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 19 펜데믹이 엔데믹으로 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정부나 지자체, 기관과 기업에서 대학생 공모전 및 대외활동 개최를 확대하면서 이에 참여하려는 대학생들의 움직임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학기 중 잠시나마 숨을 돌릴 수 있는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사이의 기간 동안, 자신의 전공이나 관심 분야에 대한 열정을 더 가치 있게 발산하고 다양한 목표를 설정해 도전해보고 싶은 학우들을 위해 20221학기 기말고사 전, 도전해 볼 만한 공모전은 뭐가 있는지 소개하고자 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공모전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공모 주제, 일정, 시상 및 특전 등을 정리해 보았다. 각자의 관심 분야에 맞는 공모전에 참가해 값진 성과를 얻어 한 학기를 보람차게 마무리할 수 있길 바란다.

 

2022 서민금융 영상 공모전

 

2022 서민금융 영상 공모전.jpg


서민금융진흥원이 주최하는 ‘2022 서민금융 영상 공모전52()부터 630() 17시까지 참가자들의 신청을 받고 있다.

 

서민금융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개인 또는 3인 이하의 팀으로 응모할 수 있으며, 1분 이상 5분 이내의 영상을 공모전 접수 폼을 통해 접수하면 된다.

 

주제는 총 세 가지로, ‘2021년 서민금융 이용수기 수상작 활용’, ‘서민금융진흥원 기관 소개’, ‘서민금융상품 및 서비스 소개중 하나를 선택하여 주제에 적합한 내용의 영상을 제작해야 한다. 드라마, 다큐멘터리, 뉴스, 인터뷰, 모션그래픽, 애니메이션 등 각자가 선택한 주제에 적합한 형태라면 어떤 장르라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접수된 작품은 가장 먼저 홍보 전문가의 심사를 거쳐 1차 통과작을 선정한 후, 선정된 1차 통과작을 대상으로 서민금융진흥원 유튜브를 통한 국민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국민심사 결과와 영상 전문가의 2차 점수를 취합하여 7월 말에 최종 수상자를 선정, 발표 후, 8월 초에는 시상식도 예정되어 있다.

 

서민금융진흥원에서는 최우수상을 받은 1팀에게 상금 200만 원, 우수상을 받은 2팀에게는 각 100만 원을 수여할 예정이다. 또한, 장려상을 받은 3팀에게는 각 100만 원, 입상을 수상한 4팀에게는 각 30만 원을 수여한다.

 

해당 공모전과 관련한 자세한 정보 및 문의는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www.kifa.or.kr/

 

2022년 제6회 관광지식 카드뉴스 공모전


2022년 제6회 관광지식 카드뉴스 공모전.jpg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2022년 제6회 관광지식 카드뉴스 공모전이라는 이름으로 56()부터 67()까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 분야 연구보고서를 활용한 10장 내외의 카드뉴스를 접수한다.

 

대학()생이라면 누구나 개인 또는 4인 이내의 팀으로 참여할 수 있다. 참여를 원하는 사람은 일상회복과 관광함께 성장하는 관광산업’, ‘지속가능한 관광중 하나를 선택해 주제에 맞는 카드뉴스를 제작하면 되는데, 2종 이상의 연구보고서를 활용하는 경우나, 관광지식정보시스템 내 정기간행물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가산점이 부여될 예정이다.

 

카드뉴스는 1장당 900px*900px 사이즈보다 커야 하며, PNGJPEG 등 이미지 파일로 신청받으나, 수상작에 한하여 PSD, AI, PPTX등의 원본 파일이 요구될 수 있다. 저작권 사용에 문제가 없는 폰트 및 이미지를 사용해야 하며, 공모전 수상작은 필요에 따라 폰트 및 이미지가 2차 저작물로 수정될 수 있다는 점 알아둬야 한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는 수상자 총 10팀에게 상금과 함께 한국문화관광연구원장상을 수여할 예정이다. 대상 수상자 1팀에는 상금 100만 원, 최우수상 수상자 3팀에는 상금 50만 원, 우수상 수상자 6팀에는 상금 25만 원이 수여된다.

 

해당 공모전과 관련한 자세한 정보 및 문의는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know.tour.go.kr/customer/contestevent/detail19Re.do?seq=26168

 

2022 11회 협성독서왕 독후감 공모전


2022 제11회 협성독서왕 독후감 공모전.jpg

 

협성문화재단이 ‘2022 11회 협성독서왕 독후감 공모전이라는 이름으로 독후감 공모전을 진행한다. 20세 이상의 성인이라면 독후감 부문의 일반부로 접수할 수 있으며, 기간은 71()부터 731()까지다.

 

참가를 원하는 사람은 재단에서 지정한 도서 중 한 권을 선택하여 읽고 독후감을 한 편 작성한 후, 홈페이지에 첨부된 지원 신청서와 함께 이메일로 접수하면 된다. 이미 발표된 작품이나 모방성이 의심되는 작품은 심사에서 제외되며, 시상 후에도 입상 취소 및 시상금이 환수 조치 될 수 있다는 점 유의해야 한다.

