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길 잃은 영재교육 20


수업시간 내내 질문하거나 탐구하는 학생이 단 한 명도 없었어요. 학생들에게 너희 이걸 왜 배우고 있니?’라고 물으니 대다수에게 부모님이 시켜서 듣는다는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이 아이들, 정말 노벨상을 탈 만한 영재인가요?” (서울 강남구 A 초등학교 교장)


엄마가 시키니까 하긴 하는데 뭘 배우는지는 기억이 안 나요. 영재학급이라는 건 알지만 내가 영재는 아닌듯해요. 수학시험 80점 맞은 적도 있어요.”(서울 성동구 B초등학교 서모군)


자칫, 교장 선생님과 학생의 대화로 들릴 수도 있는 이 이야기는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오늘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영재교육 20. 영재교육 위기론이 퍼지고 있다.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국가가 앞서 발굴해 키우겠다고 한 게 영재교육진흥법의 구호였다. 하지만 현실은 앞서가 아니라, ‘뒤로가고 있다.


현장의 목소리부터 거세다. 한 입시 컨설턴트 강사인 박모씨는 영재과학고 진학하면 의대도 못 가게 막는데, 굳이 갈 필요가 있겠나?”라며 어차피 학원에서 더 배우면 된다. 영재교육에 목매던 시절은 다 지나갔다고 보면 된다고 전했다. 영재교육이 결국 입시를 위한 징검다리 역할을 하기도 한다. 서울교대 영재원 수강생인 초등학교 3학년 윤모 학생은 영재원에 다니는 학생들 대다수가 같은 학원 영재원준비반 출신이라며 1 선행 학습까지 마쳤기 때문에 영재원에서 배우는 내용 자체는 다 아는 것이라고 말했다.


200319974명이었던 국내 영재교육 대상자는 2013121421명을 찍은 뒤 하락세다. 201910만명 밑으로 떨어졌고 지난해는 79048명이었다. 영재교육 기관 수도 2003년 전국 400여 곳에서 20133011곳으로 정점을 찍고 지난해에는 1704곳으로 줄었다. 정점 대비 56% 수준이다. 한국영재교육학회장을 지낸 이정규 서경대 교수는 영재교육 대상자·담당교원·기관 수가 일제히 줄어들었다는 것은 학령인구 감소만을 탓할 순 없다정부의 무관심과 예산 급감, 영재교육 중요성의 인식 부족이 낳은 결과라고 분석했다.


진보 교육감 지역은 지원 부족 더 심해


때문에, 영재교육 기관 인기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교육부에 따르면 20194.8%였던 과학고·영재고 진학 희망률은 지난해 4.4%로 줄었다. 같은 기간 일반고 (자율형 공립고 포함) 진학 희망률은 67.5%에서 71.9%로 증가했다. 영재과학고 입학 경쟁률도 일제히 하락했다. 8개 과학영재고의 평균 경쟁률은 201915:1에서 지난해 6:1까지 떨어졌다. 2019년과 2021년 사이 학령인구가 8074000명에서 770만명대로 약 5% 줄었지만, 영재교육 기관 진학 경쟁률은 60%가량 낮아졌다. 2020년부터 영재학교·과학고 중복 지원이 금지됐다는 점을 고려해도 영재학교 경쟁률이 줄어들고 있음은 분명하다.


“입시 도움 안돼” “학원이 더 낫다” 학생·부모 다 영재반 외면.jpg

사교육 1번지인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서도 영재교육원이나 영재과학고 입학은 이미 엘리트 코스에서 탈락했다. 대치동에서 20년 가까이 영재학교 입시 지도를 해온 김모(69) 원장은 영재학교 TOP 3(한국과학영재학교, 서울과학고,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를 제외하고는 영재교육 받는 게 아무 의미가 없다영재학교에서 올림피아드에 나가봤자 자기소개서에도 적지 못하기 때문에 차라리 일반고에서 내신을 쌓고, 학원에서 보충수업을 듣는 게 대입에 더 유리하다고 말했다. 윤초희 동국대 교육학과 교수는 대학입시에서 영재교육 이수 경험이나 각종 대회의 수상실적을 활용하지 못한다는 점이 (영재교육 인기 하락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영재교육 인기가 시들해지는 사이 국제올림피아드는 톱클래스인 서울과고의 잔치가 됐다. 2017년부터 국제수학올림피아드 대표학생은 모두 서울과학고등학교가 독식했다. 같은 기간 생물은 37%, 화학은 50%, 물리는 88%가 서울과고생이었다. 시험을 통해 뽑는 올림피아드 참가자들이 수년째 한 학교에 집중된다는 건 다른 영재학교가 개점휴업상태라는 방증이다. 윤 교수는 톱클래스 영재교육을 받는 학생들은 가정환경이 좋아 어렸을 때부터 사교육을 받았던 학생들이 대다수라며 특정 배경의 학생들이 영재교육에 쏠리는 건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원문출처>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4141#home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919

