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한일 예술적 교감 형상화한 권진규와 센노 리큐 일러스트레이션.jpg


서울 성북구 동선동의 권진규 아틀리에에서 검은색 찻잔을 본 순간 나는 생각이 멈췄다. 그 찻잔은 일본의 다인(茶人) 센노 리큐(千利休·15221591)가 사랑했던 구로라쿠다완(黑樂茶碗)’이었기 때문이다.

 

자세히 들여다보고 싶어 담당자에게 수차례 부탁을 드렸으나, 대답을 받지는 못했다. 아틀리에의 옛 사진을 돋보기로 봐도 확인할 수 없었고, 권진규의 작업 노트를 살펴봐도 이와 관련된 기록을 찾지 못했다.

 

이 다완은 어디에서 왔고, 왜 이곳에 있는가? 누가 만들었을까? 설마 그는 아니겠지. 또 그가 이 다완으로 말차를 마셨을까? 커피를 좋아했다고 하는데. 궁금증은 커져갔다. 다완의 밑면, 굽을 한 번만이라도 자세히 살펴보면 실마리라도 찾을 수 있을 텐데. 여하튼 인연 따라온 것은 틀림이 없을 것이니 잠시 상상해 보기로 한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3월 마지막 주말부터 나는 수차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권진규 탄생 100주년 기념노실의 천사를 보러 갔다. 그리고 그의 아틀리에를 찾았던 것이다. 노실(爐室)이란 그의 작품을 구운 가마이자, 그 가마가 있는 아틀리에를 뜻한다. ‘천사란 그곳에서 태어난 그의 작품들이다. 이번에 전시된 240여 점의 작품은 모두 날개깃을 펼치며 우리 곁에 왔고. 나는 하나하나 작품들을 마주 보며 그에게 다가가려는 중이다. 권진규는 일본 무사시노(武藏野)미술대학에서 공부했고, 질감이 살아 있는 테라코타 작업이 인상적이다. 1967자소상’, 1968등의 작품에서 그의 예술에 대한 강한 의지를 느낄 수 있다.

 

한편 리큐는 올해 탄생 500주년을 맞이한다. 리큐는 아즈치모모야마(安土桃山)시대에 좁은 다실에서 소박한 다도구로 정신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와비차(侘茶)를 완성했고 새로운 미의식으로 일본 다도의 길을 열었다. 동시에 그는 임진왜란을 일으킨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15371598)의 다도 선생이며 자문역이기도 했으나, 히데요시로부터 노여움을 사 결국 그의 명령으로 할복해 세상을 마감했다.

 

구로라쿠다완은 리큐가 차에 걸맞게 디자인하고 조선에서 온 도공 초지로(長次郞)를 지도해 만든 라쿠야키(樂燒) 중 검정 다완으로 조선의 사발 이도다완(井戶茶碗)’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했다. 차의 녹색이 가장 아름답게 보이며 리큐에게는 특별한 다완이다.

 

히데요시도 처음에는 소박한 와비차를 배우려고 했으나, 권력을 가져 욕망이 커진 그는 더 화려한 다도를 선호하게 됐다. 조립식 황금다실까지 만들어, 임진왜란을 일으키기 위해 일본을 떠나는 마지막 성()인 사가(佐賀)현의 나고야(名護屋)성에 황금다실을 가져가 다회를 열었다고 한다. 이런 히데요시는 구로라쿠다완을 싫어했다. 같은 시기에 리큐는 다회를 마련하며 히데요시에게 그가 싫어했던 구로라쿠로 차를 대접했다고 한다. 아마 리큐는 목숨을 걸고 충고하려 했던 것이 아니겠는가. 리큐가 할복 명령을 받은 요인에는 여러 설이 있지만 그중에는 임진왜란을 반대했다는 이야기도 있어 한국과의 인연은 깊다.

 

필자는 일본문화 강의 시간에 일본 다도를 설명하며 실기수업을 갖는다. 서너 명을 한 팀으로 연구실에서 함께 차를 마신다. 때로는 여러 개 다완 중 학생에게 하나를 고르게 하는데, 그 이야기가 기억에 남았는지 몇 학생은 구로라쿠를 선택한다. 아직은 코로나로 인해 실기 강의를 못 하지만 재개되면 반드시 이도다완과 구로라쿠다완으로 차를 내려줄 것이다.

