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 MFS] 핀테크 뱅킹(Banking)의 트렌드1.jpeg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핀테크 시장의 핵심 분야인 모바일 금융서비스에 대해서 로보어드바이저, 주식, 대출, 뱅킹, 지급결제, 중국 및 제3국가들의 모바일 앱 등 서비스 종류와 지역별로 분석해서 정리한 콘텐츠를 본 조세금융신문을 통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분야별 앱이나 회사를 설립 때부터 지금까지의 과정과 주요 서비스와 회원가입 절차 및 메인화면의 구성 등을 분석했으며 관련 분야의 국내 경쟁 앱이나 회사도 함께 정리했다. <편집자주>



[서경대 MFS] 핀테크 뱅킹(Banking)의 트렌드2.jpeg



핀테크 산업의 발전은 해가 거듭될수록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중 핀테크 뱅킹(Banking)의 트렌드가 무섭게 변하고 있는데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전 세계는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며, 모바일뱅킹 또한 코로나의 영향으로 인해 급격한 사용량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반대급부로 부작용도 발생해서 미국의 연방거래위원회(FTC)에 따르면 2019년 1분기와 2020년 1분기 사이에 신용카드 사기가 10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2017년, 2018년, 2019년 같은 기간 동안 사기 건수는 27%에 그쳤다. 이에 관한 영향으로 모바일뱅킹은 ‘생체 보안(Biometric security)’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게 되었다.


또한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인 주니퍼 리서치(Juniper Research)는 생체 보안 기술이 2020년 4,040억 달러에서 2025년 3조 달러 이상의 거래에 사용될 것으로 예측한다고 발표했다. 분석가들은 생체 인식을 사용하는 비접촉 모바일 결제의 수가 2020~2025년 동안 520%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다.


이처럼 핀테크 산업의 핵심인 뱅킹 거래의 첫 번째 변화는 보안과 인증의 강화로 볼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생체 보안의 발전이 하루가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두 번째 핀테크 뱅킹 거래의 발전과 트렌드로 꼽히고 있는 것은 ‘인공지능 기반의 챗봇(Artificial intelligence-powered chatbots)’이다. 금융 및 은행 기관은 챗봇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작업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직원 인건비의 절감과 함께 영업점 공간의 축소 내지는 폐쇄가 가능하기 때문에 챗봇을 비롯한 다양한 비대면 채널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챗봇의 활용으로 고객들의 대기 시간을 몇 시간에서 몇 초로 단축할 수 있으며, 365일 24시간 고객 지원을 보장하면서 고객을 응대하는 데 사용되는 지출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세 번째 트렌드는 ‘모바일뱅킹 앱(Mobile banking apps)’이다. 2020년 기준, 처음으로 미국 성인의 55% 이상이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은행 계좌에 연동해서 거래를 진행했다.


분석가들은 모바일 결제가 2020~2027년 동안 29%의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로 발전하여 2027년까지 8조 9,500억 달러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본 도서에서 다루고 있는 모바일 금융서비스의 트렌드라고 할 수 있으며 향후에도 모든 금융거래를 고객의 손안에서 이루어지게 만드는 새로운 금융 신세계가 펼쳐질 것이다.


네 번째 트렌드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ML’이다. 금융 기관은 인공 지능의 일종인 머신러닝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의 요구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ML 덕분에 기업은 지속적으로 시스템 모니터링이 가능해짐으로써 의심스러운 활동을 즉시 식별하고, 위험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며 다양한 해킹 공격을 차단할 수 있다.

다섯 번째 트렌드는 ‘블록체인 기술(Blockchain technology)’이다. 블록체인은 미래의 주요 디지털 모바일뱅킹 트렌드 중 하나이다. 이 기술은 암호화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금융 기관이 중요한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는 것을 훨씬 쉽게 해준다.


여섯 번째 트렌드는 ‘음성 결제(Voice payments)’라고 할 수 있는데 음성 결제는 2022년의 또 다른 모바일뱅킹 기술 트렌드이다. 현재 금융 시장은 Siri 및 Alexa와 같은 디지털 비서를 통한 P2P 거래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예측한 2017년 미국의 음성 결제 채택률


[서경대 MFS] 핀테크 뱅킹(Banking)의 트렌드3.jpeg


시장 및 소비자 데이터를 전문으로 하는 독일의 회사인 ‘Statista’에 따르면 이 수치는 2017년 8%에서 2022년 31%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핀테크 금융 거래의 핵심인 뱅킹거래의 마지막 트렌드는 ‘카드 없는 ATM 출금(Cardless ATM withdrawal)’이다. 카드 없는 ATM 출금은 향후 몇 년 동안 주요 모바일뱅킹 산업 동향 중 하나이다. NFC 기술 및 QR 코드 스캔의 발달로 고객은 은행 ATM과 훨씬 쉽게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편의점 제휴 점포도 등장도 하나의 변화인데 KB국민은행(이마트24), 신한은행(GS25), 하나은행(CU) 등이 선보여 현재 파일럿 형태로 운영 중이고 장기적으로는 전국적인 편의점 점포망을 활용한 접근성 확대를 노리고 있다.


