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미국 금리 인상의 변수별 영향은(1).png


2022년 들어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급격한 금리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연말까지 4.5%까지 보는 예상이 일반적이고 2023년 초까지는 금리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아울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예기치 못한 장기화와 영국의 재정 불안감, 중국의 대만에 대한 노골적인 흡수 의지표현 등 다양한 변수가 이어지고 있고 여기에 엔화와 중국 위안화 가치의 역대급 하락으로 아시아 금융위기가 다시 올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도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비해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시다발적으로 올리고는 있지만 너무나 많아진 가계부채에 대한 불안감을 지울 수가 없다.

 

이렇게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로 인식되는 시점에 최근 20여년 기간 동안 2회 있었던 미국의 금리인상 시기의 투자관련 변수별 영향을 두 변수 간에 어떤 선형적 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방법인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미국금리(USA_R)의 인상에 따른 한국(KOR_R)과 유럽금리(EURO_R), 원달러 환율(EX_R), 코스피지수(KOSPI200)와 코스닥지수(KOSDAQ), 미국 다우존스 공업지수(DOW_IND), S&P500지수(SNP500), 나스닥(NASDAQ) 및 금(GOLD), WTI유가(WTI) 등 각 변수는 서로 독립적인 관계이거나 상관된 관계일 수 있으며 이때 두 변수 간의 관계의 강도를 분석해서 연관된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때 상관관계가 0<ρ≤+1 이면 양의 상관, -1≤ρ<0 이면 음의 상관, ρ=0이면 무상관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해석한다.

 

r-1.0-0.7 사이이면, 강한 음적 선형관계,

r-0.7-0.3 사이이면, 뚜렷한 음적 선형관계,

r-0.3-0.1 사이이면, 약한 음적 선형관계,

r-0.1+0.1 사이이면, 거의 무시될 수 있는 선형관계,

r+0.1+0.3 사이이면, 약한 양적 선형관계,

r+0.3+0.7 사이이면, 뚜렷한 양적 선형관계,

r+0.7+1.0 사이이면, 강한 양적 선형관계

 

즉 기준변수(미국금리)의 움직임에 따라서 다른 변수가 +1로 갈수록 같은 방향으로 변화가 발생한다는 것이고 1로 갈수록 반대방향으로 변화가 생긴다는 것이다.

 

최근 20여년 간 미국은 두 번의 금리 인상기를 보이는데 첫 번째가 20046월부터 20066월까지 2년 동안 0.25% 포인트씩 17차례에 걸쳐 4.25% 포인트 인상했다. 당시 금리 인상은 미국 부동산 거품 붕괴로 이어졌고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의 실마리를 제공했고 두 번째 인상기는 201612월 기준금리를 인상(0.25%포인트)한 후 20173(3612), 2018년엔 4(36912)씩 금리를 올렸다.

 

당시 미국 연준(FRB)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 20183월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107개월 만에 역전되기도 했다. 아래의 표는 첫 번째 금리 인상기에 대한 주요 변수들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X축의 첫 번째 지표인 미국의 기준금리(USA-R)에 대한 다른 변수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한국의 KOSPI200KOSDAQ0.960.92로 상당히 유사한 움직임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즉 미국의 주요 지수인 다우존스와 S&P500, 나스닥의 상관계수인 0.8, 0.91, 0.83보다도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볼 수 있다. (GOLD) 가격에 대한 상관관계도 0.86으로 비교적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고 유가(WTI)0.9로 강한 양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인한 달러가치가 상승해서 원달러 환율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의외로 원달러 환율(EX_R)0.86의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서 오히려 달러가치보다 원화가치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금까지의 결과로 살펴보면 일단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한 국내주식시장과 금값과 유가는 모두 강세를 보여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했던 달러가치와 원자재가격의 반대의 움직임이라는 정설과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달러가치 상승에 따른 원화가치의 상대적 하락으로 인해서 환율도 올라갈 것이라는 예상이 빗나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라는 시장의 부정적인 이벤트를 다른 긍정적인 요소들로 인해서 시장은 오히려 활성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2004년 당시 세계 증시는 이른바 차이나 쇼크의 후폭풍으로 크게 휘청거렸는데 2004429일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가 긴축을 천명하고 은행의 신규 대출을 사실상 동결해서 세계 주요 증시가 급락했고 국내 증시도 8월까지 20%나 하락했지만 이후 적립식펀드의 열풍과 국내 기업들의 탄탄한 실적과 외국인 자금의 유입세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시장은 활성화되었고 유가는 40달러를 돌파한 이후 3년간 100달러 수준까지 오르는 상승세를 보였고 원화가치도 오름세를 이어가 2005년에는 원-달러 환율이 1000원 아래로 내려가기도 했다.


< 첫 번째 미국 기준 금리 상승기의 변수별 상관관계 >

Person Correlation of Features

미국 금리 인상의 변수별 영향은(2).png

 

두 번째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기인 201612월부터 2018년까지의 다른 변수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한국의 KOSPI200KOSDAQ0.630.6으로 첫 번째 인상시기보다는 약한 강도의 양의 움직임을 보였고 미국의 주요 지수인 다우존스와 S&P500, 나스닥의 상관계수는 0.93, 0.92, 0.94로 첫 번째 인상시기보다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GOLD) 가격에 대한 상관관계는 0.094로 거의 유의한 상관관계라고 할 수 없는 결과가 나왔고 유가(WTI)는 첫 번째 상승기인 0.9보다는 낮지만 비교적 강한 상관관계인 0.8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서 금리인상으로 인한 유가의 변화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원달러 환율은 첫 번째 미국금리 인상기와 같이 음의 상관관계지만 강도는 약한 0.56을 보였다.

