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이 중요한 세상이 되었다. 스타트업 중 10억달러 이상의 가치를 지닌 유니콘 기업은 전 세계적으로 800곳에 달한다. 가장 큰 유니콘 기업은 틱톡을 개발한 바이트댄스(Byte dance)로 1400억달러의 가치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5곳 정도가 유니콘 기업에 해당한다.

유니콘 기업은 창업의 대표적 사례다. 유니콘 기업을 일군 이들은 기업가정신을 가진 사람들이다. 이런 기업가정신은 어디서부터 온 것일까. 천성적인 경우도 있겠지만, 기업가정신은 후천적인 교육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많은 연구 결과가 보여준다.


선진국은 창업 교육에 많은 공을 들인다. 미국에는 창업 고교가 있다. 이 학교에서는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도 스스로 자기 고용을 할 수 있는 인재, 경제생활과 사회생활을 독자적으로 해낼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 방학 중에는 실리콘밸리에서 인턴을 하고, 재학 중에는 스타트업 프로젝트 수행이 의무이다. 특히 샤크탱크(Shark Tank·미국에서 제작·방영된 창업 오디션 프로그램) 형태의 교육으로 실전 능력을 키워준다.


핀란드는 모든 초·중·고교 필수과목에 기업가정신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스라엘 역시 체계적이고 세밀한 어린이·청소년 창업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선진국은 아니지만 중국은 ‘대중창업 만인창신(大衆創業 萬人創新)’이라는 구호 하에 국가 차원에서 창업을 장려하고 있다. 창업단과대학만 300곳 이상이 있다.


그러나 한국의 창업 교육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대학에서는 비교적 활발히 창업 교육이 이루어지는 편이다. 그럼에도 창업은 아무나 할 수 없는 것으로 치부한다. 그러다 보니 창업 교육이 형식적인 측면이 많다. 일부 초·중·고교에서 학생들을 상대로 창업 교육을 하고 있고, 일반인들을 상대로 한 창업 프로그램도 있지만, 일반 국민이나 청소년의 관심 수준은 매우 낮다. 학부모들도 창업을 위험한 것으로 인식해 창업이란 단어만 들어도 거부한다. 한국의 창업 여건이 척박하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글로벌 기준 스타트업 실패율이 5년 기준 50%, 10년 기준 70%인데, 한국은 5년 이내 실패율이 72%로 나타나고 있다.


결국 창업 교육 강화가 해답이다. 첫째, 새로운 생각, 혁신적 사고,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질문 중심으로 교육을 바꿔야 한다. 1990년 팀 버너스 리는 개인들을 연결하는 수단이 될 것을 기대하고 플랫폼 월드와이드웹(www)을 만들었다. 이는 세상의 모든 것을 연결시키는 계기가 됐고, 여기서 파생된 스타트업이 무수하다. 구글도 월드와이드웹이 나왔기에 가능한 기업이다. 일론 머스크가 세운 스페이스X도 2001년 화성 오아시스라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애플은 새로운 생각으로 세상을 바꾸었다. 다르게 생각하라(think difference)가 애플의 모토이고, 혁신의 상징이 되었다.


둘째, 유치원부터 초·중·고까지 체계적 창업 교육이 필요하다. 교과서 속 지식이 세상 지식의 전부는 아니다. 어릴 때부터 창업 교육을 통해 혁신성, 진취성, 위험 감수성, 자율성과 같은 기업가정신을 키워줘야 한다. 그리고 이런 창업 교육은 창업 마인드, 창업 스킬, 창업 실무가 적절히 조화되어야 한다. 셋째, 국가의 장기적 창업 교육 플랜이 필요하다. 이스라엘은 모두가 인정하는 창업 국가다. 유럽연합은 창업 교육 구상인 ‘오슬로 어젠다’를 통해 학생들을 위한 교육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한국처럼 인구는 많고, 자원이 빈약한 나라에서는 창업만이 살길이다. 이를 위해 전 생애적 창업 교육 플랜을 세울 필요가 있다. 정부가 나서 창업 교육 국가를 선포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원문출처>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opinion/contribution/2022/08/29/3VQBJ6RL75ASBBDP5DA54ZVOBE/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394

서경대학교, 학업성적 부진한 학생 지원 위한 Ability Compaction 프로그램 운영 file

학업증진 프로그램인 Ability Compaction에 참가한 학생들이 수강에 열중하고 있다. 서경대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는 MLST 학습전략검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해 학업성적이 부진한 학생이 자신의 학습스타일을 진단하여 자신에게알맞는...

