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막선거 끝나면 버려지는 현수막 줄일 수 없을까요.jpg


얼마 전 지방선거가 끝나고, 선거 때 사용했던 홍보 현수막으로 장바구니나 앞치마 등을 만들어 ‘새활용한다는 뉴스에 귀가 솔깃했다. ‘새활용(업사이클)’이란 버려지는 쓰레기, 자원에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더해 더 가치 있는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것으로 재활용(리사이클)’에 비해 가치를 확장한 것이다. 내가 귀를 기울인 까닭은 현수막을 다시 활용했던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나는 2017년 이후 한동안 여러 행사에 사용된 현수막으로 모빌 작품을 제작해 왔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 어학부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한국은 선거철이 되면 온 거리가 빨강, 파랑, 노랑, 녹색 등 원색으로 물든다. 후보자나 정당을 홍보하는 현수막이 나붙기 때문이다. 나는 그런 모습을 힘이 넘치는 한국적인 풍경으로 흥미롭게 바라보았다. 하지만 올해는 그런 익숙한 풍경이 어딘가 불편했다. 3월에 대통령선거, 이달 초에는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잇따랐고 현수막은 거리에 계속 넘쳐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공한 숫자로 보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따르면 지난 지방선거 때 거리에 게시된 현수막은 총 128000여 개로, 10m 길이의 현수막을 한 줄로 이으면 1281km나 된다. 이는 서울에서 도쿄까지 갈 수 있는 거리이며, 무게 또한 192t에 달한다고 하니 놀라움을 넘어 경악하게 할 수치다.

 

게다가 이 현수막은 플라스틱 합성섬유로 만들어져 소각해 처리할 경우 온실가스, 발암물질 등이 다량 배출된다고 한다. 다 처리하려면 일회용 커피잔 1000만 개를 처리할 때 발생하는 온실가스가 나온다고 하니 공포가 따로 없다.

 

그래서 나는 새활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지난주 서울 성동구에 소재한 서울새활용플라자에 가봤다. 이곳은 중랑하수처리장과 인접해 있어 특별한 구역에 온 것 같았다. 여유롭게 지어진 건물은 외부와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내부 공간도 가운데 계단으로 돼 있어 열린 느낌이었다. 이곳은 새활용의 다양한 정보를 직접 보고, 듣고, 체험하고, 실천으로 이어지게 돕는 복합 문화공간이었다.

 

새활용이 무엇인지 알아가는 공간인 새활용하우스’, 버려진 폐기물들이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소재로 재탄생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그 소재를 제공해 주는 소재은행’, 다양한 공구와 최첨단 기계를 사용해 창작할 수 있는 공간인 꿈꾸는 공장’, 그리고 입주기업들의 사무실로 꾸며져 있었다.

 

이전에 모빌의 소재로 현수막을 사용한 이유는 행사 정보를 작품에 담을 수 있고, 그 기억을 간직할 수 있어 사회성과 역사성을 가진 소재라 여겼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색깔이 눈에 잘 띄고, 인쇄된 한글 문자가 사랑스러우면서 뛰어난 예술성을 지녔기 때문이다. ‘세계 여성의 날’ ‘한글날등 서울시청, 광화문 일대에서 문화적인 행사가 있을 때는 참여하면서 현수막을 보고 다녔다. 그리고 마음에 둔 현수막이 있으면 행사가 끝날 때를 기다렸다가 얻어가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 현수막을 다뤄 보니 어려움도 많았다. 양쪽의 고정용 나무, 수많은 못, 긴 길이와 무거운 중량, 강한 휘발성 냄새가 문제였다. 세척하고 말리는 것도 일반 가정에서는 쉽지 않았다. 선거용 현수막이라면 사람의 얼굴이나 이름 등을 제외해야 해서 쓸 수 있는 것은 일부분이고, 이 과정에서 대량의 쓰레기가 발생한다. 새활용플라자의 소재은행은 이런 어려움을 해결해 주기에, 새롭게 활용한다며 또 다른 폐기물을 만들어냈던 나를 반성하게 했다. 폐현수막의 새활용도 중요하지만 먼저 현수막 사용을 줄이고, 현수막을 만든다면 소재를 재생이 더 용이한 것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새활용플라자에서 내 눈길을 끈 것은 쉐어라이트의 폐LED칩으로 만든 촛불로 밝히는 LED조명기휴대용 물 살균기였다. 전기가 없거나 수질이 나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돕고 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처럼 새활용의 전제는 억지로 사용하게 하기보다 새로운 가치 있는 것을 만드는 것에 있다. 사회나 사람들의 생활에 유익하게 새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견학의 마지막에 테트라팩 화분 만들기를 받았다. 그리고 맞은편 서울하수도과학관에서 압축토양과 상추씨앗을 선물 받았다. 이번 주말에는 씨앗을 심고 키워 보고자 한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20623/114086452/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5578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지방기능경기대회 메달 잔치 file

2018년 서울 ·인천· 강원 지역 지방기능경기대회서 금2 · 동1 수상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학장 김범준)이 지난 4월 4일(수)부터 9일(월)까지 6일간 열린 2018년도 지방기능경기대회에 참가해 금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수상했다. ...