 

일반부의 지정 도서로는 도리스 레싱의 다섯째 아이’, 최은영의 밝은 밤’,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 J.D.밴스의 힐빌리의 노래가 있다.

 

협성문화재단에서는 일반부로 접수된 작품 중 총 9작을 선정해 협성문학상과 함께 상금을 수여할 예정이다. 11명에게는 200만 원, 23명에게는 각 150만 원, 35명에게는 각 100만 원씩의 상금이 수여된다.

 

해당 공모전과 관련한 자세한 문의 및 정보는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hscf.co.kr/kor/sub6_01.php?wr_id=9190

 

2022 57회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2022 제57회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jpeg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 및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2022 57회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51()부터 630()까지 작품을 신청받는다.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는 1966년에 처음 시작되어 올해로 57회째를 맞이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디자인어워드다. 해당 전람회는 미래를 선도할 역량 있는 디자이너를 발굴하고 그를 차세대 디자이너로 육성하기 위해 일반·대학()제도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다.

 

해당 공모전에는 2022630일 이전, 시장에 공개되지 않고 판매를 위해 생산되지 않은 모든 디자인을 출품할 수 있다. 출품작의 개수 제한은 없지만, 작품별 최대 5인이 팀으로서 참여할 수 있다. 재학생과 휴학생 모두 대학생으로 인정되며, 재학 및 휴학 증명서를 제출해야 한다는 점 기억해야 한다.

 

초기 개발 단계의 디자인인 컨셉, 출시 예정인 제품이나 서비스로 완전하게 또는 거의 개발이 진행된 출시 예정디자인 모두 받고 있으며, 출품 부문은 제품 디자인, 시각/정보 디자인, 디지털미디어/콘텐츠 디자인, 공간/환경 디자인, 패션/텍스타일 디자인, 서비스 디자인, 산업 공예 디자인 총 일곱 가지로 구분된다.

 

해당 공모전에서는 대상을 받은 팀에게는 상금 3,000만 원과 대통령상을, 금상을 받은 팀에게는 각 1,000만 원의 상금과 국무총리상을 수여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은상을 받은 팀에게 각 100만 원의 상금과 장관상을 수여하고, 동상을 받은 팀에게는 각 50만 원의 상금과 함께 후원 및 주관 기관장상을 수여한다. 모든 수상자에게는 상장과 상금을 포함하여 로고 사용권, 수상 작품집이 포함된 위너 패키지가 제공되며, 정부에서 인정하는 초대·추천 디자이너 위촉, ·오프라인 전시, 창업 및 상품화 연계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될 예정이다. 또한, 언론/방송 빛 온라인 인터뷰 등을 통한 작품·사업성과 홍보의 기회 또한 주어진다.

 

해당 공모전과 관련한 자세한 정보 및 문의는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award.kidp.or.kr/

 

28·22 에너지 영상 공모전


제2회 8.22 에너지 영상 공모전.jpg

 

한국전력공사와 한국가스공사가 주최하고 에너지시민연대가 주관하는 28·22 에너지 영상 공모전에서 59()부터 719()까지 에너지와 관련된 단편 영화·영상을 모집하고 있다.

 

국내외 제한 없이 에너지 문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응모할 수 있으며, 공지에 제시된 일곱 가지 주제 중 하나를 꼽아 에너지에 관련된 다양한 생각과 상상력이 담긴 영상을 제출하면 된다. 영상 길이는 22초 이상 22분 이내로 제한하고 있지만, 극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 등 형식 및 장르에는 제한이 없고, 디지털카메라나 스마트폰 등 촬영 도구도 제작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시상은 본상과 특별상으로 나뉘며, 이는 중복 수상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 알아둬야 한다. 본상에는 에너지미래상(대상), 에너지별빛상(우수상), 에너지시민상(장려상)으로 구분되며 총 7편을 선정해 약 280만원 상당의 상금과 상패를 수여할 예정이다. 또한, 특별상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환경부 장관상, 산림청장 상, 한국전력공사 사장상, 한국가스공사 사장상, 에너지시민연대 상으로 구분되며 각각 1편씩을 선정해 상장을 수여한다.

 

에너지시민연대를 검색하면 제18·22 에너지 영상 공모전의 수상작을 볼 수 있으며, 아래 이메일을 통해 해당 공모전과 관련한 정보를 문의할 수 있다.

 

energyfilmfestival@gmail.com

 

8회 사하모래톱 문학상 전국 공모전


제8회 사하모래톱 문학상 작품 공모.jpg

 

부산광역시 사하구에서 8회 사하모래톱 문학상 전국 공모전을 개최한다. 74()부터 725()까지 사하구의 역사·문화·생태·자연경관 등을 소재로 한 작품을 접수하며, 운문 분야와 산문 분야로 나뉜다. 운문 분야에는 시(5), 시조(5), 동시(5)이 해당되고, 산문 분야에는 단편소설(1), 수필(3), 동화(2)이 해당된다.

