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신임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로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이 지명되었다. 안보실장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장이라는 위상으로 볼 때 같은 장관급이지만 국정원장보다 서열상 상위라고 볼 수 있으며, 역대 사례로 볼 때 국정원장을 거쳐서 가는 자리였다. 윤석열 대통령이 이런 파격적 인사를 단행한 것은 국정원이 국가정보기관으로서의 위상을 하루빨리 재정립하고 국가 안보의 첨병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라는 취지라고 생각한다.


국정원의 전신인 중앙정보부는 19615·16 군사 정변을 계기로 출범했다. 1965년부터는 공채 제도를 도입해 조직을 문민화하고 국내외 및 북한 정보와 대공 수사 분야 등에서 전문성을 강화하면서 국가정보기관으로서의 면모를 갖춰 나갔다. 이로 인해 정권 교체기마다 숱한 존폐 위기 속에서도 정체성을 지켜나갈 수 있었다. 그렇지만 그 태생적 굴레는 쉽게 벗을 수 없었다. 조직 내에는 대통령 직속기관으로서 정권 안보에 충실해야 한다는 문화가 남아 있었고, 역대 모든 정권은 겉으로는 탈()정치, 정치 중립을 외치면서도 이를 활용하려는 유혹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런 와중에도 국가 안보의 최후 보루라는 본연의 역할을 망각하지 않고 대공 전선에서 숱한 공을 세웠음은 물론, 탈냉전 시대 다극화된 국제 질서 속에서 안보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했다. 국력의 바로미터가 첨단 기술력과 직결되리라는 것을 예견하고 1989년부터 산업보안팀을 꾸려 산업스파이 대응의 구심점 역할을 했는가 하면, 2004년에 국가사이버안전센터를 설립해 사이버 안보의 토대를 구축해 온 것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여기서 만족해서는 안 된다. 신임 국정원장 부임을 계기로 더 이상 정치권에 휘둘리지 말고 진정한 국민의 정보기관으로 거듭나야 한다.


오늘날 세계는 미·중 갈등에서 촉발된 신냉전 시대 도래와 함께 동북아를 비롯해 유럽과 중동 등에서 서방과 반()서방 세계가 충돌하는 국제 정세의 커다란 변곡점을 맞고 있다. 이런 변화의 격랑 속에서 대한민국을 지켜내고 통일을 이뤄낼지가 민족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다. ()한말 외부 세계의 변화를 읽지 못하고 국토를 유린당한 전철을 다시는 밟지 말아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국정원은 이번에도 위기를 기회로 삼아 국가 안보의 블루오션 개척에 나서야 할 것이다.


가장 시급한 것은 국내 보안 정보 활동 중단의 공백을 메우는 일이다. 남북이 대치하고 있는 한반도의 특수한 안보 상황과 탈냉전 이후 산업스파이, 테러리즘, 사이버 테러, 국제 범죄와 같은 초국가적 안보 위협이 가중되는 글로벌 환경을 고려할 때 북한, 해외, 국내를 아우르는 정보의 시너지 효과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문재인 정부에서 폐지한 국내보안정보 부서를 복원하기에는 정치적 부담이 크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정보기관 직원이라면 직급과 직무와 무관하게 누구라도 일정한 수준의 정보 마인드와 네트워크가 있는 만큼 이를 잘 엮어낼 것을 제안한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가 된다.


또한 지난 정부에서 약화된 대북 휴민트를 조속히 복원해 이번에 이스라엘 모사드와 같은 정보 실패를 답습하지 말아야 한다. 정보 차단의 원칙에 연연하다가 9·11 테러를 당했던 미국을 교훈 삼아 군·경찰 등 부문 정보기관과 유기적 협력 체계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만 잘 갖춘다면 대공 수사권 복원이 여의치 않은 현실에서 이에 따른 안보 공백을 해소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기업, 언론, 내각과 정보기관이 네트워크를 구축해 일종의 정보 신경망이 연결되어 있는 일본을 벤치마킹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그렇다고 과거 권력기관 향수에 젖어 정권 해바라기를 하거나 일반 부처에서 잘하고 있는 레드오션에 매달리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국내외에 첩보망이 구축된 정보기관만이 할 수 있는 일, 국가 안보와 국익 수호를 위한 일에서 경쟁력을 갖춰 나가 국민이 신뢰하는 기관으로 재탄생해야 한다. 북한의 위협이 상존하는 가운데 탈냉전을 거쳐 신냉전 시대를 맞아 국제 질서가 소용돌이치고 있는 엄중한 현실에 국가 정보기관의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opinion/contribution/2023/12/27/R72TNXZWDRFOFHDYVHY66NEEVI/?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481