서경대 문화콘텐츠학부, ‘완득이’, ‘우아한 거짓말’, ‘오빠생각’ 등으로 유명한 이한 영화감독 초청 특강 개최 file

4월 3일(화) 오후 3시 교내 혜인관 410호서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학과장 이희주)는 ‘완득이’, ‘우아한 거짓말’, ‘오빠생각’ 등으로 유명한 이한 영화감독을 초청, 4월 3일(화) 오후 3시 서경대학교 혜인관 410호에서 ...

[신혜원 서경대 교수 칼럼] 아이를 키우면서 부모는 더 현명해지고 성숙해진다 file

[좌충우돌 아이와 함께 성장하기] 부모가 된다는 것의 의미는? 아이에게 양육을 제공할 때 아이의 상황이나 기분, 욕구 등을 잘 살피고 이에 적절한 방법으로 양육으로 제공해야 합니다. ⓒ베이비뉴스 아이를 키우는 일은 매우...

양의식 서경대 대학원 공연예술학과 초빙교수·한국모델협회 회장 “모델은 그 나라의 패션과 뷰티 산업 발전의 척도이자 아이콘” file

한국모델협회 양의식 회장은 모델 에이전시가 정립이 잘 되어 있지 않은 시기에 가방에 사진을 넣어 직접 발로 뛰어 면접을 보러 다녔고, 모델이 되었다. 150여 개의 TV 광고, 3,000여 개의 패션 카탈로그와 지면, 삼성전자...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2018 인생나눔교실」멘토봉사단 발대식 개최 file

올해 군부대, 중학교, 지역아동센터, 보호관찰소 등 찾아 600여 회 멘토링 실시 예정 선배세대 멘토 봉사단 46명 대상 공통교육 및 발대식 진행 <인생 더하기> 일일멘토 가수 션, ‘지금은 선물이다’ 주제로 특강도 열어 ' 서...

미대 편입보다 빠른 학위취득 가능… 서경대 평생교육원 시각디자인학전공 file

미대 편입의 대안으로 서경대학교 평생교육원의 시각디자인학전공 5학기제가 알려지고 있다. 5학기제는 졸업 요건인 140학점을 5학기 안에 이수할 수 있는 제도로, 전공학점과 교양학점 이수를 통해 105학점 취득, 자격증 취득으로...

[한강T-현장스케치] 종로 ‘한복사랑캠페인’ 누적 참여인원 2600명 돌파 file

[한강타임즈 윤종철 기자] 종로 인사동에서 추억도 만들고 봉사점수도 받을 수 있는 ‘종로한복사랑캠페인’이 중ㆍ고등학생들에게 큰 인기를 얻으면서 행사 시작 16회째 만에 누적 참여 학생이 2600명을 돌파했다. 행사를 진행하...

‘서경대 사람들’ 인터뷰: ‘바람’ 총학생회 회장 장규섭 군과 부학생회장 이두연 군 file

“학생들의 바람을 이뤄 드리겠습니다.” “학생들만을 바라보고 그들 속으로 들어가 봉사하며 일하고 싶습니다.” 역대 많은 총학생회의 목표는 대부분 소통을 통해 학생들의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번...

[구병두 서경대 교수의 교육칼럼] 부(富)의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시급하다 file

서경대학교 인성교양대 구병두 교수 최근에 루스벨트 연구소(Roosevelt Institute)에서 발간한 보고서에 의하면 오늘날 미국의 불평등은 자본주의의 불가피한 진화로 초래된 것이 아니라 경제를 지배하는 규칙(rules)과 이를 제도화...

[카드뉴스] 띵언 뺨치는 대학 슬로건 file

#우리학교_슬로건은_뭐지? 띵언 뺨치는 대학 슬로건 경희대학교 그대 살아 숨쉬는 한 경희의 이름으로 전지하라 고려대학교 너의 젊음을 고대에 걸어라, 고대는 너에게 세계를 걸겠다. 목포해양대학교 To the sea, to th...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