 

참가를 원하는 사람은 사하구청 홈페이지에 게시된 참가 신청서 서식을 다운로드하여 A4용지에 한글파일로 작성한 작품 원고와 함께 우편 또는 E-mail로 제출하면 된다. 200자 원고지를 기준으로 하여 단편소설은 80, 수필은 20, 동화는 30매 내외가 적절한 분량이다.

 

부산시 사하구청 문화관광과에서는 운문 분야 대상을 받은 사람에게는 2백만 원을, 산문 분야 대상을 받은 사람에게는 3백만 원을 수여할 예정이다. 또한, 분야에 관계없이 최우수상을 수상한 사람에게는 각 150만 원을, 우수상을 수상한 사람에게는 백만 원을, 가작으로 뽑힌 사람에게는 50만 원을 각각 수여한다.

 

해당 공모전과 관련한 자세한 문의 및 정보는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www.saha.go.kr/tour/contents.do?mId=0304060000


공모전 표.jpg

 

<홍보실=박진아 학생기자>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472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사람들의 이야기 모아 전시회 개최한 ‘정릉1동 주민자치회’ file

선종욱 정릉1동 주민자치회 교육분과위원장(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2020년 12월 주민자치법이 개편되면서 서울 시내에는 주민자치회가 잇따라 생겼다. 정릉1동 주민자치회도 2021년에 시작됐다. 성북구에는 정릉1동을 포함해 ...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정릉시장 소식지 발간해 상인들과 소통하는 ‘정릉시장협동조합’ file

유형곤 같이가치 정릉시장협동조합 대표(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같이가치 정릉시장협동조합은 서울 성북구 정릉시장 상인들이 가입한 비영리 단체다. 15년간 직장생활을 하다 퇴사 후 고향인 정릉시장에서 7년째 작은 세탁소...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AI 고양이 장난감을 만드는 스타트업 ‘캣코’ file

강희원 캣코 대표 캣코는 인공지능(AI) 고양이 장난감을 만드는 스타트업이다. 강희원 대표(53)가 2020년 12월에 설립했다. 강 대표는 “캣코는 고양이와 고양이를 키우는 애묘인들에게 행복함을 주는 기업”이라고 소개했다. 캣...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정릉 문화 알리미 기자단 운영하는 ‘콘팩’ file

이훈희 콘팩 대표(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콘팩’은 문화예술 기반의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기업이다. 이훈희 대표(52)가 2012년에 설립했다. 주식회사 콘팩은 ‘콘텐츠 팩토리’의 줄임말로 언론매체 운영, 문화예술 ...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건축으로 아동·청소년 교육하는 기업 ‘플레이빌드’ file

심응석 플레이빌드 대표 플레이빌드(Playbuild)는 아동·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심응석 대표(41)가 2015년 8월에 설립했다. 플레이빌드가 교육하는 분야는 건축이다. 심 대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축을 ...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스포츠 경기 자동 촬영 시스템 개발하는 ‘플레이카니발’ file

강성모 플레이카니발 대표 플레이카니발은 스포츠 경기 자동 촬영 시스템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강성모 대표(26)가 2020년 5월에 설립했다. 플레이카니발은 현재 축구 종목인 ‘풋살’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많...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작품 온라인 포트폴리오 만들어 주는 서비스 ‘필디’ file

신동윤 필디 대표 필디는 디자이너들의 작업 프로젝트를 온라인에 업로드하는 플랫폼을 개발한 스타트업이다. 신동윤 대표(31)가 2017년에 설립했다. 신 대표는 “필디는 오프라인에 머물러 있는 포트폴리오를 온라인화해 언제든 선...

한정섭 서경대 문화예술센터장, “캠퍼스타운 종합형 선정, 2025년까지 100억원 지원” file

서경대 문화예술분야 강점 살려 창업 지원 2019~2021년 약 60개의 입주 창업팀 선발 대학 내 1,047m² 규모 ‘창업R&D센터’ 조성 예정 서경대는 ‘2022 서울 캠퍼스타운 신규사업’의 종합형 참여대학으로 선정됐다. 오는 ...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아침광장] 국민 사랑이 기준이다 file

진세근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산다는 건 누구에게나 녹록지 않다. 우리 특유의 ‘한(恨)문화’는 그래서 우리 가슴을 친다. 한(恨)은 질병, 고난, 빈곤 같은 불행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살아가는 모든 것이 안타...

서경대학교 취업지원센터, ‘SKU 5SCU(5step career up)’ 취업지원체계 통한 단계별 취업역량 강화 비교과 프로그램 교육 운영해 ‘눈길’ file

서경대학교 취업지원센터(센터장 김주연 교수)가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SKU 5SCU(5step career up) 취업지원체계를 통한 단계별 취업역량 강화 비교과 프로그램 교육을 운영해 눈길을 끌고 있다. 서경대학교 취업지원센터는 단...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