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 혁신부총장 구자억 교수.jpg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한국교육은 어떻게 변해야만 할까? 그 물음에 대해 구자억 교수는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아 기술진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사회도 급속하게 변하고 있다. 나이든 어르신들은 4차산업혁명의 산물인 디지털문명에 적응하기가 쉽지않다. 그런데 이런 새로운 문명에 적응하기 힘든 건 어르신들만이 아니다. 교육도 예외는 아니다. 교육도 이젠 근본적인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교육내용과 방법을 바꿔야 한다고 전했다. 입시위주의 암기식 교육을 지양하고 창의적인 질문이 교육의 중심이 되도록 해야 한다며 존재하지 않는 것을 당당히 말할 수 있고, 그런 의견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교육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풍토 변화를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창의적 인간을 양성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은 미지의 세계이다. 이 새로운 세계를 개척하려면 창의적, 혁신적 인재가 필요하다. 그는 당연히 우리 교육에서 그런 인재를 배출해낼 수 있도록 교육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만약 그게 어렵다면 해외인재 유치를 통해서라도 새로운 산업혁명의 파고를 이겨내야 한다. 시간은 우리를 기다리지 않는다.”


또한, 학령인구감소, 재정압박 등으로 한국대학도 큰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는 구 교수는 한국대학이 흔들리고 있다. 학생 수 감소로 대학 존립이 어려워졌다. 세간에서는 100개 이상의 대학이 문을 닫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재정문제도 대학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이웃 중국대학은 연간 예산 1조원이 넘는 대학들이 많다. 한국대학들은 꿈도 꾸기 힘든 얘기다. 재정이 부족하니 질 높은 교육을 하기 어렵다. 당연히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에 사활을 건다. 그런 와중에 대학교육은 쉼 없이 흔들리고 있다. 대학도 그간 양적확장에 집중해 교육이나 연구의 질 향상을 게을리했다. 그러다보니 세계대학순위에서 한국대학의 경쟁력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현재 세계적으로 인재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다. 이렇게 인재 쟁탈이 벌어지는 이유는 간단하다. 노령화, 인구감소로 인한 인재 수입 필요성 대두, 자국 인재의 유출, 첨단산업의 경쟁력 강화 때문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도래는 혁신적 인재의 필요성을 강하게 주문하고 있다. 한국대학은 바로 이러한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교육을 혁신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전했다.


나아가 대학 중에서도 지방대학문제가 심각한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대학의 경우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 지역사회 구성원의 일정부분이 대학을 중심으로 수입을 얻고 생활한다. 따라서 대학이 없어진다는 것은 지역구성원이 생활터전을 잃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방대학 문제에 있어서 우리는 국가 정책적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갖고 접근해야 한다. 재정지원만으로 지방대학을 육성하기엔 한계가 있다. 대학, 정부, 지자체 등이 합심해서 해결책을 함께 강구해야 한다. 우선 지방대학 맞춤형 국제화를 제안한다. 이러한 맞춤형 국제화를 통해 대학경쟁력도 높이고, 외국유학생도 유치할 수 있다. 지방대학은 국제화 정도가 매우 낮다. 국제경영개발원(IMD)에 따르면 한국대학의 국제화 수준은 100점 만점에 30점대로 나타났다. 이것도 괜찮은 대학의 수준이니 아마 여타 대학은 30점이 안 되는 아주 낮은 수준일 것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외국유학생 유치는 요원하다. 차제에 지역과 대학이 함께 대박을 터트리는 국제화 모델을 찾아내고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일본의 아시아태평양대학(APU)은 대표적 사례이다. 국제화와 함께 지방대학 맞춤형 유학생 유치 플랜을 세울 필요가 있다. 가장 좋은 것은 지자체와 해외 지자체의 협력에 의한 맞춤형 유학생 유치이다. , 상대국가에서 필요한 인력을 다품종 소량으로 길러주는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공동교육과정 운영, 합동기숙사 운영, 언어교육체계 구축 등 유학생 정주여건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구자억 교수는 한국대학컨설팅협회의 회장으로 취임했으며, 협회를 통해 많은 대학이 스스로 자신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강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외부의 시각에서 대학의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방안을 모색한다면 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을 수도 있다며, 한국대학컨설팅협회는 대학이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 실증적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그 솔루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대학이 혁신하고자 할 때 그것을 도와줄 전문가집단의 역할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원문출처>

지피코리아 http://www.gp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84744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092

서경대학교, 제7회 전국 고등학생 디자인 실기대회 시상식 개최 file

2018년 7월 13일(금) 오후 2시, 서경대 혜인관서 한효원(기초디자인) 대상 수상…시상식 후 7일간 입상 전시회 열어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7월 13일(금) 오후 2시 교내 혜인관에서 ‘서경대학교 제7회 전국 고등학생 디자인...

