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일본의 밥도둑 '멘타이코'가 된 한국의 명란젓 일러스트레이션.jpg

지난주 2년 만에 일본 고향을 가기 위해 후쿠오카(福岡)국제공항에 내렸다. 그리고 곧바로 ‘하카타의 음식과 문화 박물관’을 찾았다. 그곳은 일본에서 ‘멘타이코(明太子)’의 상품화에 앞장서 온 기업 ‘후쿠야’가 ‘멘타이코’에 관한 지식과 매력을 소개하는 아담한 박물관이다.

‘멘타이코’란 명태(明太)의 알(子)을 뜻하는데, 그것을 소금에 절인 후 고춧가루 등을 넣은 양념으로 맛을 가미한 일본식 명란젓을 말한다. 약간 고추의 매운맛이 나서 ‘가라시멘타이코(辛子明太子)’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jpg

한국의 가족이 젓갈을 좋아해서 나는 두세 달에 한 번, 서울 중부건어물시장에서 젓갈을 사곤 한다. 낙지젓, 조개젓, 오징어젓…. 그중 하나가 명란젓이다. 명란젓은 한국에서 여러 젓갈 중 하나에 불과하지만 일본에서는 독립된 존재감을 과시하며 후쿠오카의 특산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나는 그 까닭을 알고 싶었다.

박물관에 도착해 먼저 ‘멘타이차즈케(明太茶漬け) 정식’을 먹었다. 그리고 후쿠오카에서 정보기술(IT) 기업에 근무하는 한국인 제자와 공장을 견학하며 역사와 제조 과정을 배웠다. 또 ‘멘타이코 만들기’ 체험도 했다. 그냥 젓갈인 줄 알았는데 양념의 양이나 넣는 타이밍 등을 정리한 레시피가 있어 나름 진지하게 참여했다.

후쿠오카에 사흘간 머물었는데 나는 ‘멘타이코’를 소재로 한 것이 너무 많아 놀랐다. 어느 음식점에 가도 한두 가지는 ‘멘타이코’ 메뉴가 있었다. 멘타이파스타, 멘타이바켓, 멘타이고로케, 멘타이샌드위치, 멘타이돈코쓰라멘 등 후쿠오카 사람들이 ‘멘타이코’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알 수 있었다. 같은 규슈 사람으로 부럽기까지 했다. 여러 가지를 먹어 봤는데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멘타이코 아이스케키’였다. 더위에 지쳤었는데 무척 시원했고, 매운 명란젓 맛의 여운이 묘하게 남았다.

이처럼 ‘멘타이코’가 지역의 인기 상품이 되기까지, 1949년 후쿠오카에서 처음 멘타이코를 상품화한 ‘후쿠야’의 창업자 가와하라 도시오(川原俊夫·1913∼1980) 사장의 존재를 뺄 수 없다. 그는 부산에서 태어나 성장했으며 종전 후 후쿠오카에 돌아와 식품업을 시작했다. 그 와중에 부산 초량시장의 건어물상에서 사먹었던 명란젓 맛이 잊혀지지 않아 재현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리고 10년에 걸쳐 일본인의 입맛에 맞게 개선을 거듭했다. 그렇게 ‘멘타이코’는 서서히 후쿠오카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졌고, 1975년 도쿄∼하카타 간 신칸센이 이어지며 전국적으로 퍼져가게 됐다.

가와하라 사장은 ‘원조’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고, 제품의 특허등록도 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많은 가게가 ‘멘타이코’를 만들 수 있게 장려까지 했다고 한다. ‘멘타이코’가 지역의 특산품으로 자리 잡는 데 공헌이 작지 않은 것이다. 이렇게 그의 ‘멘타이코’와 지역이 함께 성장한 이야기는 ‘멘타이피리리(めんたいピリリ)’라는 제목으로 2013년 이후 TV 프로그램, 영화, 연극 등으로 반복해 만들어져 인기를 얻고 있다. 또 1974년에 쇼토쿠멘타이시(聖德明太子)라는 붉은색 멘타이코 캐릭터도 등장해 ‘멘체조’라는 특이한 춤을 추면서, 지금까지 후쿠오카와 멘타이코 홍보에 노력하고 있다.