[진세근 서경대 교수 칼럼] 解氷<해빙> file

해빙은 해동(解凍)이라고도 한다. 봄이 혹한을 밀어내는 모습이다. 중국에서는 파빙(破氷)이라고 쓴다. 해빙이 ‘절로 이뤄졌다’는 느낌이 짙은 반면, 파빙은 ‘의지와 힘으로 해냈다’는 메시지가 강하다. 중미 간 파빙은 1972년 ...

[김유경 서경대 미용예술대학 교수 기고] ‘화유기’ 오연서의 메이크업... ‘아련함을 머금은 소프트 매트’ file

김유경 교수의 드라마 속 뷰티 따라잡기-④ [한강타임즈] 환타지를 소재로 한 드라마의 유행이 한창이다. 어린시절 동화에서 보았던 동화요괴의 대명사 <도깨비>도 현대에는 롱코트를 입고 멋지게 환생했다. 정말이지 작가님들 존경...

서경대학교, 서울특별시성북강북교육지원청과 ‘지역연계 학교 종합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최영철 서경대 총장(왼쪽)과 안성철 서울특별시성북강북교육지원청 교육장(오른쪽)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서울특별시성북강북교육지원청(교육장 안성철)과 1월 24일(수) 오전 10시 30분 서경대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지역연계 학교...

서경대학교, 학생 대표자들의 리더십 강화를 위한 ‘‘S-Leaders Camp’ 개최 file

서경대학교(최영철 총장)는 1월 24일(수) 교내 북악관 102호에서 학생 대표자들의 리더십 강화를 위한 ‘S-Leaders Camp’를 진행했다. 장규섭 서경대 46대 총학생회장 등 총학생회 회장단과 5개 단과대학 및 23개 학과(부) 학생회...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의 한국 블로그]열도의 밑동에서 꿈틀거리는 한류 file

일러스트레이션 박초희 기자 choky@donga.com “지금 한국어로 얘기하신 것 맞죠?” 일본의 작은 도시에서 전화를 마친 내게 한 여인이 호기심 가득한 눈빛을 반짝이며 건넨 말이다. 나는 지난 연말연시를 고향인 규슈(九州)의 ...

서경대학교 창업지원센터 대표 창업소모임‘강연 읽어주는 남자’, 교육부 주최‘2017 대학 창업유망팀 300’경진대회서 우수 100팀에 선정돼 file

서경대학교 창업지원센터(센터장 박일순 교수)의 대표 창업소모임인‘강연 읽어주는 남자'가 교육부 주최‘2017 대학 창업유망팀 300’경진대회에서 우수 100팀에 선정됐다. 교육부가 주최하고 한국연구재단,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산...

‘이런 꽃 같은 엔딩’ 이호정(서경대 평생교육원 모델학 전공 재학), 당찬 커리어우먼 역할로 이미지 변신 성공 file

자료사진.(사진제공=YG 케이플러스 공식 홈페이지) 모델 겸 배우 이호정이 웹드라마 ‘이런 꽃 같은 엔딩’(이하 꽃엔딩)에서 커리어우먼 캐릭터 역할을 맡아 연기 변신에 성공했다. 꽃엔딩은 결혼을 앞둔 20대 남녀의 고민을 현...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2018 인생나눔교실’ 사업 수도권 지역 주관처로 선정돼 file

올해 군부대, 중학교, 보호관찰소, 아동시설 등 46개 멘티 기관 찾아 600여 회 멘토링 실시 예정 ‘2018 인생나눔교실’ 수도권 지역 멘토 봉사단 46명 모집 *사진제공: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센터장 김범...

박춘란 교육부 차관, ‘청소·시설관리·수송 노동자 76명 직고용’ 서경대 격려 방문 file

박춘란 교육부 차관(오른쪽)이 2일 서울 정릉에 있는 서경대를 방문, 최영철 서경대 총장과 청소 노동자 고용에 대해 얘기를 나누고 있다. 박 차관은 76명의 청소 등 근로자를 직고용하고 있는 서경대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