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추사와 후지쓰카를 통해 이어지는 한일친선교류.jpg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이즈미 지하루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경기 과천시 추사박물관이 개관 10주년을 맞이해 후지츠카와 난학(蘭學)’이라는 제목으로 특별기획전을 개최하고 있다. 전시 첫째 날인 이달 3, 나는 그곳으로 전시를 보러 다녀왔다.

 

나는 한국 문화와 예술에 흥미를 가져 25세 때 한국에 와서 공부해 왔지만 계속 다가가지 못한 분이 있었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다. 글씨는 조금의 빈틈도 없어 보이고, 학문은 난해해서 감히 가까이 가는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런 나에게 기회가 온 것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202011월부터 열렸던 추사의 세한도특별전이었다. 그 전시에서는 추사의 연구자이며 추사를 사숙하는 학자로 일본인 후지쓰카 지카시(藤塚鄰·18791948)가 소개되어 있었다. 경성제국대 교수였던 그는 1936년에 추사 김정희 연구로는 최초로 박사학위를 받은 학자로, 1932년경부터 1944년경까지 세한도를 소장하기도 했다.

 

추사와 일본인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처음에는 의아하게 생각하다가 조사해 보면서 놀라웠다. 이런 중요한 인물을 놓치고 있었다니. 그러나 후지쓰카를 몰랐던 것은 나뿐만이 아니었다. 당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외신기자들을 앞에 두고 후지쓰카에 대해 프레젠테이션을 하는 기회가 내게 주어졌는데, 오랜 기간 한국에 머물렀던 기자들조차 이구동성으로 처음 들어본 이름이라 말했다. 나는 후지쓰카를 만남과 동시에 비로소 환갑이 되고서야 추사 선생에게 다가가게 된 것이다.

 

후지쓰카는 1940년에 경성제국대를 정년퇴임하면서 세한도를 가지고 일본으로 귀국했으나 한국에 돌려주었으며, 사후에 아들 후지쓰카 아키나오(明直·19122006)2006년 추사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부친이 수집한 추사 친필 26, 추사와 관련된 서화류 70여 점 등 1만여 점의 자료를 과천시에 기증했다. 아키나오의 기증은 2013년에 추사박물관이 개관하는 데 큰 힘이 됐고, 그 후 10년간 박물관을 통해 착실하게 학문적 성과를 쌓아가고 있다.

 

이번 후지츠카와 난학(蘭學)’에서는 후지쓰카 기증 유물 중 일본 에도(江戸)시대(16031868)의 난학과 후지쓰카 가문 자료를 통해서 후지쓰카의 생애와 학문을 살필 수 있다. ‘난학이란 에도시대에 주로 네덜란드(和蘭)에서 나가사키(長崎)를 통해 일본으로 전래된 서양의 의학과 과학 지식을 연구한 학문으로, 후지쓰카 가문은 난학을 통해 신학, 의학, 금석학 등 다방면에 걸친 학문적 성취를 보여주었다.


특히 내가 관심을 가진 것은 그가 대학 시절 리포트로 제출한 중용(中庸) 연구였고, 학사 학위 논문 또한 중용 연구였다는 점이다. 당시 앞서간 고증학적 방법론으로 접근하긴 했으나,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후지쓰카 가문에 소장된 난학 관련 자료, 그의 사상에 영향을 미친 중용, 평생 연구 주제로 삼은 논어, 그리고 청나라나 일본 유학자들에게도 인정받고 동아시아 학문적 교류의 파도를 일으킨 추사의 연구. 이번 전시를 통해 후지쓰카의 깊은 사상과 인간상을 엿볼 수 있었고, 그래서 후지쓰카가 추사에 공감했음을 납득할 수 있었다. 이렇게 나도 조금씩 추사 선생에게 다가가는 것 같아 기뻤다.

 

또한 6일에는 온라인으로 추사박물관과 국립중앙박물관을 연결해서 일본의 센다이(仙臺)총영사관과 도호쿠가쿠인(東北学院)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추사와 후지쓰카를 매개로 21세기 한국과 일본의 우호친선교류에 대한 세미나에 참여했다. 추사박물관과 추사 연구가 국제적으로도 주목받고 있음을 실감하는 시간이었다.

