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日 홍백가합전과 K팝의 활약[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jpg


일본 젊은이들에게 K콘텐츠는 동경 그 자체다. 올해 9월 일본 후쿠오카에서 우연히 고교생 손녀와 같이 다니는 60대 여성을 만났다. 우리는 버스를 놓쳐 전철을 타러 가면서 자연스럽게 이야기하게 됐다. 내가 한국에서 왔다는 걸 알자마자 고교생 손녀의 눈은 빛나기 시작했고, 한국어를 독학하고 있다며 내게 친근하게 말을 걸기 시작했다. 그녀의 모습에서 나는 일본 젊은이들에게 K콘텐츠의 무게를 짐작했다.


지난달 13, 올해 일본 가요계를 총결산하는 NHK 방송 74회 홍백가합전(紅白歌合戦)’44팀의 출전진이 발표됐다. 그중에 K팝 그룹 4, 그리고 K콘텐츠 그룹 2팀이 선발되어 주목받고 있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NHK 홈페이지에 따르면 출연진은 그해 앨범 매상, 인터넷 다운로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 대한 조사, 라이브 및 콘서트 실적 등 활약한 성적과 여론조사를 통해 엄격하게 선발한 것으로, 6팀의 선정은 일본 사회에 K팝이나 K콘텐츠가 생각 이상으로 정착된 것을 짐작하게 한다.


6팀 중 여성 그룹은 르세라핌, 미사모, 남성 그룹은 스트레이 키즈, 세븐틴이다. 니쥬는 9명 중 8명이 일본인이며 제이오원은 멤버 11명 모두 일본인이기 때문에 K팝이나 J팝으로 구분하기 어렵지만 K콘텐츠에서 유래된 현지화된 그룹이기 때문에 같이 논하기로 하겠다. 나는 실은 처음에는 이 그룹의 반도 몰라 당황스러웠지만, 직접 영상을 보고 한 번 더 놀랐다. 빛나는 퍼포먼스에 압도당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후쿠오카에서 만났던 10대 소녀를 떠올리게 됐다.


홍백가합전은 1951년에 시작한 일본의 장수 방송으로, 매년 1231일 저녁에 홍팀과 백팀으로 나뉘어 선발된 가수들이 실력을 겨루는 프로그램이다. 1980년대 중반까지는 80% 전후의 시청률을 유지했을 만큼, 양력설을 지내는 일본에서는 한 해를 마무리하는 연중행사와도 같은 방송이다. 요즘 시청률은 40%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지만, 그 대신 다양한 온라인 매체를 통해 접할 수 있게 되어 여전히 여러 세대를 아우르는 인기를 확인하는 상징적인 방송임에 변함이 없다.


한편 한국인 가수들의 홍백가합전 출연 역사는 짧지 않다. NHK 홈페이지에 따르면 1987년 조용필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이어졌고, 특히 많은 가수가 출연한 해는 19894(조용필, 계은숙, 김명자, 패티김), 20043(보아, 이정현, Ryu), 2022년에는 K콘텐츠 그룹까지 포함한다면 5그룹이 출연했다. 올해는 2022년에 이어 모두 그룹으로 K콘텐츠로 넓게 본다면 가장 많이 출연했다고 볼 수 있다.


이번에 선발된 그룹 중에는 한국에서 활동한 일본 여성 아이돌이 눈에 띄는데, 그들의 자신감 넘치는 퍼포먼스는 일본 젊은이들을 매료시키며 그들의 롤모델이 됐다. ‘미사모트와이스의 멤버 9명 중 일본인인 미나’, ‘사나’, ‘모모로 구성된 3인조 유닛이다. 그리고 르세라핌멤버 5명 중 2명의 일본인 사쿠라카즈하가 그렇다. 202012월 일본에서 데뷔했고, 올해 10월 한국에도 데뷔한 니쥬는 일본인의 귀여운 매력과 K팝의 힘이 넘치면서 완성도 높은 무대를 보여주며 성공적으로 현지화가 이뤄졌다.


