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구글, MS, IBM 등 거대 빅테크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를 배출했고, 스타트업 수는 24000개로 세계 3위인 나라. 2020년 기준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 12개로 미국, 중국, 영국에 이어 세계 4위인 나라. 인도 이야기다. 인도는 18~35세 젊은 층이 60%로 전자상거래와 마케팅 산업 창업이 발달했다. 인구 135000만명의 수요(demand)에 평균연령 29세인 젊은 인구구조(demography), 자유를 보장하는 민주주의(democracy) ‘3D’를 강점으로 꼽는다.


인도 벵갈루루 도심의 모습.jpg

인도 뱅갈루루 도심의 모습


취업보다 창업 선호하는 인도 청년

 

인도 인구 중 60%30대 이하의 젊은 층이다. 하지만 전 인구의 70%가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독립 이후 70년간 대표적인 저성장 국가에 머물렀다. 산업기반 시설이 부족했던 인도는 경제 규모를 키우고 일자리 창출을 위한 원동력으로 스타트업 육성에 집중했다. 2014년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독립 69주년 기념행사에서 스타트업 인디아를 언급하면서 창업 붐을 시작했다. 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해 경제발전의 핵심 원동력으로 삼겠다는 구상이었다. 모디 총리는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해 규제를 완화 또는 간소화하고, 연구개발(R&D) 환경과 세제를 정비했다. 3년간 법인세 면제, 특허등록세 80% 감면 같은 투자 및 인센티브 지원, 산학연 강화 및 창업·보육 정책을 전폭적으로 폈다. 지방정부 간 스타트업 지원 경쟁체제를 도입한 게 효과가 컸다. 인도 산업정책 진흥국이 2018년부터 주별 스타트업 순위를 매겨 주마다 더 나은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을 유도했다. 36개주 중에서 30개주가 참여해 스타트업 분위기를 전국으로 확산시켰다. 2015년을 스타트업 생태계 성장의 해로 정했는데 스타트업 활성화에 도움이 됐다.

 

모디는 인도 청년들에게 기업가 정신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스타트업 인디아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2006년 중소기업 육성법을 제정하고, ‘국가 제조업 경쟁력 향상 프로그램을 마련해 중소 제조기업 지원 강화에 나섰다. 이 같은 스타트업 육성 정책은 젊은 층의 창업 열기를 불러일으켜 경제활성화의 계기가 됐다. 그 결과 2015년 기준 기술기반 스타트업이 4300(43%), 비기술기반이 5700(57%)로 기술기반 스타트업들이 빠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플립카트.jpg

플립카드

 

페이티엠.jpg

페이티엠


유니콘 기업 육성에 집중

 

인도는 델리, 뭄바이, 벵갈루루를 중심으로 스타트업 생태계가 성장하고 있다. 3대 도시는 글로벌 기업 본사, IT공과대학 등 명문대학이 집중돼 있고, 교통과 인터넷 등 관련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벵갈루루는 IT 및 공학 분야의 풍부한 인적자원과 스타트업 인프라를 잘 갖추고 있어 전체 스타트업의 숫자 면에서 다른 도시에 비해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일례로 2010~2019년까지 9년간 탄생한 스타트업은 벵갈루루가 4373개로 델리 3495, 뭄바이 2707개보다 많다. 델리는 정부기관 및 주요 인프라의 접근성이 높고 IIT 델리, 델리대학 등 우수한 지식 인프라를 갖춘 게 장점이다. 인도의 경제수도로 불리는 뭄바이는 상업과 금융업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처럼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는 도시별 환경에 따라 다르게 성장하고 있고 창업가, 투자기관, 인적자본, 정부 정책 등 다양한 요소가 뒤섞여 발전하고 있다. 대표적인 스타트업으로는 인도의 아마존이라 불리는 전자상거래 기업 플립카트,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기업 페이티엠, 차량공유기업 올라 등이 있다.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운영기업 글랜스(Glance), 중고자동차 전문 자동차 플랫폼 카24(Car24), 온라인 교육 플랫폼 언아카데미(Unacademy), ·아동 제품 전자상거래 플랫폼 퍼스트크라이(FirstCry) 등도 있다.


올라.jpg

올라

 

인도는 유니콘 기업수가 202012개에서 202138개로 증가했다. 인도는 이 숫자를 2025년까지 95개로 높인다는 목표 아래 집중 육성책을 펴고 있다. 인도는 스타트업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스타트업 규모는 크지만, R&D 투자비율은 낮다. 일부 주요 도시는 시장 규모가 작고 해외 진출 지원이 부족하다는 등의 몇가지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인도는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IT 기술 관련 분야에서 경쟁력이 높다. 미국 실리콘밸리보다 4배나 싼 인건비와 우수 엔지니어들이 풍부한 인적자원도 장점이다.

