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한일 가교의 길조 까치[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1).jpg


까악, 까악, 까악!


2024년 첫날을 이 소리와 함께 시작했다. 옆집 지붕에 놀러 온 까치 소리다.


나는 까치의 모습을 보면 늘 좋은 일이 있을 것 같아 가슴이 설렌다. 까치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음력 설날 노래에 나오고, 민화 속에서는 사나운 호랑이 곁에서 호랑이를 놀리고 때로는 짝꿍이 되어 함께 등장하는 새다. 가끔 찾아가는 국립중앙박물관과 경복궁에서도 까치를 만날 수 있다. 까치는 한국인 가까이에 존재하며, 가장 사랑받는 새 중 하나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한일 가교의 길조 까치[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2).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한편 일본에서도 한국 못지않게 까치를 사랑하는 지역이 있다. 바로 내 고향 사가(佐賀)현이다. 1923년 사가에 서식하는 까치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됐고, 1965년에는 현의 새(県鳥)가 됐다. 사람들은 사가현 까치를 친근감 있게 가치가라스(かちがらす)’라 부른다. 나는 그 가치가 이 까치라는 걸 한국에 와서야 알았고, 까치를 보면 고향 생각이 나서 자연스럽게 시선이 따라가게 된다.


일본에서 까치의 학명은 가사사기(カササギ·)’인데, 사가현에서만 가치가라스로 불리는 까닭은 까치라는 발음에 더 의미를 두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일본에선 발음을 정확히 낼 수 없기에 까치의 가장 가까운 발음인 가치(かち)’가 되었다. 여기에 까마귀의 뜻인 가라스를 연결시켜 가치가라스’, 까치까마귀가 된 셈이다. 옛날에는 조센가라스(朝鮮烏)’ 또는 고라이가라스(高麗烏)’라고 불렀다고 한다. 옛 호칭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 일본에 서식하지 않았고, 한국에서 건너와 일본에 정착했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러운데, 건너온 기원은 임진왜란 때 나베시마(鍋島) 번주가 까치까치라는 소리를 가치가치()’, 승리승리로 인식하고, 복을 가져다주는 길조로 생각해 데려왔다는 설이 유력하다.


나는 몇 년 전 인터넷에서 우연히 흙으로 만든 까치 인형을 보고 반해버렸다. 더구나 홈페이지에 들어가 볼 때마다 품절이라 갖고 싶은 마음이 더 간절해졌다. 그래서 지난해 12월 초 고향 집 가는 길에 사가현 간자키(神崎)시의 오사키(尾崎)인형 공방을 방문했다. 논 한가운데 있는 공방에서는 계승자 조지마 마사키(城島正樹) 씨가 나를 반기며 기다렸다.


오사키 인형13세기 일본에 몽골군이 쳐들어왔을 때 포로가 된 몽골군 병사들이 고향을 그리워하며 만든 것을 시작으로 700년 넘게 계승되어 온 도자기 인형이다. 사람이나 동물, 새 등의 모양으로, 입김을 불어 넣으면 호오하고 소박한 소리가 나는 흙피리와, 흔들면 데굴데굴 귀여운 소리가 나는 토령(흙방울)이다. 까치 인형에 대해 물으니 조지마 씨는 만들기 시작한 지 30년 정도 된 것 같은데, 최근 뜻밖에 인기가 있어 45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만들게 됐어요라고 했다. 그 이유로는 흑백의 단순한 디자인이 요즘 감각에 맞았고, 까치가 무척 사가다운 소재이기 때문입니다. 또 까치의 서식지는 전 세계에 걸쳐 있으며, 많은 곳에서 길조로 반기기 때문에 외국인들도 좋아할 만한 것 같습니다라고 답했다. “원래 인형의 틀은 대()와 중()뿐이었는데, 현대인의 취향에 맞춰 작은 크기()를 더했어요. 가족을 나타낸 것이기도 합니다라고도 덧붙였다. 이곳에서 구입한 세 가지 까치 인형 가족은 지금 우리 집에서 두 마리의 고양이와 함께 삶에 작은 행복을 선사하고 있다.


이 밖에도 사가에서 까치는 폭넓게 활약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가의 축구 J리그 팀 사간토스(サガン鳥栖)’의 마크와 마스코트, 그리고 국립사가대의 엠블럼과 마스코트로 활용되고 있다. ‘가사사기호라는 열차도 만들어져 후쿠오카에서 사가까지 운행하고 있어 이번에 나도 타보았다.


