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1124() 교내 문예관 문예홀서 열려



실용무용전공 졸업공연 One & Only(1).jpg


서경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예술학부의 실용무용전공 1기 학생들의 졸업 공연이 ‘One & Only’라는 주제로 지난 1124() 오후 630분 교내 문예관 문예홀에서 다채로운 무대를 선보였다.


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1기 학우들은 코로나 19가 터지던 20203월에 입학해 대학생활 절반 이상을 힘들게 보냈다. 무용예술학부의 특성상 실기 위주의 대면 수업이 주를 이뤄야 함에도 언택트 상황이 지속되고 공연을 할 수가 없어 여러 가지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다.


코로나 19 펜데믹이라는 엄중한 상황에서도, 그리고 그후 길지 않은 대학생활 동안 열정과 투혼으로 자신들의 전문 지식과 기량을 갈고 닦으며 전문 무용수로서 성장, 이제 졸업을 앞둔 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1기 학우들의 그동안의 분투와 노력, 향후 여정에 박수와 응원을 보낸다.


‘One & Only’는 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1기 졸업생 김정은(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김현(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박담희(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안가은(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유현아(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전제니(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조한나(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를 중심으로 무대를 꾸몄다.


공연에 앞서 팸플릿에 전공 교수님들의 축사를 실었다. 박성진 주임교수님은 “4년전 설레고 수줍은 마음으로 대학생활을 시작했던 제자들이 이제 또다른 시작을 하려고 합니다. 인생에 있어서 큰 가치는 결국 한번뿐인 삶을 소중하고 의미있게 보내는 것임을 잊지 말고, 그러기 위해서는 타인이 바라는 삶이 아닌 자신이 무엇을 원하고 꿈꾸는지 끊임없이 자신과 대화하며 살아가야 된다는 것입니다. 인간의 삶에서 예술이 없다면 오감을 느낄 수 없는 생명과 같을 것입니다. 이렇게 소중한 의미를 갖는 예술을 창작하고 사람들과 공유하는 가장 멋있고 창의적인 신진 예술가로서 앞으로 더욱 정진하기를 바랍니다. 아쉬움과 미련은 뒤로 하고 여러분의 찬란한 미래를 위해 최선을 다해 달려가시고 숨이 차거나 힘이 들 때 한번씩 우리가 함께했던 행복했던 순간들을 기억하는 따뜻한 마음도 잊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미래를 축복합니다. 감사합니다.”라고 말씀을 전했다.


, 천성욱 전임교수님은 “‘하면 된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하기 싫은 일을 반복하면 할 수 있는 일이 되고 할 수 있는 일을 반복하면 쉬운 일이 되고 쉬운 일을 반복하면 쉽지 않은 일이 되고, 쉽지 않은 일을 반복하면 그것이 바로 내가 됩니다. 서경대학교 실용무용 첫 번째 제자들이 드디어 스스로의 모습을 찾아 세상으로 나아갑니다. 찾아오신 소중한 여러분의 많은 격려와 응원 부탁드립니다.” 라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김수정 겸임교수님은 한명 한명 모두 보석 같은 소중한 우리 4학년 친구들. 그동안의 뜨거운 열정과 땀방울로 오늘을 만들어냈습니다. 아름다운 우리 4학년 친구들에게 사랑과 응원을 보냅니다! 졸업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라며 말씀을 전했다. 학생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함께 땀 흘리고 노력을 지켜봐오신 교수님들의 애정 담긴 말씀들이었다.


