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112일부터 5일간 대학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skon gallery, ‘SHOPPER LIST’ 주제로 29편의 작품 선보여


서경대학교 디자인학부 생활문화디자인전공의 제28회 졸업전시회가 112일부터 6일까지 5일간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대학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지하 1skon galler에서 열리고 있다. 전시회가 열리고 있는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는 독특하면서도 실용성을 살린 다양한 작품들을 관람하기 위해 서경대 학우들은 물론 일반 방문객들로 연일 북적이고 있다.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전시회 포스터.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전시회 전경(1).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전시회 전경(2).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전시회 전경(3).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전시회 전경(4).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전시회 전경(5).jpg


이번 디자인학부 생활문화디자인전공 졸업전시회는 ‘SHOPPER LIST’를 주제로 기획되었다. 단지 소비자가 원하는 목록을 담은 'Shopping List'가 아닌, 학생들이 지난 4년 동안 개발하고 발전시켜온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 감각들을 이용한 기획과 컨셉 그리고 타킷층을 전시공간에 펼쳐 보임으로써 역으로 소비자들에게 개발자, 생산자의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1).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2).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3).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4).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5).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6).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7).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8).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9).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10).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11).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12).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13).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14).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15).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16).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17).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18).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19).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20).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21).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22).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23).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24).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25).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26).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27).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28).jpg


생활문화디자인 졸업작품(29).jpg

 

전시회에는 Muzik Tiger-the year of the gyemyo(강희진), 차분하고 고급스러운 백화점 VIP 라운지(권소정), We’d(김도연), Art monster(김동혁), Maison de la nature(김민주), ACAVE(김찬욱,주민재), SUCH(김혜은), JINTH(김효진), De, mure(김희원), Lazy Berry(류지현), Winter Story(민서빈), Whispering blossom(박미정), What’s in your picnic?(배영서), The which knows everything(안지원), Grove(오나연), A strangeworld in the kingdom(윤은지), Cocou(이송희), Play plus fruts(이유리), The charming(이윤하), -(이하령), In 息處(이혜빈), Complex;stem(임진진), Bumpy bumpy(정채연), Little kitchen(정혜인), Kkumi(주지원), Us, in meta(차시원), Padoro 617(최지인), 2 yeon(홍주연), Dilemma(황서영) 등 총 29편의 작품이 선을 보이고 있다.

 

인터뷰: 졸업전시준비위원회 위원장 김찬욱 학우

 

이번 생활문화디자인전공 졸업전시회를 기획하고 준비한 졸업전시준비위원회 위원장 김찬욱 학우를 만나 전시회에 관한 설명을 부탁했다. 아래는 인터뷰 전문이다.

 

- 안녕하세요, 먼저 간단히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서경대학교 디자인학부 생활문화디자인전공 제28회 졸업전시준비위원회 위원장 17학번 김찬욱입니다. 졸업전시준비위원회를 구성하여 전시회를 준비하고 개최하기 까지 생활문화디자인전공 학우들과 함께 전시회 기획부터 예산편성, 일정관리, 도록 편집, 전시 디스플레이, 홍보, 전시회 오픈 등 전 과정을 총괄하여 진행했습니다.”

 

- 이번 졸업전시회에 대해 간단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서경대학교 디자인학부 생활문화디자인전공 제28회 졸업전시회는 ‘Shopper List’ 라는 주제로 기획하였습니다. 'Shopper list'는 단지 소비자가 원하는 목록을 담은 'Shopping List'가 아닌, 학생들이 지난 4년 동안 갈고 닦아온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 감각들을 이용한 기획과 컨셉 그리고 타깃층을 전시공간에 펼쳐 보임으로써 역으로 소비자에게 개발자, 생산자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에 의의를 두었습니다.”

 

- 학생들은 졸업전시회를 위해 4년 동안 배운 전공지식을 어떻게 적용했나요?

 

이번 전시회는 전공 내 세부 특성에 따라 제품 스타일링 & 디스플레이 디자인, 텍스타일 제품 디자인 & 코디네이션, 상품기획 & 브랜드 디자인 등으로 나뉘어 구성하였습니다. 학생들은 4년간의 교육과정을 통해 다양한 생활문화용품의 개발과 표현 방법으로 졸업작품을 기획하며 제작하는 실무 프로젝트 형식으로 진행했습니다.”

 

- 이번 졸업전시회는 어떤 식으로 준비가 되었고 진행이 되었나요?

 

이번 졸업전시회는 3월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생활문화디자인전공의 특성에 맞춰 컨셉을 기획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고, 그 결과로 전시회를 진행하는 학생들이 주체가 되는 ‘Shopper list’라는 컨셉으로 전시회가 기획되었습니다. 또한 주제에 맞는 컨셉츄얼한 전시회를 선보이기 위해 졸업준비위원회에서는 폴더, 카트와 같은 소품을 그래픽 모티브로 활용하여 포스터, 도록, 굿즈, SNS 컨텐츠를 디자인하였고, 전시장의 포토존 또한 모티브로 활용된 소품들을 이용해 공간 디스플레이를 하였습니다.

 

전시회 구성에서 작년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올해 전시회에서는 일부 학생들이 실제 브랜드들과 협업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이 실제 브랜드와 직접 소통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써 실무적인 부분에서 좋은 경험을 쌓는 기회를 가졌다고 생각합니다.”