뮤직앤뉴, 서울시립양천청소년음악창작센터와 MOU 체결 file

뮤직앤뉴(대표 김승민)와 서울시립양천청소년음악창작센터(센터장 한정섭)가 차세대 음악 산업의 주축이 될 청소년들의 음악창작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청소년 음악창작지원 사업...

이종석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 교수 연출, 쇼뮤지컬 ‘드림하이, 관극 포인트는?···연출가 이종석 “꿈을 향해 함께 나아 가기를 소망한다” file

쇼뮤지컬을 표방한 ‘드림하이’(연출 이종석·원작 박혜련·프로듀서 김은하·음악감독 박재현·안무 최영진 김효진)가 개막을 앞두고 필수 관극포인트를 알렸다. 오는 13일 쇼뮤지컬 ‘드림하이’의 막이 올라가는 가운데, 첫 프리뷰...

오오티비 스튜디오(ootb STUDIO)의 ‘매일 전과하는 남자-서경대학교 헤어디자인학과 편’, 유튜브에 업로드된 지 19시간 만에 62만 조회수 기록하는 등 ‘인기 폭발’ file

매일 전과하는 남자, 전과자 서경대학교 헤어디자인학과 편 오오티비 스튜디오(ootb STUDIO)가 제작한 ‘매일 전과하는 남자-서경대학교 헤어디자인학과 편’이 유튜브에 업로드 돼 19시간 만에 62만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인기...

교육혁신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이끌 창의융합 실용인재 양성 file

서경대학교 서경대의 강점 중 하나는 문화예술과 인문사회, 과학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복합한 교육과정이다. 사진은 서경대 본관 전경. 서경대학교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1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

인수위 만난 청년예술인, 예술인 증명 기간 축소 촉구 file

사회복지문화분과, 서경대 공연예술센터 방문 표준계약서 정착·대관료 지원 등 국정과제 추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사회복지문화분과는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서경대 공연예술센터를 방문해 청년예술인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청...

서경대학교 연구정보 환경보건센터, ‘2022년 제1회 연구정보 환경보건센터 전문가 포럼’ 개최 file

11월 10일(목) 오후 2시, 제주 엠버퓨어힐호텔&리조트 한라홀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연구정보 환경보건센터(센터장 이철민 교수)는 환경보건학회가 주최하고 서경대 환경보건센터가 주관하는 ‘2022년 제1회 연구정보 환경...

[서경대 MFS] 핀테크 지급결제 시장 트렌드 file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

가을을 오롯이 담은 서경대 모델S…“MZ+시니어, 세대 아우른 예술혼” file

깊어가는 가을, 아시아 뷰티 트렌드를 주제로한 패션쇼가 의정부에서 열렸다. 지난 10월15일 의정부 시와 아시아모델페스티벌조직위원회 주최로 열린 ‘아시아모델페스티벌-아시아오픈컬렉션’ 행사의 일환으로 펼쳐진 모델명문 서...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위드 코로나 시대 ‘휴먼 터치’ 재조명 속 ‘학습공동체 활동’ 성료 file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거북이’ 팀 동아리 진행 사진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센터장 이지나 교수)가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시대 인간 중심의 언택트 기술 또는 마케팅으로 일컫는 ‘휴먼 터치’의 중요성을 ...

김민하 서경대 교수,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수상 file

「인생나눔교실」 사업 통해 인문정신문화의 사회적 확산에 기여한 공로 인정받아  김민하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 교수가 「인생나눔교실」 사업을 통해 인문정신문화의 사회적 확산에 기여한 공을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