 

이 글을 준비하던 나는 어젯밤 오랜만에 (요즘 일본에 가지 못해 구하기 힘들어 아끼다가) 유효기간이 지난 차를 혼자 구로라쿠에 담아 음미했다. 권진규와 리큐는 각각 조각가와 다인, 100년 전과 500년 전 인물이다. 시대도 장르도 다르지만 두 사람은 한국과 일본 양국의 예술에서 자극받으며 예술적 혼을 불태웠다. 권진규가 아틀리에에서, 리큐가 다실에서 지킨 그들의 치열한 삶은 마치 구도자(求道者)와 같았고, 그래서 더욱 우리에게 감동적으로 다가온다.

 

권진규 전시는 서울에 이어 광주시립미술관에서도 열린다. 더 많은 사람들이 그의 작품세계를 접하면 어떨까? 그의 혼이 어린 작품들이 노실의 천사가 되어 우리 앞에 나래 깃을 펼칠 것이기 때문이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415/112889688/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106

서경대학교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산업체 연계형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운영 통한 실무교육 강화 file

서경대학교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학과장 김은숙 교수)는 지난 12월 서경대 뷰티아트센터에서 화장품 회사 '(주)뷰티 메이커스', '(주)큐비스트', '(주)루토닉스' 등과 산업체 연계형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운영 최종 결과를 ...

고 이춘기 농부의 30년 일기 서경대 문화콘텐츠학부 이복규 교수 옮긴 ‘목련꽃 필 무렵 당신을 보내고’ file

전북 익산군(현 익산시) 춘포면에서 복숭아 농사를 지으며 살다 간 이춘기(1906~1991)의 30년 일기가 한 권의 책으로 출간됐다. 서경대 문화콘텐츠학부 이복규 교수가 옮긴 ‘목련꽃 필 무렵 당신을 보내고(학지사·1만5,000원)’가 ...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 害人害己<해인해기> file

중국 소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를 보면 “부인 바치고 군사까지 잃었네(賠了夫人又折兵)”란 비아냥이 나온다. 무슨 말일까? 내용은 이렇다. 형주(荊州)를 빌려 간 유비(劉備)가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돌려줄 생각을 안 한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교수의 한국 블로그]꽃처럼 활짝 웃는 산, 정릉은 살아있다 file

일러스트레이션 박초희 기자 choky@donga.com 산이 활짝 웃었다. 개나리, 진달래, 목련 그리고 산수유. 북한산 아래 정릉천을 따라 이어지는 정릉마을에 봄이 왔다. 나는 8년 전 직장을 따라 정릉으로 이사 와 이 동네에 살고...

서경대, 특성화고 출신 재직자 수시모집…경력 3년 이상 file

3년 이상 산업현장 재직시 지원 가능 모집 학과, 사회과학대학 경영학과 서경대는 이달 23~28일 특성화고교 출신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2021학년도 수시 모집을 진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서경대에 따르면 수시 모집은 정부가...

제2회 서경대 모델연기전공 졸업패션쇼 성황리에 끝나 참여 학생들 모델 · 배우로 활동하며 학업 병행···다채로운 향연 펼쳐 file

6월 21일(수) 오후 7시 서경대 본관 컨벤션홀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의 제2회 졸업(공연)패션쇼가 6월 21일(수) 오후 7시 서경대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개최됐다. 이번 졸업패션쇼의 주제는 ‘BY_HIGH’로, 지난 ...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 제8회 여성공학인대상 시상...교육부문 강선미 서경대 전자공학부 교수 수상 file

사단법인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이하 한여공)는 2일 오후 6시 반포 원 하모니홀에서 ‘2017 제8회 여성공학인대상 시상식 및 연차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후원하는 ‘여성공학인대상’은 올해 8번...

채널A “대학의 변신, 미래를 꿈꾸다”, 서경대 편 file

동아미디어그룹 종합편성TV 채널A는 2017년 12월 27일(화) 오후 12시 30분, 특별기획 ‘대학의 변신, 미래를 꿈꾸다’을 방영했다. ‘대학의 변신, 미래를 꿈꾸다’는 30분 짜리 특집 다큐멘터리로 남들이 가지 않은 길, 새로운 ...

[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지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나의 롤모델 file

대학에서 비대면 강의를 실시한 지 한 달이 됐다. 나는 신입생들 얼굴도 못 본 채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느라 매일 집에서 지내고 있다. 내가 만든 강의에서 부족한 점이 눈에 띌 때마다 고문당하는 기분이다. 고백하건대 몸...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의 한국 블로그]내 인생의 네 고양이 file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처음 한국에 온 1980년대 중반, 당시 집에서 고양이를 기르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간혹 시장에 가면 끈에 묶여 있는...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