대학 유학생 학위 장사에 수업의 질 악화 우려

언어능력 부족한 유학생들, 대학 강의 못 따라가 무분별한 유학생 유치로 국내 대학생 불만 늘어 대학 "어학당·비학위과정 학생까지 관리 어려워" "정부, 건전한 시장으로 유도…대학체질 개선 도와야" 전문가들은 학령인구 감소로...

서경대학교, ‘2018 주요 국가 학생 초청 연수 (2018 GKS Invitation program for students from Partner Countries)’ 개최 file

러시아, 인도, 멕시코, 싱가포르, 나이지리아 등 26개국 30명 대상 7월 10~20일 역사·문화 특강, 교육·산업시설 탐방, 문화체험, 홈스테이 등 진행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으로부터 위탁받은 ‘2018...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2018 K-BEAUTY EXPO BANGKOK’ 참가 file

7월 12일(목)부터 14일(토)까지 사흘간 태국 수도 방콕 바이텍 전시장서 열려 K-Beauty Global Empowerment Conference 개최해 한국의 뷰티교육 콘텐츠 알리고 K-Beauty도 홍보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학장 김범준 부총장)은 오는...

서경대학교, 세계적인 미용기업 ㈜준오뷰티와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설치를 위한 산학협력 협약 체결 file

7월 10일(화) 오전 11시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서 서경대, 올해부터 정원 20명의 ‘헤어・메이크업디자인학과(준오반)’ 신설, 운영 준오뷰티, 준오반 학생에 등록금 50% 이상 4년간 지원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세계적인 미용...

서경대학교 한일문화예술연구소, 남수경 미국 뉴욕주 인권 변호사 초청 특강 개최, 7월 5일(목) 오후 3시 교내 유담관 L층 학술정보관서…‘미국사회에서 아시아 여성과 아동들의 인권’ 주제로 file

7월 5일 목요일 오후 3시 교내 유담관 L층 학술정보관에서 서경대학교 한일문화예술연구소(소장 이즈미 지하루 국제비즈니스어학부 일어전공 교수) 주최로 미국 뉴욕주의 인권변호사인 남수경 변호사를 초청해 미국사회에서의 아시아...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漢字, 세상을 말하다] 涅槃<열반>

열반은 범문(梵文) ‘니르바나’의 음역이다. 일체의 번뇌를 불어서(Blow) 끄다(Out)는 의미를 담고 있다. 열반은 니원(泥洹)이라고도 한다. 무위(無爲), 자재(自在), 불생불멸(不生不滅) 등의 의미를 갖는다. 중국 진(晉) 때 출간된 『...

전북문화콘텐츠산업진흥원 새 원장에 최용석 교수 file

미래창조과학부 디지털콘텐츠 CP-서경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역임 '새 사령탑' “같은 눈 높이, 낮은 자세, 연애하는 마음으로...” (재)전라북도문화콘텐츠산업진흥원(이하 전북진흥원) 새 수장에 최용석 전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서경대학교, 제2회 전국 모노로그 콘테스트 개최 file

8월 11일(토) 서경대 북악관 북악홀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8월 11일(토) 교내 북악관 북악홀에서‘제2회 서경대학교 전국 모노로그 콘테스트’를 개최한다. 서경대학교 서경예술교육센터(센터장 김범준 부총장)와 서경대학교 공연...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중국, 제조(製造)에서 지조(智造)로 간다 file

중국 광시성(广西省) 남단 도시 둥싱(东兴)을 아는 한국인은 많지 않다. 둥싱은 중국 대륙 남단 한 모퉁이에 조용히 박혀 있는 작은 도시다. 둥싱은 간단한 도시가 아니다. 우선 의외로 우리나라와 가깝다. 전남의 끝단 도시 고흥(高興...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