현재 ‘가라시멘타이코’를 생산하는 전문 업체는 후쿠오카에만 약 200개고, 서로 경쟁하며 품질 유지와 새로운 제품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이런 노력으로 ‘멘타이코’는 후쿠오카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사랑받게 된 것이다. 일본의 온라인 사이트 ‘우리 랭킹(みんなのランキング)’ 7월 27일 자에 따르면 현재 ‘멘타이코’는 ‘후쿠오카를 떠오르게 하는 것’ 1위, ‘밥도둑’ 2위, ‘삼각김밥 속 재료’ 4위를 차지하며 인기를 증명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에서 태어난 명란젓은 일본의 ‘밥도둑’이 됐다. 후쿠오카의 얼굴로서 지역을 활성화하는 음식 콘텐츠로서 더욱 빛나고 있다. 식문화가 서로 오가며 또 새로운 문화로 창조된다는 것은 늘 흥미롭고 즐거운 일이다. 나는 한국의 명란젓도, 비슷하지만 약간 다른 일본의 멘타이코도 각각 맛있고 모두 좋아한다. 마지막으로 멘타이코 전문점에서 만난 한 여직원은 내가 한국에서 왔다고 하니 “한국의 명란젓이 없었다면 후쿠오카의 멘타이코도 존재하지 않았다”고 얘기하며 미소 지었다. 나도 미소로 화답하며 헤어졌다.

<원문출처>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724

서경대학교 헤어디자인학과 이·미용 봉사팀 ‘아르케’, 2022년 농촌재능나눔 봉사활동 실시 file

서경대학교 헤어디자인학과의 11명의 학생들로 구성된 이·미용 봉사팀 ‘아르케’(대표 정현광 학생)는 진용미 학과장과 김선혜, 김유정 등 소속 교수진과 함께 지난 7월 11일부터 14일까지 나흘간 인천 옹진군 영흥면에서 2022...

논술우수자전형 신설… ‘특성화 명문 종합대학’ 부상 file

[2023 대학 가는 길] 서경대학교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2023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입학정원 1309명 중 정원 내 862명을 선발한다. 올해 전형의 특징은 ▲이공대학 소프트웨어학과 정원이 기존의 80명에서 120명으로 40명 ...

[전문가칼럼] 효율적 시장에서의 효율적인 투자전략 file

우리가 대학교에서 ‘투자론’이라는 과목을 배울 때 반드시 듣게 되는 이론이 있다. 바로 효율적 시장가설이라는 말이 있다. 효율적 시장 가설(EMH : Efficient Market Hypothesis)이란 가격은 상품에 대해 얻을 수 있...

서경대학교, 성북경찰서와 학생 생활 안전 위한 상호 협력 합의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8월 29일(월) 신임 인사차 본교를 방문한 정영오 성북경찰서장과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2학기 전면 대면수업을 앞두고 학생들의 안전한 학교생활을 위해 양 기관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서경대, 3년 연속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GKS) 한국어 연수과정 운영 대학’ 선정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이 주관하는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 (GKS: Global Korea Scholarship) 한국어 연수과정’의 운영 대학으로 2020년, 2021년에 이어 2022년 3년 연속 선정됐다. 정부초청...

대학, 지역과 상생·협력을 도모하다!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 알아보기 file

서경대학교를 비롯한 서울의 여러 대학들은 대학과 지역이 상생·협력을 도모하고 함께 자원을 공유하며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해 살아 움직이는 창업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ICT 문화융합 ...

[라이프 트렌드&] 우영우 고래, AI 세종대왕 … 광화문광장에서 만나보세요 file

광화담·광화벽화·광화수 등 실감형 콘텐트 ‘광화시대’ 즐기는 방법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건물 외벽을 기역자 형태로 둘러싸고 있는 초대형 LED 스크린 ‘광화벽화’에서는 고래를 비롯한 다양한 실감형 콘텐트를 감상할 수...

[구자억 서경대학교 혁신부총장 기고] ‘취업’보다 ‘창업’ 중심으로 교육 바꿔야 미래 있다

스타트업이 중요한 세상이 되었다. 스타트업 중 10억달러 이상의 가치를 지닌 유니콘 기업은 전 세계적으로 800곳에 달한다. 가장 큰 유니콘 기업은 틱톡을 개발한 바이트댄스(Byte dance)로 1400억달러의 가치가 있다. 우리나라의...

2차 국가장학금 신청, 잊지 말고 신청하자! file

서경대학교를 비롯해 전국 대학교의 대학생들 대부분은 국가장학금 혜택을 받고 있다. 국가장학금은 대학생의 등록금 부담 완화를 위해 소득과 재산이 일정 수준(학자금 지원 8구간) 이하인 대학생 가운데 성적 기준 등을 충족한 ...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서울신용보증재단 성북지점과 ‘Green 성북 캠페인‘ 운영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관내 소상공인 경영 컨설팅 및 시설개선 등 지원키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단장 김범준)은 서울신용보증재단 성북지점과 8월 22일 서울신용보증재단 성북지점회의실에서 ‘Green 성북 캠페인’ 운영...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