고척 스카이돔서 ‘서경대 데이’ 이벤트 성황리에 열려 file

넥센 후원해 온 서경대, 6월 23일(금) 넥센 - 엘지 전 택해 개교 70주년 기념 다양한 행사 가져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지난 6월 23일(금) 오후 6시 30분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펼쳐진 넥센 히어로즈와 엘지 트윈스의 ...

북한산 국립공원을 캠퍼스로 둔 서경대학교 – 북악관 뒷길 산책로와 북한산 둘레길을 따라 봄의 향연을 즐기다 file

 북한산 둘레길로 이어진 청운관 뒤쪽 산책로에 벚꽃이 만발했다. 북한산 국립공원을 캠퍼스로 둔 4월의 서경대학교는 봄의 향취로 가득하다. 북악관, 문예관, 대일관 뒷편, 북한산 둘레길과 연결되어 있는 산책로에는 벚꽃이 흐...

서경대 "글로벌 리더, 함께 만듭시다"_씨티신문 2007. 11. 5

위재송 소장, 서경대 도시공학과 교수 임용 file

위재송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위재송 도시건축 소도 부설 경관과도시연구소 소장이 지난 9월 1일부로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로 임용됐다. 위 교수는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생태조경학과에서 조경학...

세계 미용예술가들의 경연대회인 ‘스타킹 월드뷰티 콘테스트’ 서경대 후원으로 4월 29일(토) 오후 3시 본교 수인관에서 열려 file

▲ 스타킹 월드뷰티 콘테스트 홍보 포스터 한국업스타일전문가협회(회장 한성진)가 주관하는 스타킹 월드뷰티 콘테스트가 서경대 후원으로 4월 29일(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본교 수인관에서 개최됐다. 전국 미용예술가...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 'Modny' 주제 제4회 졸업패션쇼 성황리에 막 내려 file

6월 14일(금) 오후 4시 · 7시 서경대 본관 8층 컨벤션홀서 모델연기전공 졸업패션쇼 피날레 모습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주임교수 강신)의 제4회 졸업공연(패션쇼)이 6월 14일(금) 오후 4시, 7시 두 차례 서경대 ...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2018 인생나눔교실」 멘토봉사단 공통교육 및 발대식 개최…힙합듀오 지누션의 가수 ‘션’ 초청해 제1회 인생더하기 특강도 열어 file

4월 24일(화)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서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센터장 김범준 부총장)는 4월 24일(화) 오전 10시 서경대학교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인생나눔교실 멘토 봉사단 단원들을 대상으로 공통교육 및 발대식을 개최했다. ...

<인터뷰> 황선만 서경대 동아리 연합회 회장 - ‘소통’과 ‘친화’로 동아리 활성화…학교생활의 질도 높아져 file

▲ 동아리 알림제날 중앙에 동아리 연합회 회장과 동아리 연합회의 모습 “동아리 연합회와 더 많은 소통을 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회의 때 뿐만 아니라 건의사항이나 의견이 있으면 동아리 연합회에 적극적으로 개진해 주십시...

[구자억 인성교양대학장 기고] 대학교육 혁신의 길 file

구자억 인성교양대학장 한국대학이 흔들리고 있다. 학생 수 감소로 대학존립이 어려워졌다. 세간에서는 100개 이상의 대학이 문을 닫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정부도 평가를 통해 대학정원을 조정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재정...

대학별 반영 교과목 수·비중 달라… 내 성적에 ‘최적’ 학교 체크 file

수시 학생부교과전형 지원 팁 / ‘국·영·수 + 사 or 과’ 4과목 반영이 대세 / 덕성여대, 문·이과 계열별 수·국 미반영 / 광운대, 2·3학년때 성적 반영 비중 높아 / 고대·서울시립대·서울교대 전 과목 봐 / “당락 점수差 대...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