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코로나 이후 일본에서 인기 높아진 한국 식품[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1.jpg


“오늘 저녁은 비빔밥!”

지난여름, 일본의 친정집에서 만 88세 된 어머니가 미리 주문한 ‘비빔밥 세트(ビビンバ정セット)’를 꺼내며 말했다. 나는 좀 불만스러운 표정으로 “2년 반 만에 왔는데 한국 음식?”이라고 투덜댔다.

만드는 방법은 너무 간단했다. 그릇에 먼저 준비한 밥을 담고, 그 위에 각각 포장된 시금치, 숙주나물, 고사리와 무나물을 얹고, 그 가운데에 반숙달걀과 고기양념, 고추장을 놓아 완성했다. 채 5분도 걸리지 않았다. 그런데 그 맛은 놀라웠다. 부드럽고, 적절히 간이 된 나물과 반숙달걀, 고기양념이 어우러져 기대 이상이었다. 2인분에 한국 돈 6000원가량으로 가격도 착해 아주 만족스러웠다.

이제 일본 편의점에 가면 일본 라면 옆에 여러 종류의 한국 라면들이 너무나 자연스럽게 자리 잡고 있다. 더 놀라웠던 것은 규슈(九州) 친정집 근처의 대형마트에는 ‘국제시장’이라는 한국 식품의 프랜차이즈점이 입주해 있다는 점이다. 김, 각종 음료수와 과자는 물론이고 인스턴트 면은 아주 다양해 최신 상품을 비롯해 30여 종류가 있었던 것 같다. 또한 냉동식품, 삼계탕, 진공 포장된 순대나 족발 등 다양한 한국 식품들을 만날 수 있었다. 그 옆에는 한국 치킨집도 있었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코로나 이후 일본에서 인기 높아진 한국 식품[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2.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이렇게 한국 식품점포가 몇 년 사이 일본 전국에 늘어나고 있다. 온라인 매장의 상품은 더 다양해 한마디로 없는 게 없었다. 한 온라인 매장에서는 25가지 라면을 무작위로 골라 하나의 세트로 팔고 있어 인기가 높았다. 이제 일본에서는 맛있고 다양한 한국 식품을 쉽게 구할 수 있게 됐다.

일본에서 한국 식품의 소비자가 한류 이전에는 거의 한국인이었고, 한국 요리라 하면 불고기, 비빔밥, 국밥 정도였다. 이런 상황이 변하기 시작한 것은 2003년경으로 드라마 ‘겨울 연가’의 인기가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특히 2005년 사극 드라마 ‘대장금’이 NHK에서 방송되며 그동안 서민적 이미지의 한국 요리에 ‘고급스럽고 심오한’ 이미지가 더해졌다.


2010년부터는 케이팝이 유행했고, 2016년 겨울경부터 Z세대를 중심으로 ‘한국 스타일(韓國っぽ)’이라는 단어가 등장했다. 한마디로 한국적인 것이 ‘귀엽고 멋진’ 것으로 인식됐다. 치킨, 특히 양념치킨, 치즈닭갈비, 치즈핫도그가 인기를 끌었다. 한국 음식 사진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용으로 각광받았다.

최근 코로나로 또 변화가 왔다. 한일 간 왕래가 어려워진 것이다. 홋카이도에 거주하는 한국 영화 전문기자 H 씨에 의하면 2020년 중반부터 한국 식품을 취급하는 업소가 급속도로 늘어났다고 한다. 일본에서 여행사를 운영했던 교포들이 코로나로 타격을 받자 한국 식품 수입, 판매를 시작했다고 한다.

많은 직장인들이 재택근무에 들어가며 넷플릭스를 비롯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즐겼고, ‘사랑의 불시착’ ‘이태원 클라쓰’ ‘음식프로’ 등 한국 콘텐츠가 큰 인기를 끌게 된다. 더불어 한국 식품 수요도 증가했다. 한국 문화를 즐기는 색다른 방법으로 ‘한국여행놀이(도한놀이·渡韓ごっこ)’와 ‘도칸스(도한놀이+호캉스·호텔에서 한국으로 바캉스 간 모습을 연출해 사진을 찍으며 즐기는 것)’ 등도 등장했다.

일본에 다녀온 후 난 새로운 고민이 생겼다. 일본에 가기 전 현지 제자에게 “먹고 싶은 것이 뭐야? 뭐 사다 줄까?”라고 물으니 “다 있으니 안 가져오셔도 돼요”란 말을 들었다. 예의상 대답한 것이라 생각해 적지만 이것저것 사갔는데, 바로 후회하고 말았다. 정말로 가져간 걸 모두 일본에서 쉽게 살 수 있었다. 이제 어떤 한국 선물을 사가면 좋을 것인가? 김이나 과자, 라면 같은 식품은 굳이 가져갈 필요가 없게 됐다.