 

한편 20212, 우리 집에 두 마리의 고양이가 입양됐다. 그중 한 마리를 추사의 대표적인 난초 그림 불이선란도(不二禅蘭圖)’에서 이름을 따와 불이(不二)’라고 지어줬다. 그는 내가 다가가면 피하곤 하지만, 어떨 때면 무심코 곁에 다가와 몸을 비비고는 스르륵 사라진다. 이른바 츤데레 고양이인데 난해한 매력을 지닌 우리 집의 아주 작은 추사.

 

추사박물관은 경기 과천시 주암동, 추사 선생이 말년 4년간을 지낸 곳에 있다. 2007년에는 선생이 살았던 과지초당(瓜地草堂)’도 복원해 건축되었다. 현대적인 디자인의 박물관 옆에 세워진 아늑한 한옥 집으로 두 곳이 조화를 잘 이루어 평온함을 준다. 속된 세상에 사는 나에게는 성지와 같은 곳이다. 추사의 학문을 기리며 후지쓰카 부자의 뜻도 떠올리면서 올여름 나들이를 과천에서 즐겨 보는 것은 어떨까. 감히 추천해 드리고자 한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30608/119684576/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676

[서경대 MFS] MY Bank "중국“ file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위...

전규열 서경대 교수, 길음사회복지관에 올해 2번째 기부 file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공감신문 대표이사)가 28일 서울 성북구 길음종합사회복지관에 100만원 상당 상품권을 전달했다.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공감신문 대표이사)가 28일 오후 서울 성북구 길음종합사회복지관...

서경대 진로취업지원센터, 현직자 초청 직무 집중 Career Challenge Campus 프로그램 성료 file

- 11월 6일(월)부터 23일(목)까지 3주간 총 21개 프로그램 성황리에 진행 - 대기업 현직자 및 동문 선배 초청, 직무 이해와 취업 준비 방향성 제시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진로취업지원센터는 11월 6일(월)부터 11월 23일(목)까...

[서경대 MFS] 해외 인터넷 전문은행 "Synchrony Bank" file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

[기획] 전환과 확장의 시기, 이오엔터테인먼트의 2023 창의인재동반사업 우수 프로젝트 사업화 지원사업 file

영화뿐 아니라 드라마 업계 또한 위축된 요즘 같은 때에 글 작업에만 몰두하던 신인 작가, 감독들의 위기감은 커져간다. 이들은 꽁꽁 얼어붙은 시장에 진입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2023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 우수 프로젝트 ...

전순희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교수, (사)대한무용협회 ‘크리에이티브 아티스트상’ 수상 file

전순희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교수가 (사)대한무용협회가 주최하는 ‘대한민국 최고 무용가상’ 시상식에서 ‘크리에이티브 아티스트상’을 수상했다. 국내 무용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기관인 (사)대한무용협회는 매년 우리나라 ...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학과 교수 칼럼: [서기수 교수의 성공투자 법칙⑩] 리포트를 읽기 위한 필수 용어 file

<지난 호에 이어서> 여기 삼성증권이 2022년 11월 21일 발표한 ‘2023년 글로벌 경제전망’이라는 리포트의 한 내용을 소개한다. 최근 글로벌 경기 사이클이 코로나 펜데믹 이전과 다른 부분들을 설명하면서 최근 글로벌 금...

서경대학교 연구정보 환경보건센터, ‘2023 제1회 서경대학교 환경보건센터 세미나’ 개최 file

‘환경보건 현안 해결을 위한 생체 연구정보 생산과 활용전략’ 주제로 11월 17일(금) 오후 3시, 서울스퀘어 베를린룸서 서경대학교 연구정보 환경보건센터(센터장 이철민 교수)는 11월 17일(금) 오후 3시 서울스퀘어 베를린룸에서 ...

서경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불어전공 학술제 ‘La vie en Rose’ 성황리에 열려 file

11월 6일(월) 오후 7시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서 서경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불어전공 학술제가 ‘La vie en Rose’(장밋빛 인생)라는 주제로 지난 11월 6일(월) 오후 7시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성황리에 열렸...

“건축은 소멸위기 지역 되살리는 가장 좋은 수단” file

양진석 서경대 도시공학과 초빙교수가 최근 본지와 인터뷰하면서 지난 9월 충북 충주 수안보에 문을 연 고급 온천호텔 ‘유원재’ 설계 과정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 그는 “건축이 지역을 바꿀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진 건축주와...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