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 MFS] 핀테크 지급결제 시장 트렌드(1).jpg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이종우 연구원.jpg

이종우 연구원

 

핀테크 시장의 핵심 분야인 모바일 금융서비스에 대해서 로보어드바이저, 주식, 대출, 뱅킹, 지급결제, 중국 및 제3국가들의 모바일 앱 등 서비스 종류와 지역별로 분석해서 정리한 콘텐츠를 본 조세금융신문을 통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분야별 앱이나 회사를 설립 때부터 지금까지의 과정과 주요 서비스와 회원가입 절차 및 메인화면의 구성 등을 분석했으며 관련 분야의 국내 경쟁 앱이나 회사도 함께 정리했다. <편집자주>

 

코로나 팬데믹(COVID-19) 확산으로 인해 지난 몇 년간 디지털 결제 시장은 크게 성장했다. 대부분의 쇼핑과 음식 등의 배달이 집에서 이루어졌기 떄문이다. 현금과 카드, 신분증 등을 넣고 다니던 지갑은 점차 얇아지거나 가지고 다니지 않는 사람이 많아졌고 이제는 스마트폰이 이를 대신하고 있다.

 

쇼핑몰에서 디지털 지갑으로 결제와 포인트 적립을 하고, 심지어는 동네 식당에서도 스마트폰을 통해 각종 페이(Pay)앱으로 결제를 진행한다. COVID-19 이후 많은 사람이 비대면’, ‘비접촉생활에 적응했고 기업들도 소비자의 니즈에 충족하기 위해 많은 기능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했다.

 

국내에서는 삼성페이와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의 결제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이렇게 COVID-19는 현금 없는 사회로의 전환을 일으켰으며, 전자상거래 시장 확산을 가속했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황은 기존의 지급 결제 시장을 크게 성장시켰고, 동시에 새로운 서비스가 출시되었다.

 

글로벌 조사기관인 스타티스타에 따르면 2020년 글로벌 디지털 간편결제 시장의 결제 규모는 49,000억 달러에 육박하며 이용자는 34억 명 이상으로 전체 인구의 46.7%가 사용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23.7% 성장한 수치다.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 산업이지만, COVID-19에 따른 시장의 성장과 변화한 우리의 라이프 스타일은 디지털 결제 시장의 더욱 큰 성장을 끌어낼 것이다.

 

현재 디지털 결제 시장을 주도하는 몇 가지의 서비스를 소개하기 전에 시장 트렌드를 짚고 넘어가 보려고 한다. 먼저 전자상거래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욕은 더욱 커졌다.

 

여기서 빠르게 성장한 것이 BNPL(Buy Now Pay Later) 서비스1)이다. 페이팔(PayPal)과 아마존(Amazon) 등의 많은 기업이 BNPL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인사이더 인텔리저스에 따르면 2022년에 미국인 쇼핑 고객 3명 중 1명은 BNPL 서비스를 이용할 것으로 추정했다.

 

1) Buy Now, Pay Later의 준말로 선구매 후결제라는 새로운 결제 방식이다.. BNPL 방식으로 결제하면 결제 업체가 가맹점에 먼저 대금을 지불하고, 소비자는 여러 차례에 걸쳐 결제 업체에 결제대금을 납입하면 된다. 신용카드와 차이점은 신용카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신용점수가 필요하고 신용카드로 할부 서비스를 이용하면 할부 수수료를 내는 반면 BNPL은 신용점수와 상관 없이 만 18세 이상이라면 이용할 수 있으며 수수료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BNPL은 이미 미국 전자상거래 거래액의 1%가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전 세계 BNPL 지출이 1조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전통적인 신용카드를 접하지 않았던 MZ세대를 중심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다.