최근 한국 정부가 일본인 관광객에게 무비자 입국을 10월 말까지 연장하기로 발표했다. 내 주변 지인들은 다 한국에 여행 가고 싶어 한다. ‘한국여행놀이’나 ‘도칸스’를 즐겼던 세대들은 이제 진짜 한국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 관광이 정상화되기까지 좀 더 시간이 걸리겠지만, 머지않아 일본에서 많은 관광객들이 몰려올 것이다. 이 관광객들의 눈과 입이 즐거웠으면 한다. “역시 본고장이야”라고 느끼게끔 새로운 아이디어와 따뜻한 정(情)으로 이들을 친절하게 맞이했으면 한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20902/115267070/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674

올 수시 최고 경쟁률은 서경대 실용음악과... 3명 모집에 1863명 지원

2019학년도 대학 수시원서 접수 결과 실용음악과에 지원자가 대거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4년제 대학 수시 원서접수 결과, 최고 경쟁률을 기록한 모집단위는 서경대 실용음악학과 보컬 전공으로 3명 모집에 1863명이 지원, ...

지역에서 삼삼오오 모인 세대 간 인문 활동, 우리 동네 어른들이 뭉쳤다 ‘삼삼오오 인생나눔활동’ 수도권 지역 본격 시작 알려 file

서경대 예술교육센터, 서울·경기·인천 지역 ‘삼삼오오 인생나눔활동’ 49개 그룹 활동 본격 시작 장년·노년이 주체가 되어 지식·재능·지혜를 다른 세대와 공유하는 지역중심 소규모 인문 활동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예술교육센...

열정 하나로 621대 1의 경쟁률을 뚫다: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실용음악학과 19학번 보컬전공 황애림 양 합격기 file

노래 부르는 것이 즐겁고 관객 앞에 서는 것을 좋아했다 어렸을 때부터 온 가족이 음악을 좋아했다. 차를 타고 놀러가거나 집에 있을 때에도 틈만 나면 항상 음악을 함께 듣고 불렀다. 부모님께서 얘기해 주신 일화를 들자면...

서경대학교, 주식회사 비너세움과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설치를 위한 산학협력 협약 체결 file

5월 19일(화) 오후 3시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서 서경대, 2021학년도부터 정원 20명의 ‘헤어디자인학과(민스헤어반)’ 신설, 운영 ㈜비너세움, 민스헤어반 학생에 등록금 50% 이상 4년간 지원 서경대학교-(주)비너세움 협약 체결 ...

반장식 동문, 청와대 일자리수석비서관에 임명돼…서경대 법학과 28회 졸업, 김동연 경제부총리 4년 선배, 두 동문의 성공적인 국정 운영 ‘기대’ file

반장식 청와대 일자리수석비서관 (출처=위 뉴시스, 아래 아시아경제) 서강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인 반장식 동문이 7월 3일 청와대 일자리수석비서관에 임명됐다. 반장식 동문은 서경대학교 법학과 28회 졸업생으로 지난 6월 문재인...

[장석용 서경대 교수의 시네마 크리티크] 미셸 공드리 감독의 <수면의 과학, 106min, 2006> - 꿈과 사랑의 함수관계에 걸쳐있는 영화적 상상력 file

2018년 1월 11일 재개봉 프랑스 영화감독 미셸 공드리 감독의 <수면의 과학>이 12간지를 넘어 황금개띠해에 재개봉 된다. 여성 같은 이름을 가진 영화감독은 여성 이상의 섬세한 감각과 감성으로 꿈에 관한 영화적 상상력을 발...

서경대 캠퍼스 순례 ① 청운관 file

학과별 과실과 동아리방 등 밀집, 학생들이 가장 많이 찾아 식당과 매점, 미용실, 피부관리샵, 복사실, 서점, 보건진료소도 있어 학교생활에 편의와 휴식 도와 서경대학교 청운관은 폭풍의 언덕을 올라 왼쪽으로 고개를 들면 보이...

이철민 서경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의 『한국 거주환경에서의 실내 라돈 농도(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Korea residential environments)』 제목의 연구논문, 환경과학분야의 권위 있는 SCI급 국제학술지인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ESPR)’ 온라인판 2월호에 실려…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의학’ 3월호에도 ‘우수 논문’으로 선정돼 file

「방사선의학 월간동향 웹진」 보도 내용 서경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위해성평가연구소의 이철민 교수와 석사과정으로 재학 중인 박태현 학생이 작성한 『한국 거주환경에서의 실내 라돈 농도(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

서경대, 2020학년도 수시 원서접수 최종 경쟁률 19.16대 1 file

1,009명 모집에 1만 9,331명 지원…최고 경쟁률은 실용음악학과 보컬전공 347.40대 1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2020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9월 10일 오후 5시 기준) 1,009명 모집에 1만 9,329명이 지원해 평균 ...

전국 대학 평균 경쟁률 9.4대1…논술·적성 전형에 지원자 몰려

종로학원 2019 대입경쟁률 분석 수도권 대학 선호현상 여전해 서강대가 올해 신입생 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 대학 기준으로는 평균 경쟁률 9.4대1을 기록했다. 아울러 수도권 대학 전반적으로 경쟁률이 높게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