 

- 오랜 준비 끝에 졸업전시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신 소감이 어떠신가요?

 

졸업을 앞둔 모든 4학년 학생들이 처음으로 진행하는 졸업전시회이다 보니 각자만의 어려움이 있었을 텐데 30명의 학생들이 모두 어려움을 극복하고 무난하게 전시회를 열 수 있게 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처음 졸업전시회를 준비하면서 막막했지만 전시회를 진행하는 학생들, 전시회를 보러오는 관람객들, 디자인학부 교수님들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전시회를 열고 싶다는 욕심이 생겨 책임감을 가지고 전시회를 최선을 다해 준비했습니다. 2022년을 바쁘게 보내면서 힘들었지만 값진 경험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 마지막으로 이번 전시회를 준비하며 고마웠던 분들게 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전시회를 준비하고 진행하면서 함께 고생한 학우들과 졸업전시회에 방문해주신 많은 동기, ·후배님들, 졸업전시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저희를 믿고 준비과정을 지도해주신 윤수인 졸업전시회 담당 교수님, 학생들에게 졸업작품에 대해 지도를 아낌없이 해주신 김지인 학부장님과 박혜신 교수님, 그리고 페이퍼하우스라는 작업공간을 지원해 주신 배민호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졸업전시준비위원회 위원장을 맡으면서 부족했던 부분들이 많았다고 생각합니다. 저를 믿고 도와준 졸업전시준비위원회 위원분들과 학우들 덕분에 무사히 졸업전시회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4학년 두 학기 동안 모두들 고생 많으셨고, 졸업 이후에도 각자 원하시는 바를 이루시길 바랍니다.”

 

<홍보실=안희진 학생기자>

첨부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239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한국과 일본의 달라진 음주 문화[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지난달 학교 연구소에서 주한 일본대사관 공보문화원 주조 가즈오(中絛一夫) 원장님을 모시고 일본 전통 술과 한일의 음주 문화에 대한 강연회를 열었다. 행사를 마치고 회식 자리에 원장님이 두 병의 술을 가지고 오셨는데, ...

서경대학교 한불문화예술연구소, 프랑스 엑스마르세유대학 언어교육원과 언어문화교류협정체결 file

서경대학교 한불문화예술연구소(CFCSK, 소장 최내경 교수)가 프랑스 엑스마르세유대학 언어교육원과 12월 13일(화) 언어문화교류협정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금번 언어문화교류협정을 통해 언어, 문화, 교육 분야 교류 증진 및...

[2023 정시 입학정보] 서경대학교 file

혁신과 특성화 통해 대학경쟁력 강화 재정지원사업 잇따라 수주…취업역량도 한층 강화 370여 개 융합형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다양한 교과 외 교육 서경대학교는 지속적인 혁신과 특성화를 통해 대학 경쟁력을 강화해왔다. 이러...

[서경대 MFS] 핀테크 뱅킹(Banking)의 트렌드 file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르포] 라이브커머스 시대 급부상···소상공인 활로 개척 나선 청년 file

유통업계, 라이브 커머스 눈길···실시간 ‘쌍방향 소통’ 라이브 커머스 시장규모, 내년 10조원 대 확장 전망 오프라인 판매 한계 소상공인···매출 상승 기대 증폭 청문단, 사회공헌활동 ‘톡톡’···”소상공인 지원 최선봉 서경...

서경대학교, 인도 CMR대학교와 교육 및 연구 분야 협력관계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12월 9일(금) 오후 2시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서 ᅠ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12월 9일(금) 오후 2시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인도 CMR대학교와 양교의 교육 및 연구 분야 협력관계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언리얼 엔진 기반 메타버스 뮤지컬 '몽유도원도' 시연회 성황리 종료ᅠ업그레이드된 2차 시연회 12월 16일 개최 예정 file

'2021 문화콘텐츠 R&D 전문인력 양성(예술ᄋ과학 융합 프로젝트)사업'의 일환 가상공연장 및 <몽유도원도> 콘텐츠, 2022 문화기술 성과전시회 출품 예정 ᅠ 언리얼 엔진 기반 메타버스 뮤지컬 <몽유도원도>의 시연회가 11월...

서경대 모델학전공 사진전… 앵글에 담은 사계 file

사진=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 모델학전공은 제2회 사진전을 열었다. ‘사계’ 가을(秋)中.왼쪽부터 모델 최인철, 진예현, 홍효재, 이오인, 최수아. 탱고와 대중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일은 더 이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종...

서경대학교 취창업지원센터 ‘직무역량중심 취업전략시리즈: 제3회 「2022 SKU Career Challenge Campus」‘ 프로그램 성료 file

11월 23일부터 12월 6일까지 2주간, 총 6개 School, 33개 Program 통해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취업 교육 및 실습 제공 직무 맞춤 아카데미 AI, Big Data, App, Web 개발 분야에 대한 현직자 집중 교육 및 토크콘서트, ...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서울시립청소년음악센터, 양천문화재단과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서울시립청소년음악센터는 양천구 양천문화재단과 12월 6일(화) 오후 2시 양천문화재단 회의실에서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서울시립청소년음...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