 및 전공 통해 미래 혁신형 실용인재 양성 file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는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혁신형 실용인재를 양성하겠다는 대학의 비전을 바탕으로 교육혁신을 진행 중이다.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성 있는 융복합 인재를...

‘맞춤진로’ ‘성공취업’의 지름길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인터뷰〕 허성민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진로취업지원센터장 file

서경대학교는 3월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를 신설했다.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는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 해외취업연수 사업, 취업연계중점대학 사업, 학내 다양한 취업 지원 사업 등을 동력으로 하여 입학에서 졸업 후까지 학생들의...

서경대학교, 서울시·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과 함께 화장품 전문인력 양성 위한‘2024 뷰티 비즈니스 아카데미’운영 file

교육생 160명 4월 30일(화)까지 모집, 5월 9일(목) 개강 3개월간 진행 일반과정과 경력과정으로 나눠 개인 역량에 맞춰 교육 및 지원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가 서울시,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과 함께 현장 실무에 곧바로 투...

서경대학교 군사학과 졸업생 고다현 중위(2019학번, 2023년 2월 졸업), 육군항공학교 수료, 여군 장교로는 드물게 기동헬기 조종사(KUH-1) 자격 취득, 항공휘장 수여 받아 file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군사학과(학과장 채성준)는 지난 2008년에 서울지역 최초의 군사학과로 개설되어 현재까지 600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가운데 그 중 고다현 중위(2019학번, 2023년 2월 졸업)가 최초로 2024년 4월 19일 육...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 (사)대한무용협회가 주최하는 ‘제44회 대학무용축제’에 참가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은 지난 9월 9일부터 10일까지 2일간 서울어린이대공원 능동 숲속 무대에서 열린 (사)대한무용협회 주최 ‘제44회 대학무용축제’에 참가했다. 올해로 44회째를 맞이한 대학무용축제...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