이제는 편의점에서 은행계좌개설과 체크카드와 OTP카드까지 발급이 가능하니 은행 영업점의 물리적 기능은 점점 사라지게 될 것이고 기본적은 뱅킹거래는 손안에서 스마트폰으로 진행하면서 가까운 편의점이나 카페에서 진행하는 시대가 올 것이다.


스마트폰이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 되면서 은행은 모바일을 통해서 금융 업무를 가능하게 하려고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세계적인 사례를 통해서 하나씩 자세한 변화를 느껴보도록 하자.


<원문출처>

조세금융신문 https://www.tfmedia.co.kr/mobile/article.html?no=136706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955

권재욱 서경대 특임교수 칼럼:[시론] 인간다움을 잃지 않는 힘 file

서경대학교 권재욱 특임교수 봄의 입구를 지나고 얼었던 강물이 풀리고 내일모레면 개구리가 잠에서 깨어날 텐데, 썰렁한 대지는 여전히 겨울 한복판이다. 벌 서는 아이처럼 앙상한 가지들만 들어 올린 채 추위에 떨고 섰는 ...

권재욱 서경대 특임교수 칼럼:[시론] 사람 평가도 복식부기로 하자 file

서경대학교 권재욱 특임교수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붉은색, 장미꽃의 화사함은 꽃자루에 붙어 있는 가시로 인해 훼손되지 않는다. 황량한 사막은 그 어디메쯤에 신선한 물과 야자수와 과일을 품고 있는 오아시스가 빛나...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학교의 전폭적인 지지하에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춘다 file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는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영화영상 전문인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에 맞춰 ‘1인 제작 시스템’을 구축해 시나리오 집필부터 촬영, 편집, 사운드 믹싱 등의 후반작업까지 모든 영화영상 제작과정을 수행할...

‘In 서울’ 대학을 희망한다면 여길 주목 file

대학 선발 방식은 크게 수시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논술, 실기 전형과 정시 수능, 실기 전형 총 6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전형은 그 선발 방식이 매우 다르므로 수험생 및 학부모는 이를 미리 정리하고 어떤 전형에...

[미래직업 인터뷰] ②서경대 'VR미래융합센터’가 그리는 미래, 서울대 의대생이 VR로 인체해부하고 VR숲공원 산책 file

▲서울시 성북구에 위치한 서경대학교 VR미래융합센터에서 25일 홍성대 센터장이 본지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4차산업혁명시대에 기존 직업에 종사하는 인간은 ‘상실 위기’에 봉착해있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2021수시] ‘마지막 적성고사’.. 수능이전 6개교 실시 file

서경대 10월11일 필두 올해 마지막 모집을 실시하는 적성고사전형의 일정은 어떻게 될까. 적성고사를 실시하는 11개교 중 적성고사 일정은 수능을 기점으로 양분된다. 올해 수능 실시일인 12월3일 이전 적성고사를 실시하는 곳은...

경쟁률 최고 621대 1 실용음악과, 1분30초에 청춘을 건다 file

“네. 31번입니다.” 바늘구멍 대입 실기시험 현장 가보니 ‘실용음악’ 간판 걸면 100대 1 넘어 K팝 열풍에 뽑는 인원 적은 탓 재수·삼수는 기본, 레슨비 눈덩이 재학생 “취업 어렵다는 것 알지만 하고 싶은 것에 젊음 ...

서경대 인문대, 4월 24일~28일 5일간 한마음 체육대회 개최 file

인문대 소속 학생 등 500여 명 참여…농구 등 6개 종목, 열띤 경기 펼쳐 [인문대 문화콘텐츠학부와 노어학과 학생들이 농구경기를 하고 있다] 서경대학교 인문대학(학장 장영기)이 학과 간 학생 등 구성원과의 소통과 화합을 ...

VR 테마파크 가능성 논한다, 2017 복합문화 디지털 테마파크 산업 발전 포럼 개최 file

2017 복합문화 디지털 테마파크 산업 발전 포럼이 한국과확기술회관에서 열렸다. 전라남도가 주최하고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서경대 VR미래융합센터가 주관하며,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나주시, 서경대학교 등이 후원하는...

[조정근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조선비즈 국제세무칼럼] 종신보험 들었나요? 이 경우는 상속세 폭탄 준비하세요 file

조정근 서경대 교수 독약조항은 기업의 경영권 방어 수단이다. 적대적 M&A(인수·합병)에 직면할 경우 상대방 인수 의지를 꺾기 위해 일부러 기업가치를 떨어뜨리는 제도다. 적에게 잡혀 먹히기 전, 독약을 꿀꺽 삼킴으로써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