실용무용전공 졸업공연 One & Only(4).jpg


‘One & Only’는 양혜민(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2학번) 학생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첫 순서로 김정은(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학생의 <Open your ears>가 진행됐다. 경쾌한 클래식 음악과 다양한 리듬이 함께 어우러지는 탭댄스 무대로 탭댄스의 매력이 잔뜩 묻어나 함께 보고 듣고 즐길 수 있는 무대였다. 다음으로는 박담희(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전제니(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학생이 2년 전 함께 췄던 안무를 리메이크해 다시 선보인 <two flavors> 무대였다. 2년 전과 지금 춤의 맛을 모두 표현했고, 서로 좋아하는 음악과 움직임으로 그동안 맞춰온 합을 선보였다. 세 번째로는 김현(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학생이 <아지트>란 제목으로 4년 동안의 학교를 자신만의 아지트로 표현했다. 네 번째로 조한나(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학생은 현재 추구하는 자신만의 춤의 방향성과 이상향을 상자라는 소품을 통해 자신만의 스타일로 표현한 <My dream in a box>라는 작품을 선보였다. 안가은(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학생은 <파동>이라는 제목으로 여러 다른 학생들과 함께 공간의 한 곳에서 시작된 진동이 퍼져나가는 현상이란 단어의 의미와 같이 자신으로부터 시작된 파동이 오래도록 퍼져가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준비한 무대를 꾸몄다. 유현아(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학생은 일곱 번째 순서로 <자아개념 自我槪念>을 주제로 나는 어떤 사람인가?’ 사람이 성장하면서 겪는 모순이라는 감정을 표현했다. 사회에 나가기 전, 자신의 내면과 사회적 기대 사이에서 자기 정체성에 대해 고민했던 경험에서 비롯된 작품으로 자기모순을 인지하면서 스스로 자신에게 답해주는 과정을 담아냈다. 이외에도 1기 졸업생들의 다양한 조합과 다양한 장르로 준비한 무대들이 이어졌다. ‘One & Only’의 마지막 순서는 실용무용전공 1기 학생 전체가 <해방>이라는 제목으로 무대를 꾸몄다. ‘해방이라는 주제를 이중적인 의미로 표현해냈다. 첫 번째 해방바다 해()‘를 사용해 바다라는 자연에서 영감을 받았고, 두 번째 해방은 사전적 정의를 사용하여, 학교라는 공간을 떠나 자유로이 나아가는 자신들의 모습을 담아내 4년간의 여정의 마침표를 찍는 무대라고 소개했다.


실용무용전공 졸업공연 One & Only(2).jpg


‘One & Only’를 준비한 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1기 학생들은 각자 끝마친 소감을 짧게 전했다. 김정은(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학생은 입학하고 코로나 19 때문에 2년 동안은 학교 생활을 제대로 즐기지 못 해서 아쉬움이 남지만 그래도 4년 동안 후회없이 학교 생활을 한 것 같아 뿌듯합니다. 대학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대학축제, 협업공연, 찬조공연, 정기공연, 행사 mc, 학생회 모든걸 다 해보고 졸업 할 수 있어서 후회는 없습니다!”라고 전했고, 김현(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학생은 “4년의 서경대 생활, 많은 의미가 있었고 재미있었습니다. 졸업해서 신나네요ㅎㅎ라고 말을 전했다. 박담희(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학생은 “4년간 많은 일들이 있었지만 지나고 보니 다 좋은 추억으로 남은 것 같습니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길었던 시간동안 소중한 인연들을 만났고 즐거운 추억들을 쌓을 수 있어서 행복했습니다.”라고 말했다. 안가은(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학생은 학교에서의 마지막 공연을 끝내니 드디어 졸업이라는 게 실감이 납니다. 함께한 4년의 시간이 모두에게 소중한 경험으로 남길 바라며, 이제는 각자의 길에서 최선을 다할 우리 동기들에게도 응원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라고 했다. 유현아(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학생은 졸업공연을 무사히 마무리 할 수 있어 감사했습니다. 졸업 후에도 목표를 향해 꾸준히 나아가는 나이길 바라며 서경대에서의 마지막을 함께 해주신 관객분들과 도움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하다고 전하고 싶습니다.”라며 소감을 전했다. 조한나(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20학번) 학생은 비운의 코로나 19 학번 이지만 그래도 이겨냈습니다..ㅎㅎ 후회 없는 서경에서의 4, 많이 힘든 만큼 행복했습니다.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1기 파이팅!”이라고 전했다. 4년의 학교생활 마지막 공연을 무사히 끝마쳤다.