 

단점보다 장점이 더 큰 힘을 냈다. 인도경제는 현재 스타트업 활성화 덕분에 주요 국가 중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국제통화기금은 인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9.5%로 예상했다. 중국의 8.1%보다 높다. 글로벌투자은행들도 인도가 2030년 이후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경제대국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구매력평가 기준으로는 이미 세계 3위라는 분석도 있다. 글로벌 기업이 선호하는 유망투자국이자 지리적 요충지이며, 세계의 공장이던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나라. 세계가 지금 인구 135000만명의 인도를 주목하는 이유다.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원문출처>

주간경향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3/0000043702?sid=104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055

디지털 전환… 융복합 교육… 뉴노멀 시대, 혁신 대학이 간다 file

고려대, 참여형 스마트캠퍼스 구축…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신분증 제작 중앙대, 다빈치가상대학 세우고… 확장현실서 상호작용하며 수업 게티이미지코리아 약 3년간 지속된 코로나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혼란과 고통을 겪고 ...

2022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 평가.. 서강대 한양대 중앙대 이화여대 건국대 등 25개교 우수인증대학 '선정' file

4년제 '111개교' 인증.. 우수대학 19개교 2022년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IEQAS 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 평가에 132개 대학이 인증을 받았다. 이 중 4년제 대학은 111개교다. 학위과정을 인증 받은...

'36년만에 부활'…김포서 '대학가요제' 열린다 file

국민들의 대대적인 인기를 끌었던 대학가요제가 36년만에 부활됐다. 경기 김포시는 26~27일 양일간 아라뱃길 아라마리나 문화광장에서 'Remember! 대학가요제 2022'가 열린다고 23일 밝혔다. 김포시와 충청향우회연합회의 후원...

[입시톡톡] 2023학년도 홍익대(세종), 서경대 논술전형 신설 file

최승후 대화고 교사 최승후 대화고 교사 논술위주전형(이하 논술전형)은 논술고사를 주된 전형요소를 반영하는 전형유형을 말한다. 다른 전형보다 경쟁률이 높고 합격률은 낮다. 논술전형을 실시하는 대학은 2023학년도 39개 대...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공학과 교수 칼럼 :[전문가칼럼] 시장 혼란기의 효율적인 자산운용 전략 file

(조세금융신문=서기수 서경대 교수) 2019년 겨울부터 COVID-19의 영향으로 전 세계는 큰 혼란의 시대를 겪고 있다. 변이바이러스인 델타와 오미크론의 영향으로 우리나라도 3월 초 하루 확진자가 30만명을 넘어설 정도로 바이...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시립양천청소년음악창작센터, 국내 최고의 힙합 아티스트 아웃사이더 힙합부문 홍보대사로 위촉 청소년음악창작활동 지원 활성화 위한 본격적인 홍보활동 전개 file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시립양천청소년음악창작센터는 청소년 음악창작활동 지원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국내 최고의 힙합 아티스트 아웃사이더를 힙합부문 음악홍보대사로 위촉했다. 홍보대사 위촉식은 3월...

서경대학교 전자공학과 2021년 졸업생 취업률, 전국 대학 동일 학과 중 1위 file

서경대학교 전자공학과(학과장 서기성 교수)의 2021년 졸업생 취업률이 전국 대학 동일 학과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월 17일 대학정보 공시 사이트인 ‘대학알리미’의 2021년 4년제 일반대학 졸업자 취업률 현황에...

대면·비대면 혼합한 ‘하이브리드 수업’ 호평 file

서경대학교 서경대는 취·창업 지원 전담 조직인 취업지원센터, 창업지원센터, 현장실습지원센터 등을 운영하고 있다. 사진은 서경대 취·창업지원센터.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소양과 핵심 역량을 갖춘 인...

교육혁신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이끌 창의융합 실용인재 양성 file

서경대학교 서경대의 강점 중 하나는 문화예술과 인문사회, 과학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복합한 교육과정이다. 사진은 서경대 본관 전경. 서경대학교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1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

서경대학교 인성교양대학, 교양교육과정 혁신 등 다양한 활동 전개해 ‘눈길’ file

서경대학교 인성교양대학이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교양교육과정 혁신 및 신규 교양과목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토론회와 공모전을 개최하고 STEAM 교육 관련 콘텐츠를 개발, 확대하며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휴먼 커뮤니케이...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