202014일의 니시닛폰신문 보도를 보면, 사가현 교육위원회가 20112013년에 실시한 조사 결과 까치의 수가 1990년대의 약 2만 마리에서 약 1만 마리로 줄었다고 한다. 실제 이번 여행에서도, 서울에서도 예전만큼 많이 만날 수 없어진 게 현실이다. 무척 안타깝다.


칠월칠석날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오작교는 까치와 까마귀가 만들어줬다. 한국에서 건너가 일본에 정착한 까치도 한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견고한 오작교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까치로 연결된 한국과 일본이 앞으로도 좋은 인연으로 계속 교류하기를 바란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40104/122908854/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398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 문화예술교육의 확대 및 질 제고, 사업의 전문성 및 경쟁력 강화 위해 추진하고 있는 본교 출신 전문인력 육성 사례 소개 기획시리즈 <2> 본교 출신 ‘문화예술교육사’ 최미현 선생님 file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 교수)는 재학생과 지역사회 주민들을 대상으로 정서의 다각적인 성장 및 함양을 위한 체계적인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건전한 사회인으로서의 지도적 전문인력을 육성하고 진리의 탐...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한일 가교’의 길조, 까치 file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까악, 까악, 까악! 2024년 첫날을 이 소리와 함께 시작했다. 옆집 지붕에 놀러 온 까치 소리다. 나는 까치의 모습을 보면 늘 좋은 일이 있을 것 같아 가슴...

은행권 모바일 앱 서비스 1위는 ‘신한’·인뱅은 ‘토스뱅크’ file

다양성·편리성·신속성·가독성&보안성 등 4개 부문 종합평가 국내 은행중 모바일 앱 서비스가 가장 우수한 곳은 신한은행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영업만 하는 인터넷은행중에는 토스뱅크가 차지했다. 27일 서경대학교 MFS(모...

서경대학교, ‘2024학년도 취업연계 중점대학 및 현장실습학기제’ 설명회 개최 file

기관·기업 현장에서 직무교육 받으며 실무능력 기를 수 있어 호응도 높아 동문 현직자 멘토의 발표와 생생한 토크콘서트 시간도 가져 ▲ 동문 현직자 멘토의 토크콘서트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현장실습지원센터는 지난 4월 ...

[서경대 카드뉴스] 2024학년도 서경대학교 제휴 이벤트 총정리! file

<관련 링크> 서경대학교 제 52대 한숲 총학생회 https://www.instagram.com/sku_52nd_hansup/ <홍보실=임다현 학생기자>

라온피플, 서경대 융합대학원 MOU 체결

스포츠·뷰티 우수인재 양성…생성형 AI 연구 공동 수행 AI 전문기업 라온피플은 21일 서경대학교 유담관에서 서경대학교 융합대학원과 우수인재 양성 및 생성형 AI 연구, 뷰티와 스포츠 분야 공동 프로그램 운영 등에 관한 ...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전규열 대표, '2023 ROTC 중앙회 정기총회'서 특별공로상 file

전규열 대표이사 겸 발행인 전규열 본보 공감신문 대표이사가 27일 오후 서울 서초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2023년 ROTC중앙회 정기총회 겸 행복나눔행사 에서 특별공로상을 수상했다. 전 대표는 ROTC중앙회 국회특보로서 다...

교육 혁신 지속 추진…미래 선도할 혁신인재 양성 file

[2024 대입 정시 필승전략]  개교 76주년을 맞은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는 교육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 인재양성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서경대는 온·오프라인 수업의 경계를 뛰어넘어 학...

2024학년도 서경대학교 제52대 ‘한숲’ 총학생회 김종휴 정학생회장 · 서재완 부학생회장 당선 인터뷰 file

<제52대 한숲 총학생회 2인 포스터> 서경대학교 제52대 총학생회 ‘한숲’의 회장단을 뽑는 선거를 지난 2023년 12월 1일(금) 실시한 결과, 53.5%의 투표율을 보인 가운데 득표율 86.43%로 정후보 김종휴(컴퓨터공학과 21학번) 학...

[통신칼럼]ICT 신기술과 인증제도의 혁신 file

<정연춘 서경대 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한국전자파학회 협동부회장> 이달 13일부터 일주일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는 '전파방송산업 진흥주간' 다양한 행사가 서울과 광주에서 개최된다. 현대는 과학기술의 시대다. 정보통신기...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