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기수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교수.jpg

서기수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교수


왜 그렇게 많은 금융기관과 스타트업 기업들이 지급결제(Payment)시장에 뛰어들어 시장을 선점하려고 할까? 투자, 송금, 저축, 대출, 자산관리 등 다양한 디지털금융 서비스 중에 유달리 지급결제(Payment) 시장이 뜨거운 이유를 살펴보자.

 

오늘도 몇 번의 결제를 했다. 아침에 산책하며 집 근처 편의점에서 음료수를 샀고 출근을 할 때 지하철요금을 'XX페이'로 지불했고 점심시간에 구내식당에서 'XX페이'로 결제했다. 한나절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벌써 이 정도니 일반적으로 한 사람이 하루에도 최소한 한번 이상의 결제업무를 진행한다고 봐도 무방하겠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가장 밀접하게 사용되고 있는 금융서비스가 바로 '지급결제' 서비스인 것이다.

 

지급결제 서비스는 고객들이 현금, 수표, 신용카드, 증권 등의 다양한 지급수단을 이용해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채권, 채무 관계나 결제거래를 해소하는 행위로 지급, 청산, 결제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금융기관들이나 스타트업 기업들이 지급결제 시장을 선점하려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일단 결제자금의 확보를 통한 저비용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금융기관의 경우 현금이나 계좌이체, 신용카드, 직불카드, 전자화폐나 채권 등을 통해서 선불 혹은 후불결제(BNPL : Buy Now Pay Later)서비스를 진행함에 있어서 고객의 결제자금을 저비용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금의 운용을 통한 대출이자와의 차이 수익인 예대마진 외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스타트업의 경우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개인 고객들에 대한 주요 소비 채널과 결제방법 및 자금 운용 규모 등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개인 신용관리와 자산관리의 마케팅 수단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고객 정보를 은행, 저축은행, 캐피탈 등의 여신업무 취급 금융기관과 신용카드사나 보험회사에 판매할 수 있다.

 

이처럼 지급결제 시장의 중요성과 비중이 늘어나고 있고 비대면, 모바일 결제업무 관련 업계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관련 입법은 아직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20207월 금융위원회 '디지털 금융 종합 혁신 방안' 발표 이후 후속 조치로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을 국회에 발의했지만 아직 진전이 없는 상태다.

 

최근에 착오송금, 신종 보이스피싱 등을 막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양방향(쌍방향) 전자금융 이체를 도입하는 법 개정안이 발의됐고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 등이 그나마 진행이 된 정도이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적인 트렌드는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모바일 결제의 급속한 확대로 모바일 지갑 및 결제 앱과 같은 모바일 결제 솔루션은 계속해서 인기를 얻고 있고 비대면, 비접촉 결제가 활성화 아니 보편화되고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 및 이커머스 플랫폼은 전 세계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고 금융 기술(핀테크) 기업은 혁신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결제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결제 산업을 무너뜨리고 있다.

 

이제는 비트코인을 필두로 한 암호화폐가 많은 주목을 받으며 점점 더 많은 기업에서 결제 수단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각국 중앙은행은 결제 및 처리 방식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의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이는 전 국민들의 일상생활에서의 결제와 돈의 흐름을 파악하겠다는 것이고 세수확대로까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조만간에 상용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사이버 범죄의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결제 서비스 제공업체는 소비자 데이터를 보호하고 사기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 조치에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 디지털 거래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고급 인증 방법, 생체 인식 및 토큰화가 구현되어야 한다.


지급결제시장의 조속한 규제완화와 정책적인 성장촉진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지급결제 시장에도 메기를 여러 마리 풀어서 디지털금융시장 전체의 성장을 바라는 마음이다.


<원문출처>

아시아투데이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3071801001024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669

[한국행정법학회 행정판례평석] ②「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역학조사거부죄의 유무죄 판단과 위법성 판단 file

 성봉근 서경대 교수  Ⅰ. 판례평석의 배경과 쟁점의 소재 코로나 사태를 통하여 우리 사회에 많은 자유에 대한 제한 현상이 행정을 통하여 나타나고 있다. 특히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역학조사를 둘러...