실용무용전공 졸업공연 One & Only(3).jpg


<홍보실=이세인 학생기자>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125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학과 교수 칼럼: 온라인 금융 플랫폼의 확대와 전망 file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 후 금융회사 간 경쟁 치열 투자 혹은 경제원칙에 ‘공짜 점심은 없다’라고 해서 반드시 어떠한 혜택이나 이익이 있으면 그에 상응하는 대가가 따른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공짜 점심은 없지만 같은...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4학년 김하늘 학생, (사)보훈무용예술협회가 주최하는 ‘2023 올해의 예술상 시상식’에 참가해 ‘2023 올해의 대학인상’ 수상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4학년에 재학 중인 김하늘 학생은 사)보훈무용예술협회 주최로 12월 17일(일) 라마다 서울 동대문 Ballroom에서 열린 ‘2023 올해의 예술상 시상식’에 참가해 ‘2023 올해의 대학인상’을 ...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 ‘최현춤전 2023 시서화로 만나는 최현’에 참가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은 지난 12월 1일부터 3일까지 3일간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열린 ‘최현춤전 2023 시서화로 만나는 최현’에 참가했다. ‘최현춤전 2023 시서화로 만나는 최현’은 故최현 선...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 (사)한국춤협회가 주최하는 ‘고무신 춤축제’ 참가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은 지난 9월 14일부터 15일까지 2일간 서울아트센터 도암홀에서 열린 (사)한국춤협회 주최 ‘2023 고무신 춤축제’에 참가했다. 수도권 소재 14개 대학이 학교별로 팀을 ...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 (사)대한무용협회가 주최하는 ‘제44회 대학무용축제’에 참가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은 지난 9월 9일부터 10일까지 2일간 서울어린이대공원 능동 숲속 무대에서 열린 (사)대한무용협회 주최 ‘제44회 대학무용축제’에 참가했다. 올해로 44회째를 맞이한 대학무용축제...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기획재정부가 주최한 ‘신성장 4.0 숏폼 공모전’ 대상(부총리상) 수상 file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학과장 김문기 교수) 2학년 송유진, 1학년 이윤희, 이준호 총 3명으로 구성된 AD_leave(애드리브) 팀이 기획재정부가 주최한 ‘신성장 4.0 숏폼 공모전’에서 대상(부총리상)을 수상하였다. 12월 ...

서경대 중국 베이징정보기술과학대와 교육 교류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는 22일 오후4시 서경대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중국 베이징정보기술과학대와 교육 교류와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MOU)를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서경대에서 김범준 총장, 김동휘 글로벌언어문화교육원 원장, 신재원 경...

[아유경제_사회] 서경대학교 이관수 교수 2023 대한민국 사회발전 대상 수상 file

▲ 이관수 서경대학교 교수, 2023 대한민국 사회발전 대상 수상. 서경대학교 정책디자인센터 이관수 교수가 노동위원회 심판 법리에 대한 연구 및 노사분쟁해결연구소 소장으로서 노사간 분쟁 완화에 대한 연구 및 세미나 개최...

용산구의회, 의원연구단체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file

▲ 용산구의회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용산구의회(의장 오천진)는 12월 20일 용산구의회 제1회의실에서 「중도장애인 권리보장을 위한 연구단체(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산구의회 대기환경연구회(딥비전스)」, 용산비전기획(서...

헥토그룹, AI 관련 인재 육성 및 사내 역량 강화 file

AI 과제 멘토링 맡은 서경대 SW학과 학생 초청해 프로젝트 발표회 진행 '서경SW아카데미' 프로젝트 발표회  헥토그룹은 인공지능(AI) 관련 인재 육성 및 사내 역량 강화와 서비스 개발 등 경영 전면에 'AI 퍼스트'를...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