[서경대 MFS] 핀테크 지급결제 시장 트렌드(2).JPG


COVID-19를 기점으로 비접촉 결제와 탭 투 모바일(Tap to Mobile) 기술이 발전해 결제 방식을 바꾸었다. 소비자가 비접촉식 카드나 모바일 지갑을 이용해 결제하는 방식으로 중국은 2021년 스마트폰 사용자의 87.3%가 이 방법으로 결제를 할 만큼 상용화되어 있다. 전문가들은 2022년이 이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자리 잡는 해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스마트 스피커를 이용해 음성 명령으로 결제를 하는 사람들도 증가하고 있다. 미국은 현재 12,000만 명 이상이 스마트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20172,000만 명의 사용자와는 비교되는 수치이다.

 

2021년 스마트 스피커 사용자의 절반이 스피커를 통해 결제했으며, 이 중 40%는 매달 꾸준히 스마트 스피커를 이용해 구매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같은 결제의 총거래액은 46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무시할 수 없는 금액이고 향후에 이러한 음성결제방식이 결제시장의 중요한 방식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지급결제(Payment)분야에서 최근 많은 기업과 서비스, 제품의 결제에 많이 이용되는 방식이 바로 임베디드 결제(Embedded Payment)이다. 임베디드 금융이란 비금융회사가 금융회사의 금융상품을 중개 및 재판매하여 자사 플랫폼에 핀테크 기능을 내재화(embed)하는 것을 말한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와 같은 간편결제, 스타벅스 모바일 앱의 사이렌 오더, 테슬라의 자체 보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미 확보된 비금융회사의 고객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업은 비교적 쉽게 수익을 올릴 수 있고, 고객은 거래 과정에서의 번거로움을 줄여 상품 구매를 완료할 가능성을 높여준다. 이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하는 소비자의 구매패턴 변화와 함께 COVID-19 이후 비대면 금융의 확산으로 큰 성장세를 보인다.

 

최근에 디지털 월렛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월렛의 등장으로 자연스럽게 지갑에 대한 소요를 감소시켰는데 결제 카드와 포인트 카드, 면허증, 심지어는 티켓까지도 디지털 월렛에 등록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높은 접근성, 확장성, 편리성과 더불어 보안까지 높은 수준이다 보니 소비자의 유입은 점차 증가했으며, 락인효과2)를 기대하는 기업들의 유입도 증가하고 있다.

 

2) 락인 효과란 고객이 상품·서비스를 이용하고 나면 다른 상품이나 서비스로 '이용의 이전'을 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플랫폼 서비스에서 락인 효과는 서비스 성패를 가르는 주요 전략이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인 주니퍼리서치는 2026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월렛 사용자 수가 52억 명을 넘을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P2P(Peer to Peer) 결제도 최근 중요한 결제시장의 요소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의 시장 조사기관 eMarketer에 따르면 2021P2P 서비스를 주도했던 젤(Zelle), 벤모(Venmo), 캐시 앱(Cash App)의 사용자는 총 16,570만 명으로 추정되고, 이는 미국 인구의 약 50%에 달하는 수치라고 한다. 또한 P2P 산업이 2023년까지 1조 달러 이상의 거래량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며, MZ세대를 중심으로 큰 성장세를 보인다.

 

국내의 대표적인 P2P 서비스로는 토스와 카카오페이가 있는데 지인에게 송금할 때 자연스럽게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는 본인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가? 이렇게 무의식중에 P2P 서비스는 이미 우리의 생활 속에 자리 잡아, 이제는 일상생활에서 분리할 수 없는 서비스 중 하나로 성장했다.

 

변화하는 트렌드에 맞게 기존의 앱은 새로운 서비스를 접목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덕분에 디지털 결제 시장은 더욱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더 나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원문기사>

조세금융신문 https://www.tfmedia.co.kr/mobile/article.html?no=13726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801

<서경대 사람들: 인터뷰> 김종훈 서경대 나노융합공학과 교수 – 세계 유일의 인슐린 자동주입기 핵심기술 개발 … “우리에게는 무궁무진한 가능성과 능력이 있습니다.” file

<사진> 김종훈 교수가 서경대 유담관에 있는 그의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했다. 서경대학교 나노융합공학부 김종훈 교수와 공동개발로 진행한 ㈜디아메스코의 ‘인슐린 자동주입기 핵심기술’이 지난 4월 2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신 학기 개강 후 할 수 있는 활동, 어떤 게 있나? <1> 대외활동 편 file

긴 겨울이 끝나고 신록이 움트는 3월이 찾아왔다. 우리 학교도 다음 주 개강을 앞두고 많은 학생들이 새롭게 신학기를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다. 그 가운데에는 개강 후 진로 및 전공과 관련 새로운 경험도 하고 취업에 도움...