 

2016년에는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결정 등 대외 악재가 발생할 때마다 코스피지수는 타격을 입었지만 글로벌 경기 회복으로 국내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기업 실적도 개선되고, 외국인 자금도 유입되는 긍정적 흐름이 있었다는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여진다.


두 번째 미국 기준 금리 상승기의 변수별 상관관계 >

Person Correlation of Features

미국 금리 인상의 변수별 영향은(3).png

 

지금까지 최근 두 번에 걸친 미국의 금리 인상시기에 대한 다양한 투자관련 변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했는데 일반적인 통설인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한 달러가치 상승으로 원달러 환율 급등이나 국내 주가지수의 하락, 원자재 가격 하락 등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국내외 경제 상황 호전으로 인한 주가지수의 상승과 함께 원달러 환율의 하향 안정세가 이어졌고 원자재 가격은 수요와 공급 등 다른 요인으로 인한 상승세를 확인했다.

 

따라서 2022년부터 향후 2년 여간 이어질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한 지나친 걱정과 우려보다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글로벌 원자재 공급망 붕괴와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가계 소비의 영향, 코로나 엔데믹 이후의 시장의 변화 등 다른 다양한 경제변수를 점검하고 향후 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한 대응전략이라고 생각된다.


<원문기사>
조세금융신문 https://www.tfmedia.co.kr/news/article.html?no=134960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905

서경대 등 10개大 '취업축제' file

서울 동북부대학 모여 취업설명회 성황리 개최 지난 7일 열린 서울 동북지역 10개 대학교 공동 취업 페스티벌 서울 동북지역에 위치한 10개 대학이 손을 맞잡고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 매칭의 장을 마련했다. 서경대·광운대·국...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 전공 HUB 5 ‘Ongoing’ 개최 file

2017년 11월 22일(수) 오후 7시, 서경대학교 본관 8층 컨벤션홀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 창의인재 양성 프로그램인 ‘HUB 5’가 2017년 11월 22일(수) 오후 7시 서경대학교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개최된다. 서경대학교 공연예술...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유택근 투유 드림 대표 초청 특강 개최 11월 14일(화) 오전 12시 서경대학교 혜인관 410호서 file

투유 드림 ‘언데드 킹’, ‘독고’, ‘모래와 바다의 노래’ 등 유명 웹툰 제작 및 콘텐츠 개발로 유명…유택근 대표,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와 지속적인 교류 ‘희망’ 유택근 투유 드림 대표가 문화콘텐츠학과 학생들을 대상으...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 제15회 졸업발표회 및 제18회 정기공연 개최 file

2017년 11월 23일(목) 오후 7시, 서경대학교 문예관 1층 문예홀서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학과장 전순희)가 주최하는 제15회 졸업발표회 및 제18회 정기공연이 11월 22일(목) 오후 7시 교내 문예관 1층 문예홀에서 개최된...

최재순 서경대 토목건축공학과 교수 연구팀, 포항 지진 액상화 현상 관련, 주목할 만한 연구결과 발표, 언론의 스포트라이트 받아 file

국토부 5년 전 액상화 위험지도 가지고 있는 반면, 최재순 교수 연구팀은 지금까지 액상화 현상 관련 데이터 업데이트하고 선행연구 계속해 와 최재순 서경대 토목건축공학과 교수 지난 11월 15일 규모 5.4의 포항 지진으로 국...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 전공 HUB 5 ‘Ongoing’ 성황리에 열어 file

예술대학 10개 전공 학생 및 외부 예술 전문가들의 실험적 협업 통해 감동의 무대 선사해 서경대학교 공연예술 창의인재 양성 프로그램인 ‘HUB 5’가 2017년 11월 22일(수) 오후 7시 서경대학교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교내...

서경대학교, 니시오카 타쓰시 주한일본대사관 공보문화원장 초청 강연회 개최 file

‘한일 상호 이해를 위한 문화교류’ 주제로 11월 20일(월) 오후 1시 교내 혜인관 시청각 1실서 니시오카 타쓰시(西岡達史) 주한일본대사관 공보문화원장이 강연을 마친 후 서경대 학생들과 포즈를 취했다. 서경대학교 한일문화연구...

[진세근 교수 기고] 梅經寒苦<매경한고> file

漢字, 세상을 말하다 중국인들의 매화(梅花) 사랑은 남다르다. 마오쩌둥(毛澤東)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는 『매화를 읊다(咏梅)』에서 “온 산에 꽃 만발할 제, 매화는 그 속에서 홀로 웃는다(待到山花爛漫時 她在叢中笑)”고 노래했다...

정웅석 서경대 교수 ‘공수처 신설’ 한국일보 대담 file

“검찰의 특수수사 기능 떼 줘야” vs “정치 중립성 담보 못 해” #공수처 규모는 정웅석 교수 “검찰 견제 기능만 한다면 현재의 법무부안으로 충분” 임수빈 변호사 “이왕이면 규모 더 늘려야 수사 기능 제대로 할 것” ...

(사) 글로벌경영학회(회장 한문성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융복합시대의 스마트창업과 글로벌경영’ 주제로 2017년도 동계 국제학술대회 개최 file

서경대학교 후원으로, 11월 25일(토) 오전 11시 서경청소년수련원서 10여 명의 해외석학 등 국내외 학자들과 대학교수 등 150여 명 참석, 성황리에 열려 경영자대상 시상식, 특별강연과 토론, 분과별 학술논문 발표 및 토론, 정기...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