[2023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서울 성북구에 있는 인간미 넘치는 동네책방 ‘호박이넝쿨책-야책’ file

김정훈 호박이넝쿨책-야책 대표(지역 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선정기업) -마을잡지 ‘정릉야책’ 발행하고 다수의 극 공연을 진행 -7개의 낭독모임이 활동, 인간적인 관계가 만들어져   호박이넝쿨책-야책은 서울 성북구에 있...

[2023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있는 커피원두 납품 전문기업 ‘더듀얼로스터즈’ file

정진현 더듀얼로스터즈 로스터(Green 성북 캠페인 선정기업) -직화식 로스터와 반열풍식 로스터를 사용해 원재료의 개성을 살려 -에티오피아, 케냐 등 해외 커피산지를 직접 방문해 품질을 확인 더듀얼로스터즈는 서울 성북구...

구자억 서경대 혁신부총장, '메타버스 유니버시티‘ 출간 - 메타버스가 대학4.0을 연다. file

서경대 혁신부총장인 구자억 교수가 관련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최근 '메타버스 유니버시티'를 펴냈다. 동문사에서 출판된 이 책은 메타버스의 핵심요소와 기술,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메타버스와 대학의 미래 등 메타버스 시...

2023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 평가..고대 한양대 이대 시립대 건대 성신여대 등 13개교 ‘우수인증대학’ 선정 file

4년제 일반대학 98개교 선정.. ‘비자발급 절차 간소화 등 혜택’ 2023년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IEQAS 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 평가에 120개 고등교육기관이 인증을 받았다. 이 중 4년제 일반대학...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학과 교수 칼럼:[서기수 교수의 성공투자 법칙②] 내가 보기에도 내가 부자가 될 수 있겠는가? file

솔직히 부자가 되는 방법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모두 알지만 실천이 어려울 뿐이다. 일단 최초로 종잣돈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그리고 그 종잣돈을 밑천으로 남들보다 훨씬 높은 수익률을 내는 투자를 하면 된다...

유튜브 채널 ‘소민거리’의 첫 동영상 조회수 6.6만 회 기록한 서경대학교 교내 동아리 ‘브랜딩 클럽’의 총괄 PD 손윤이(헤어메이크업디자인학과 20학번) 학우 인터뷰 file

서경대학교 교내 동아리 ‘브랜딩 클럽’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소민거리’의 첫 번째 동영상이 6.6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유튜브 채널 ‘소민거리’는 진행자가 패널들과 함께 20대의 고민에 대해 ...

서경대학교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바이오파마와 미용예술분야 산학협력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학과장 김은숙)는 ㈜바이오파마(대표 최승필)와 2월 28일(화) 오전 11시 서경대 유담관 5층에서 미용예술분야 산학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서경대학교 뷰티테라피...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 주최 ‘S-Learning Contest’ 성황리에 끝나···‘대상’ 수상자 인터뷰 file

<1> ‘우수강의 수필 공모전’ ‘대상’ 메이크업디자인학과 김민주 학우 <2> ‘프레젠테이션 뽐내기 공모전’ ‘대상’ 컴퓨터공학과 강희정, 오정은, 황유현 학우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원장 이지나 교수)이 1월 한 달 동안 ...

[2023추가모집] 의학계열 30명 최종 경쟁률 ‘294.8대1’.. '인서울' 24개교 ‘81.85대1’ file

시립대 262.6대1 ‘최고’.. 중대 184.32대1, 상명대 179.13대1 톱3 2023추가모집 의학계열 최종 경쟁률은 294.8대1로 마감했다. 30명 모집에 8845명이 지원한 결과다. 올해 의대 4개교, 약대 11개교, 한의대 4개교, 수의대 3개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