[모델 #인스타그램] 김태연ㆍ김효진 “We have a dream, 따뜻한 애견문화:동행의 행복” file

▲ 슈퍼모델 김태연(왼쪽)은 절친 슈퍼모델이자 반려견 훈련사로 활동중인 김효진(오른쪽)과의 우정을 전했다. 슈퍼모델 김태연이 10일 후배 슈퍼모델 겸 절친인 김효진을 찾았다. 김태연이 방문한 장소는 올바른 펫티켓 문화의 성...

'보컬플레이2' 버클리 1등 언니 임지수, 라이벌 매치 승리 후 눈물? file

‘버클리 1등 언니’ 임지수가 ‘호원대 아리아나 그란데’ 김민서를 상대로 학교 대표 라이벌전에서 승리했지만, 진한 눈물로 무대를 적셨다. 두 팀이 합동 무대를 펼치지만, 심사위원 점수가 높은 팀만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

12개 대학서 뽑는 인문·자연계 특기자전형, 지원 전략은 file

-2021학년도 서울권 대학서 총 697명 선발 -이화여대 모집인원 165명으로 가장 많아 특기자전형은 특별한 재능을 가진 학생들에게만 지원 자격을 부여하는 입시 전형의 한 유형이다. 예체능계열 학생들의 전유물로 알고 있지만, ...

7월 공모전 개최…스펙도 쌓고, 상금도 챙기자! file

코로나 19로 인해 원격수업으로 진행되었던 1학기가 끝나고 서경대 학생들도 여름방학을 맞았다. 방학을 맞아 자신의 진로 및 전공과 관련해 스펙을 쌓거나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려는 학우들이 많을 것이다. 이러한 학우들을 위해 ...

서경대학교 제35대 동아리 연합회 주최 ‘2019년 동아리 알림제’ 성료 file

3월 25일, 26일 이틀간 교내 초록운동장에서 열려 동아리 공연, 응모권 배부, 퀴즈 내기, 경품 추첨 등 다양한 이벤트 펼쳐 동아리 알림제 포스터 서경대학교의 작지만 알찬 축제인 ‘2019년 동아리 알림제’가 젊음과 열정으...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학생들이 제작 및 방송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직업방송의 생방송 ‘취업이 보인다 x 청년기획단이 간다!’ 프로그램 58회 차 방송분 ‘경찰관’ 편, 4월 29일(월) 오전 11시부터 약 1시간 동안 방영돼 file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운영위원장 방미영 교수, 이하 ‘청문단’) 학생들이 제작 및 방송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직업방송의 생방송 ‘취업이 보인다 X 청년기획단이 간다!’ 프로그램(아나운서 ‘황인성’, PD ‘한아름’)의...

텔레비전에 방영된 서경대…얼쑤 좋다! 우리 학교 #1 file

높아진 하늘, 살짝 힘을 뺀 햇살, 선선해진 바람이 가을이 왔음을 알린다. 가을의 도래와 함께 서경대학교에도 2학기가 시작되었다. 등교를 하다보면 쏟아지는 인공폭포와 분수, 푸르른 수목, 높게 솟은 쾌적한 건물들이 등굣길 ...

서경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생활 적응 및 진로탐색 지원 브릿지 프로그램' 운영 file

서경대가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서경대학교는 최근 외국인 유학생 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외국인 학생지원과를 외국인 유학생 지원센터로 확대, 개편하고 ‘대학생활 적응 및 진로탐색 지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