또한 자니스 그룹의 부재로 인한 남자 아이돌 가수의 빈자리를 K콘텐츠 가수들이 톡톡히 채워주고 있다. 올해 일본 연예계의 큰 이슈는 자니스 소속사 사장을 지낸 자니 기타가와의 연습생 성폭력 파문이다. 이로 인해 오랫동안 남자 아이돌의 자리를 독차지해 온 자니스 소속 출신 가수들이 이번 홍백전에서 모두 제외됐다. 실제로 자니스 소속 아이돌이 선발되지 않은 것은 1979년 이래 44년 만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빈자리를 스트레이 키즈, 세븐틴, 제이오원이 멋진 노래와 퍼포먼스로 채워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이제 K팝이냐, J팝이냐를 구별해서 우열을 다투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으며, 오히려 현지화를 통해서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는 더 많아질 것이다. 중요한 것은 널리 다양해지는 K콘텐츠에 대응하는 일일 것이다. 이번 홍백가합전을 통해 K콘텐츠가 일본 가요계에도 정착해 가는 모습을 보게 된다. 일본에서 K콘텐츠의 우수성은 이미 젊은이들뿐만 아니라 대중문화를 향유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서로 새롭게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올해 홍백가합전에서 K콘텐츠의 활약이 기대된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31130/122431594/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937

서경대학교 · 국제프로스키지도자협회(ISA), 공동 업무협약 체결 file

19일, 2월16일 엘리시안강촌 스키장에서 자격 검정 실시 검정 통과되면 국내외 스키 및 스노보드 강사 자격 주어져 김재환(오른쪽) 서경대학교 스포츠엔테크놀리지학과장과 김황한 ISA 협회장이 업무협약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

[교육이 미래다]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우선협상’‘교육국제화역량 우수 인증’ 대학 선정 file

서경대학교 서경대는 대학 내 학습·취업 종합서비스센터 ‘CLC ZONE’을 만들어 취업과 창업에 관련된 다양한 상담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서경대학교는 최근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4년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우선협...

‘2024학년도 서경대학교 신입생 문화제’ 성황리에 개최 file

2월 26일(월), 27일(화) 이틀간 교내 수인관서 총학생회 주관으로, 단과대학 및 각 학과의 오리엔테이션 진행 교내 동아리들의 공연도 선보여 서경대학교 제52대 한숲 총학생회(총학생회장 김종휴, 부총학생회장 서재완)는 2월 ...

‘서경대학교 디자인학부 생활문화디자인전공 제29회 졸업작품전시회’ 성황리에 개최 file

10월 25일(수)부터 10월 29일(일)까지 5일간, 대학로 서경대 공연예술센터서 서경대학교 디자인학부(학부장 김지인 교수) 생활문화디자인 전공의 제29회 졸업작품전시회가 10월 25일(수)부터 29일(일)까지 5일간 매일 오전 10시부터...

[2024 정시특집] 서경대, 취업률 4년 연속 ‘톱10’, 질도 ‘우수’…교육혁신•산학협력•인프라 확충 지속 추진 file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 메커니즘 활용 마일리지 장학금과 서경엘리트(국가고시)장학금 지급 서경대 전경.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융복합 시대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혁신, 산학협력...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 성북구 2023 시니어멘토링 「인생상상 멘토링」 성료 file

9월부터 12월까지 6명의 멘토와 30명의 멘티가 만나 54회차에 걸친 멘토링 진행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는 성북구 2023 시니어멘토링 ⌜인생상상 멘토링⌟ 사업의 전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

광고홍보콘텐츠학과 이인애 학우, ‘글로벌 실용 일본어’ 주제로 서경대학교 인성교양대학 주최 ‘2023 내 인생을 바꾼 교양 교과목 수기 공모제’서 ‘대상’ 수상···이인애 학우 인터뷰 file

코로나 19 사태가 종식되고 대부분의 학교 수업이 비대면에서 대면으로 전환되면서 학사 운영에 또 하나의 변화가 있었다. 우리 대학은 2023학년도 2학기부터 강의 정원의 30%까지 A+~Ao등급을 부여할 수 있도록 성적평가 방식을...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제1회 졸업공연 ‘one & only ’ 성황리에 개최돼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이 주최하는 2023년 2학기 졸업공연 ‘one & only’가 11월 24일(금) 오후 6시 30분 서경대학교 문예관 문예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날 졸업공연은 총 11팀(힙합, 코레오...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칼럼: 北 총선 개입 공작에 총력 대응할 때다[문화논단] file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前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2018년 영국에서 출간돼 베스트셀러에 올랐던 ‘스파이와 배신자’는 냉전 당시 소련의 국가보안위원회(KGB) 스파이였지만 영국 정보기관인 MI6에 협조한 올레크 고르...

외국인 비율 내년 5% 돌파…'다인종·다문화 국가' 준비됐나? file

이주민 남녀 8명의 눈에 비친 대한민국 장세정 논설위원 장·단기 체류 외국인이 지난 9월 말 251만4000명으로 전체 인구(5137만 명)의 4.89%를 차지했다. 내년에 ‘다인종·다문화 국가’ 기준 5% 돌파가 예상된다. 극심...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